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뇌졸중 환자의 흡인유무에 따른 후두닫힘 지속시간

        박태옥(Park Taeok),고도흥(Ko Do-Heung) 한국음성학회 2010 말소리와 음성과학 Vol.2 No.2

        As bolus enters the pharynx during the swallow, laryngeal closure takes place by approximating the epiglottis to the arytenoid Laryngeal Closure Duration(LCD) is the duration of contact between the arytenoids and the epiglottis from the first contact to the last(Logemann et al, 2000). Epiglottic inversion continues pharyngeal swallow stage is completed in order to protect the airwa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layrngeal closure duration (LCD) in three groups of subjects: a) 10 stroke patients who aspirate before and during the swallow(aspirators), b) 10 stroke patients who do not aspirate during the swallow c)10 normal control subjects. Means and standard deviation of LCD was analyzed in both 5㎖ and 10 ㎖ thin liquids using 100msec timer in videoflouroscopic swallowing examination. The mean for each group was 0.15 seconds shorter from aspirators to control group.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spirators and normal subjects for laryngeal closure duration during the swallow. Laryngeal closure duration after a stroke lead to aspiration. However, only one of this temporal problem may not be enough to aspiration.

      • KCI등재

        The Effects of Bolus Consistencies on the Swallowing Safety in Poststroke Patients

        Allison Trent, 박태옥(Taeok Park),Elizabeth Oommen, 김영선(Youngsun Kim)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4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9 No.2

        배경 및 목적: 진한 액체나 퓨레 음식은 병원이나 요양원의 삼킴장애 환자에게 가장 많이 쓰이는 보상치료방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흡인을 보이는 뇌졸중 환자가 다양한 음식점도(묽은 액체, 진한 액체, 퓨레)를 삼켰을때 삼킴안전에 변화를 보이는지와 다양한 음식 사이에는 삼킴안전에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방법: 뇌졸중 환자 24명 중 묽은 액체에서 흡인을 보인 환자 12명의 비디오투시조영검사 자료에서 각 환자의 5 mL의 묽은 액체, 진한 액체, 퓨레의 삼킴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삼킴의 안전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한 침습-흡인 척도는 1에서 8점 척도이다. 자료분석을 위해 일원분산분석(one way ANOVA)을 실시하였고, 유의수준은 .05로 설정하였다. 결과: 흡인을 보이는 뇌졸중 환자의 경우 음식점도에 따라 침습-흡인 척도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p<.01). 흡인을 보이는 뇌졸중 환자의 묽은 액체와 진한 액체, 묽은 액체와 퓨레에서 침습-흡인 척도의 감소가 나타났고(p<.01), 진한 액체와 퓨레 사이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55).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를 통해서 다음의 두 가지 임상적 의의를 생각해 볼 수 있다. 첫째, 묽은 액체에 흡인을 보이는 환자라 할지라도 진한 액체나 퓨레로 대체하여 액체나 음식을 안전하게 삼킬 수 있다. 둘째, 환자에게 묽은 액체를 대체할 것을 선택 시 진한 액체와 퓨레는 삼킴안전에 차이가 없다는 것이다. Objectives: Thickened liquids or pureed foods are one of the most frequently used compensatory strategies in hospitals and long-term care facilities for patients with dysphagi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different bolus consistencies (thin liquid, nectar thick liquid, and puree) would improve the safety of swallowing and whether there would be a difference within these consistencies on swallowing safety in poststroke patients. Methods: Videofluoroscopic swallowing examinations (VFSEs) were obtained from 24 poststroke patients. Among them, 12 poststroke patients showed aspiration in thin liquid. VFSEs of these patients were advanced to swallowing nectar thick liquid and puree. To determine the safety of swallow in changes of bolus consistency, penetration-aspiration scale (P-A scale) was used to rate the swallow on a scale of 1 to 8. Statistical comparisons were made by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and the significance level was set at p<.05. Results: For poststroke patients with aspiration, change in bolus consistenc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P-A acale rating (p<.01). The poststroke patients with aspiration exhibited significant decreases in P-A scale between thin liquid and nectar thick liquid and between thin liquid and puree (p<.01), but not between nectar thick liquid and puree (p=.55). Conclusion: The findings have two clinical implications. First, thickened liquid or puree provided an alternative way to obtain liquid or food safely to poststroke patients who aspirated thin liquids. Second, there is no difference on swallowing safety between nectar thick liquids and puree in poststroke patients with aspiration.

      • KCI등재

        정상인에서 연령과 성별에 따른 삼킴 시 후두닫힘 지속시간 비교

        김영선(Youngsun Kim),박태옥(Taeok Park)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07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2 No.3

        Backgrounds & Objectives: As lhe bolus enters the pharyllX during a swallowing activity, laryngeal closure takes place by elevating the arytenoids and by descending the epiglottis in order to protect the airway. The purpose of this investigation was to determine whether there are age and gender di fferences on laryngeal closure duration in normal adults. Metlwds: Video-clips of video fluoroscopic swallowing examinations of 10 younger subj ects and 10 older subjects were analyzed. Each group had five male and five female panicipants. Mean, standard deviation and range of laryngeal closure duration upon 5 ml and 10 ml th in liquid consumptions were analyzed.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di fference between younger and older subjects for laryngeal closure dUflltion during the swal10w (p < .01).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male and fema le subjects were observed. Disclusion & Conclusion: Laryngeal closure duration increases with increasing age. This phenomenon may be re lated to neuromuscular weakness. However, o lder people may adapt to preserve airway protection. This temporal measurement of iruyngeal closure provides important information on the diagnosis and trea tment of swallowing and swallowing d isorders. 배경 및 목적: 삼킴 시 음식덩이가 기도로 들어가는 것을 막기 위해 후두가 닫힌다. 음식덩이가 식도로 이동할 때까지 후두닫힘이 지속되지 않으면 침습과 흡인이 발생하게 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연령과 성별에 따른 후두닫힘 지속시간의 차이를 살펴보는 것이다. 본 연구의 정상인 후두닫힘 지속시간 결과는 후속연구에서 삼킴장애 집단과의 비교를 위해 활용될 것이다. 방법: 10명의 정상 청.장년집단과 10명의 노인집단의 비디오 무시 조형검사 자료를 분석하였다. 또한 각각의 집단은 남성 5명, 여성 5명으로 구성하였다 후두닫힘 지속시간은 후두덮개와 호미연골이 접촉되는 순간부터 떨어지는 순간까지의 시간을 말한다. 각 집단의 후두 닫힘 지속시간의 평균, 표준편차, 범위를 5ml와 10ml 붉은 액체의 삼킴을 통해 측정하였다. 결과: 후두닫힘 지속시간은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길게 나타났다(p<.01). 한편, 성별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노인집단은 청.장년집단에 비해 후두닫힘 지속시간이 평균 0.09초 정도 길게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노인집단의 삼킴 시 후두닫힘 지속시간이 길게 나타난 것은 신경명령전달속도가 지연되고 삼킴 근육의 효율적인 활용에 어려움이 있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정상 노인집단은 삼킴 시 장애를 보이지는 않았다. 앞으로 삼킴장애 집단의 후두닫힘 지속시간의 연구를 통해 삼킴장애의 진단과 치료에 중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