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초등학교 실과교육에서 해조류를 이용한 천연 염색에 관한 연구

        박형서(Hyoung-seo Bak)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1 교육연구 Vol.50 No.-

        This study, at first The Researcher extracted natural dyes from marine plant. The Researcher dyed cotton, wool, and silk with the extracted dyes. This study purposes to find the best one for dyeing with seaweed in order to develop a more efficient method of dyeing with seaweed and investigates the colorfastness to washing, light after mordanting treatment. The mission of general agricultural education is to prepare and support individuals for careers, build awareness, and develop leadership for the food, fiber, and natural resource systems. In response to the changes of the recognition and attitude toward agriculture, agricultural education also should be developed and adapted to the circumstances. And The Researcher took an observation on color change, color fastness to washing and color fastness to light after mordanting treatment. And the following results have been obtained. 1) Dyed cotton, wool, and silk fabrics with the extract of seaweed are generally brown. 2) Wool. silk, and cotton, in this order, are of good dyeability; Wool fabrics have the highest dyeability and cotton fabrics have the lowest. 3) Colorfastness to washing, light are all high. 4) Dyeability is enhanced as the dyeing temperature increases. 5) The longer the dyeing time, the better the dyeablility. Sixty minutes of dyeing time is appropriate to dye fabrics. 8) With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repeated dyeings, increased dyeability is obtained. 9) The seaweed-dyed fabrics were shown to have much higher sun protection factor than the non-dyed fabrics, and the seaweed-dyed fabrics with mortanting treatment showed the following result; ranged from anged from from 93.1% to grade 99.2%. 10) The seaweed-dyed fabrics were shown to have much higher antibiosis than the non-dyed fabrics, and the seaweed-dyed fabrics with mortanting treatment showed the following result; ranged from 91.3% to grade 99.9%. 11) The seaweed-dyed fabrics were shown to have much higher deodorization than the non-dyed fabrics, and the seaweed-dyed fabrics with mortanting treatment showed 99.9%. 본 연구는 초등학교 실과교과의 교양농업교육을 위하여 해조류를 이용한 천연 염색의 최적의 염색 조건, 세탁견뢰도, 일광견뢰도, 자외선 차단성, 항균성, 소취성을 분석하였다. 부산 기장지역의 해안가에서 쉽게 채취가능한 바다식물인 구멍갈파래, 지충이, 톳, 괭생이 모자반을 채취하여 염액으로 만들어 천연염색을 하였다. 그 중 지충이, 톳, 괭생이모자반 등 갈조류에서 해조 탄닌이 있어 염색이 잘 되었으며 천연섬유인 식물성 섬유(면, 모시, 삼베), 동물성 섬유(견, 양모)에 다양한 방법으로 천연 염색을 시도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세탁견뢰도 시험에서 지충이, 톳, 괭생이 모자반 모두 면에서 4급, 견과 양모에서는 4~5급으로 아주 높게 나왔다. 섬유에 따른 견뢰도의 차이는 양모, 견, 면 순이었다. 일광견뢰도 시험에서 2~4급으로 높았으며 양모, 견, 면 순으로 일반 천연염색 1~2급보다 높게 나왔다. 자외선 차단성 시험 결과 견은 염색하기 전 자외선 -A(62%)에서 염색 후 지충이(95.2%), 톳(93.1%), 괭생이 모자반(94.1%)로 크게 향상되었다. 항균성 시험 결과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한 항균성 시험에서도 지충이(99.9%), 톳(91.3%), 모자반(98.4%)의 항균성을 갖는 것이 확인되었다. 소취성 시험에서도 해조류 모두 99%로 아주 높게 나왔다. 천연염료 측면에서 해조류를 이용한 천연염색은 자외선 차단성, 항균성, 소취성 등 기능성이 탁월한 것으로 나타나 이를 활용한 상품개발이 이루어진다면 농어민의 새로운 소득증대에도 기여할 것이다.

      • KCI등재

        초등기술교육 ‘생활 속의 목제품’ 단원을 위한 움직이는 인형 만들기 체험활동 프로그램의 개발

        박형서 ( Hyoung Seo Bak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4 교사교육연구 Vol.53 No.3

        이 연구는 초등학교 기술교육 ``생활 속의 목제품`` 단원을 위한 움직이는 인형 만들기 체험활동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5학년 실과교과 ‘생활 속의 목제품’ 단원의 교육과정을 재구성하여 움직이는 인형 만들기 체험활동 프로그램을 준비단계, 개발단계, 개선단계로 세분하고 PDI 모형의 절차에 따라 진행하였다. 3단계의 절차를 구체적으로 세분화하여 설계 개요, 학생 활동자료, 교사용 지도서, 교사용 PPT를 개발하였으며 개발된 자료는 전문가 집단에 의한 평가와 학생평가를 통해 수정;보완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움직이는 인형 만들기 체험활동 프로그램은 6주제로 이루어진 총 6차시 수업에 필요한 학생용 자료인 설계 개요, 학생 활동 자료를 개발 하였고, 교사용 자료인 교사용 지도서, 교사용 PPT를 개발하여 실제 초등학교 수업에 적용하여 직접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둘째, 움직이는 인형 만들기 체험활동 수업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있어서 성취기준 중심의 교육과정 재구성을 통하여 새로운 기술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였다. 셋째, 초등학생 대상으로 움직이는 인형 만들기 체험활동의 타당도를 검증받았다. 학생들은 움직이는 인형 만들기 체험활동에 흥미롭고 재미있었다고 응답하였다. 학생용으로 배부되는 과제에 학생들이 이해하기 어려운 내용인 매커니즘을 실물, 사진 등으로 수정;보완하여 제시하였다. 넷째, 전문가를 대상으로 움직이는 인형 만들기 체험활동의 타당도를 검증받았다. 전문가들은 개발된 움직이는 인형 만들기 체험활동 프로그램의 교수학습과정안, 학생활동자료, 설계개요 등에 대하여 매우 효과적으로 평가하였다. 학생활동 자료의 용어가 학습자 수준의 적합성 여부 등을 제시한 경우 문제 상황이나 체험활동의 내용을 서술할 때 학습자 수준에 알맞은 용어로 수정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program within the elementary school technology education using hands-on activities with moving toys in for the ``Wood Products in Life`` unit. The designed program followed the preparation, development, and improvement (PDI) teaching model. In the preparation step, the National Curriculum was reconstructed. In the development step, teaching materials such as lesson plans, power points (PPT), activity sheets were developed. In the improvement phase, the researcher performed a pilot test to increase reliability and a field test to establish content validity. The developed instruction materials were evaluated, modified and finally completed. The finding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moving toys, related materials which included lesson plans, power points (PPT), learning guidance papers and activity sheets developed for this program were applied to the class. Second, feedback from the class was collected and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students were more interested and more easily understood the class. Finally, the appropriateness of the materials were analyzed for use in higher level classes by a group of related experts.

      • KCI등재

        초,중등학교 교양농업교육 재배 영역 실습 수업의 평가 준거 개발

        박형서 ( Hyoung Seo Bak ),공명승 ( Myung Seung Kong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10 중등교육연구 Vol.58 No.2

        이 연구는 초·중등학교 교양농업교육의 실과(기술·가정)교과의 재배 영역의 실습 수업 평가에 관한 다양한 준거 개발 이론들을 탐색하여 재배 영역의 실습 수업 과정 중에 적용할 수 있는 타당한 평가 준거를 개발하는데 있다. 재배 영역의 실습 수업의 평가 준거는 학습자와 관련된 수업 평가 준거로서 실습 수업 대상자의 분석, 실습 수업 대상자 조직의 적절성, 또래 집단 활동의 역동성, 학습 기술, 수업 목표 성취도, 행동 발달 충실성, 교육 성과 효과성이 설정되었다. 교육 내용과 관련된 수업 평가 준거는 수업 목표의 일관성·적절성, 실습 교육 시간 배당의 적합성, 실습 내용의 적절성·유용성, 수준별 실습 프로그램 운영, 교육 내용 조정의 적절성, 교육 내용 기여도가 설정되었다. 교사와 관련된 수업 평가 준거는 교사의 자질과 전문성, 교수 활동의 적절성, 교수 전략의 적절성, 교수 자료의 적절성, 평가의 적절성, 교사 기여도가 설정되었다. 환경과 관련된 수업 평가 준거는 수업 지원 계획의 적절성, 교육 환경 조정의 적절성, 실습실 운영의 충실성, 교육 환경 기여도가 설정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valid evaluation criteria through exploring various criteria development theories regarding instruction evaluation. This study was carried out with following three phases: Preparation stage was began to review related literature for development of instruction evaluation criteria. Theoritical foundation was set based on preparation stage, and then total framework for development of instruction evaluation criteria was designed. At the development stage, meaningful criteria factors were selected through exploring various analysis framework concerning of criteria factors of instruction evaluation. And then evaluation criteria for the culture unit practice instruction were made out. At the improvement stage, significant criteria variables based on extraction analysis framework of instruction evaluation criteria were determined and development proposal was revised and complemented by giving attribution about these variables.

      • KCI등재

        실과 교과서 기술의 세계 영역 “식물과 함께하는 생활” 단원의 화보처리방식 분석

        박형서 ( Byoung Seo Bak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1 한국초등교육 Vol.22 No.2

        이 연구의 목적은 2007 개정 실과교육과정과 제 7차 실과교육과정의 초등학교 실과 교과서 기술의 세계 영역 ‘식물과 함께하는 생활’ 단원의 화보처리방식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일선 초등학교 교실에서 교사들이 실과교과서를 재구성하여 학습활동을 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의 제공과 화보의 질을 개선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함과 동시에 미래의 교과서 개발에 있어 매우 유용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교과서는 문장으로 구성되는 본문과 사진, 삽화, 만화, 도표 등의 화보로 구성된다. 특히 ‘식물과 함께하는 생활’ 단원 특성상 화보의 다양성이 중시되고 있다. ‘식물과 함께하는 생활’ 단원 화보의 표현 형태, 크기, 기능을 분석해 봄으로써 화보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교과서에서 차지하는 화보의 비중을 통해 화보의 올바른 해석이 중요함을 부각시키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2007 개정 실과교과서의 화보처리방식은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었다. 첫째, 전체 화보의 수는 2007 개정 실과 교과서(평균 149.4개)가 7차 실과교과서(137개)보다 평균 12.4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 지면당 화보수는 2007 개정 실과 교과서가 7차 실과 교과서 보다 평균 0.6개 증가하였다. 둘째, ‘식물과 함께하는 생활’ 단원 화보의 표현 형태는 사진 자료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 삽화, 만화, 도표 순이다. 이는 사진자료가 식물을 가장 사실적으로 전달하는 데 효과적이기 때문일 것이다. 또한 ‘식물과 함께하는 생활’ 단원 화보처리방식이 사진 자료 위주에서 다양한 화보를 제시할 필요가 있다. 셋째, 화보의 크기를 비교하면 작은 크기의 화보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 중간 크기의 화보, 큰 화보 순이다. 화보의 크기를 살펴보면 2007 개정 실과 교과서에서 작은 크기의 화보수가 7차 실과 교과서 보다 오히려 증가하였다. 이는 ‘식물과 함께하는 생활’ 단원의 학습내용을 구체적인 화보로 많이 제시하기 위하기 위하여 작은 크기의 화보를 늘렸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넷째, ‘식물과 함께하는 생활’ 단원 화보의 기능은 학습 자료의 제공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 체험활동 안내, 학습 동기 유발의 순이다. 이는 단원의 특성상 체험활동을 예시할 시각자료의 필요성이 강조되었기 때문으로 해석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nd to compare the use of illustrations of the elementary practical arts textbooks and to make suggestions for an improvement of the use of illustrations in elementary practical arts textbooks.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by textbook developers, publishers, and teachers in their efforts to improve the quality of elementary practical arts textbooks. For the study,??Unit of Living with Plants??in the fifth grade practical arts textbooks in Korea was selected and analyzed according to the three criteria: kinds of illustrations, sizes of illustrations and purposes of illustrations. In this study, the following facts were found. First, 2007 revised practical arts textbooks have about 7.5 illustrations per page whereas 7th practical arts ones have 6.9. Second, even though 2007 revised practical arts textbooks are highly dependent on photographs, kinds of illustrations of 2007 revised practical arts textbooks have more ratio of pictures, cartoons and diagrams than the ones in the 7th practical arts textbooks. Third, sizes of illustrations of the 2007 revised practical arts textbooks are ordered in small, medium, large size illustrations and there was an increase in medium sized illustrations. Lastly, the purpose of the illustrations from the 2007 revised practical arts textbooks are on the decrease the guidance for hands-on activity but there was an increase in the learning motive induction and supply of learning materials.

      • KCI등재후보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기르는 생명기술 중심의 초등 기술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박형서(Bak, Hyoung Seo)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0 교육연구 Vol.47 No.-

        이 연구에서는 초등학교에서 기술교육을 지도하기 위한 초등 기술교육과정의 구성, 교수?학습전략,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살펴보고 초등학교 기술교육에서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기르는 생명기술 중심의 초등 기술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였다.먼저 초등기술교육과정의 구성에서는 현행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주된구성방법인 내용에 터한 교육과정의 단점을 지적하고, 미래 사회에서 요구하는 문제해결 능력, 창의성, 의사 결정 능력 등을 기르는 데 적절한 과정에 터한 교육과정의 도입을 제시하였다.둘째, 교수?학습전략에서는 바람직한 교수?학습 활동을 위해서 실습보다는 실험으로 변화가 되어야 함을 주장하였고, 설계개요 접근법에 터한학생경쟁법을 대안으로 소개하였다.셋째, 초등기술교육 가운데 창의적 문제해결력에서는 창의성이 문제해결의 한 가지 영역이며, 비구조화된 문제일수록 창의적 문제해결능력을 기르기에 적합하다는 것을 밝히고, 초등기술교육에서 창의적 문제해결 과정을 문제의 이해, 연구와 개발, 실현하기, 산출물 평가하기의 네 단계로 제시하였다.넷째,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기르는 초등 기술 교육과정 조직인자를 생산기술, 수송기술, 통신기술, 생명기술로 제시하였다. 생산기술 영역에서는 움직이는 인형 만들기, 수송기술 영역에서는 호버크래프트 만들기, 통 신기술 영역에서는 스케치업을 이용하여 햄스터 장난감 설계하기, 생명기술 영역에서는 잔디 인형 모양 만들기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implement an alternative elementary school technology education to enhance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ies. To solve the objectives of the work, the literature was reviewed on elementary school technology education curriculum;and its related teaching strategy;and elementary school technology education hands on activities programs for creativity problem solving ability Main results of the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elementary school technology education curriculum to enhance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ies were production technology, transportation technology,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bio-related technology. Second, teaching strategy of elementary school technology education suggest design brief based the student competition. Third, it suggest that elementary school technology education program should be displayed with semi-aching strategy of etatements. Third, elementary school technology education program were suggested that it should be displayed with moving toy based production technology, making hovercraft based transportation technology, sketchup program base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grass doll based bio-related technology.

      • KCI등재후보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기르는 실과 교과서의 개발 모형에 관한 연구

        박형서(Hyoung-seo Bak)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1 교육연구 Vol.51 No.-

        연구자는 실과 교과서 개발 모형을 국정교과서와 검인정 교과서에 공통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이상적 연구개발형 교과서로 기획 준비 단계, 연구 개발 단계, 집필 편찬 단계, 심의 평가 단계의 4단계로 구안하였다. 첫째, 기획 준비 단계에서는 실과 교과서를 개발하는 데 있어 요구 분석과 개발 계획을 수립하는 단계이다. 둘째, 연구 개발 단계는 외국의 실과 교육을 분석하고 학교 현장의 실태를 분석하여 교과서 집필 지침을 마련하는 단계이다. 셋째, 집필 편찬 단계에서는 실과 교과서 집필세목을 확정하고 단원별 실과 교과서를 집필하는 단계이다. 단원별 원고를 집필하며 삽화 및 사진을 구성하고 집필진 협의회를 통하여 원고본을 반복적으로 수정하고 보완하는 단계이다. 넷째, 심의 평가 단계에서는 현장의 교사와 학생을 대상으로 타당도를 검증하는 단계이다. 연구자는 교과서 개발 모형의 평가진을 타당하게 구성하기 위하여 평가자가 교과서 분야에 대한 전문성이 있고 실과 교과서 개발에 참여한 전문가, 일반 교과서 개발 전문가, 교사가 포함되도록 7명으로 구성하였다. 이 연구에서 개발된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기르기 위한 초등학교 실과교과서 개발 모형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졌다. 첫째, 실과 교과서 개발 모형을 국정교과서와 검인정교과서에 공통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이상적 연구개발형 교과서로 기획 준비 단계, 연구 개발 단계, 집필 편찬 단계, 심의 평가 단계로 구안하였다. 둘째, 실과 교과서 개발 모형의 집필 편찬 단계의 타당성이 4.21로 가장 높았고, 연구 개발 단계의 타당성의 평균이 4.14로 그 다음이며, 교과서 개발 단계 중에서는 심의 평가 단계의 타당성의 평균이 3.50으로 가장 낮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verify the validity of development of model of practical arts textbook development for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ies. The procedure for the development of the practical arts textbook for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ies is composed of 4 steps; the planning and preparation stage, the research and developmental stage, the writing and compilation stage and the deliberation and improvement stage. This procedure for the development of a textbook can apply to both government published textbooks and to authorized textbooks. The validity of the writing and compilation stage’s practical arts textbook developed model is the highest at 4.21, followed by the research and developmental stage’s average, at 4.14. Among the textbook’s stages of development, the importance of the deliberation and improvement stage averages the lowest, at 3.50.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