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료맥류의 생육단계별 수량 및 품질 변화

        송태화(Tai-Hua Song),한옥규(Ouk-Kyu Han),윤성근(Seong-Kun Yun),박태일(Tea-Il Park),서재환(Jae-Hwan Seo),김경훈(Kyeong-Hoon Kim),박기훈(Ki-Hun Park)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009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29 No.2

        본 연구는 사료맥류의 최적 수확시기를 검토하기 위하여 맥종별(청보리, 호밀, 귀리, 트리티케일 및 총체밀) 수확시기(출수기, 출수 후 10, 20 및 30일)에 따른 건물수량과 사일리지의 품질을 검토하였다. 건물수량은 모든 맥종에서 출수 후 생육기간이 진행됨에 따라 증가되는 추세를 보였는데, 청보리와 총체밀의 경우 출수 후 20일에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귀리와 트리티케일은 출수 후 30일 가장 높게 나타났다. 화학성분은 생육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청보리, 총체밀, 트리티케일 및 귀리는 조단백질과 NDF 및 ADF 함량이 모두 감소하였으며, 호밀의 경우 조단백질 함량은 감소하였으나 ADF와 NDF 함량은 증가하였다. TDN 함량과 RFV는 청보리의 경우 출수 후 20일에 가장 높게 나타났고, 총체밀, 트리티케일, 귀리는 출수 후 30일, 호밀은 출수기에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생육단계별로 제조한 사일리지에서도 같은 경향이었다. 맥종별 사료가치로서 평균 TDN 함량은 보리가 66.98%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총체밀, 트리티케일, 귀리, 호밀 순이었다. This study was to optimize the harvest time of several winter cereal forage crops. Barley, rye, oat, triticale and wheat were evaluated for the quantity and quality of hay and silage at four different harvesting stages, including heading, 10 days after heading (DAH), 20 DAH and 30 DAH. Barley and wheat harvested at 20 DAH, and oat and triticale at 30 DAH showed maximum dry matter yield. Crude protein content of barley, wheat, triticale and oat decreased significantly with advancing crop maturity. Mean crude protein content was the highest in rye and the lowest in oat. The NDF and ADF content of barley, wheat, triticale and oat decreased with late harvest, while rye increased. Maximum total digestible nutrients (TDN) content was recorded in barley and wheat harvested at 20 DAH, in triticale and oat at 30 DAH, and in rye at heading. The maximum TDN content of silage, 66.98%, was recorded in barley, followed by wheat, triticale, oat and rye. However, The crude protein, NDF and ADF of silage was 1 to 4 times higher than those of hay. In this study, barley harvested at 20~25 DAH, wheat and triticale at 30 DAH, and rye at heading provided a good compromise between dry matter yield and forage quality. At this stage, a sufficient quantity of fodder with moderate forage quality was obtain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