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제4차 산업혁명에 대비한 교육학 연구의 동향과 과제

        박채형 ( Chaehyeong¸ Park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22 통합교육과정연구 Vol.16 No.2

        연구는 제4차 산업혁명에 관한 우리나라 교육학계의 연구 동향을 탐색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본문에서는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151편의 소논문의 초록을 대상으로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거기에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이겐벡터 중심성 네트워크를 지배하는 상위 50개의 핵심어는 나머지 중심성 네트워크의 그것과 대동소이하였다. 둘째, 거기에서는 그러한 표면적인 모습과 더불어 소극적 진영이 수세적 입장에서 적극적 진영에 맞서는 이면의 모습도 발견할 수 있었다. 셋째, 소극적 진영과 적극적 진영이 연출하는 그러한 편파적인 긴장관계는 교육과정의 에고 네트워크와 교사의 에고 네트워크를 지나면서 한층 더 증폭되었다. 넷째, 초등교육의 에고 네트워크는 초등교육이 제4차 산업혁명에 관한 논의에서 부당하게 소외되고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동시에 소극적 주제어에 대한 교육학계의 주의를 환기시키고 있었다. 그래서 소극적 진영과 적극적 진영이 연출하는 긴장관계에 미묘한 균형을 부여하는 일과 초등교육에 응분의 관심을 기울이는 일은 우리나라 교육학계의 한 가지 근본적인 과제로 부각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trends and future of educational research o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 Korean.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the language network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abstracts of 151 papers published from January 2016 to June 2020 in the journal.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items of top 50 words governing the eigenvect centrality network were much the same as that of the betweenness centrality network or closeness centrality network. Second, there were not only surface phenomena but also phenomena behind them in which the passive group is facing the active with the defensive position. Third, such unbalanced tension made by the passive and active groups intensified further in the ego network of the curriculum and teacher. Fourth, the ego network of primary education was showing that primary education was unfairly marginalized in the discussion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hile at the same time drawing attention from academic society on passive topics. Therefore, giving a subtle balance to the tension between the passive and the active group and paying attention to primary education can be highlighted as one fundamental task of academic society in Korea.

      • KCI등재SCOPUS
      • KCI등재

        교육과정의 선구적 논의와 그 이후

        박채형 ( Chaehyeong Park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16 통합교육과정연구 Vol.10 No.4

        예일 보고서와 지식의 가치에 관한 스펜서의 논문은 10인 위원회의 보고서와 함께 1800년대에 이루어진 교육과정에 관한 선구적 논의가 어떤 방향으로 흘러갔는가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문헌으로 알려져 있다. 이 세 가지 문헌이 보여주는 흐름은 이론적 지식과 실제적 지식 혹은 이론적 교과와 실제적 교과의 대립구도에 기반을 두고 있다. 즉, 예일 보고서가 그 대립구도 속에서 이론적 교과를 옹호하는 입장을 취했다면, 10인 위원회의 보고서를 거쳐서 스펜서의 논문으로 넘어가는 과정에서 그 대립구도의 무게중심은 점차 실제적 교과를 옹호하는 입장으로 기울어졌다. 이들 선구적 논의는 그 자체로 교육과정 탐구의 한 가지 방향인 이론적 접근을 예시하고 있지만, 초기 교육과정학자들은 그 대립구도의 끝자락에 위치하는 실제적 교과에 초점을 두고 교육과정을 새롭게 개발하는 방법을 제시하는 데에로 나아갔다. 교육과정은 그들의 그러한 실제적 접근에 의하여 교육학의 한가지 탐구분야로 태동하였다. 그리하여 교육과정의 선구적 논의는 이론적 교과와 실제적 교과의 대립구도 속에서 교육과정을 학문적 탐구분야로 태동시켰을 뿐만 아니라 그 이후부터 교육과정 탐구가 취해온 두 가지 접근방식을 탄생시킨 귀중한 활동으로 평가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out the stream and its effects of pioneer`s discourses in curriculum field in the 1800s. There are three important references which represent the discourses: reports on the course of instruction in Yale college(1828), report of the Committee of Ten on secondary school studies(1894), and the article named what knowledge is of most worth by Spencer(1860). The stream implied in the references is based on antagonistic structure between theoretical subjects and practical. Minutely speaking, Yale report defend the value of theoretical subjects in the antagonistic structure, and Spencer`s article on value of knowledge defend the value of practical. Report of committee of ten is the process of shifting from the former to the latter. The pioneer`s discourses is in its nature a kind of theoretical approach on curriculum inquiry. But, early scholar in curriculum inquiry adapted practical approach which aimed at revising the traditional curriculum on the basis of practical subjects. Their efforts originated curriculum as a field of inquiry on contents of education. Consequentially, the pioneer`s discourses are evaluated as valuable activities which gave birth to curriculum inquiry and the approaches of the inquiry with two directions in the antagonistic structure.

      • KCI등재

        제4차 산업혁명 시대에 대비한 초등교사 양성기관 교육과정의 미래-○○교대의 교육과정을 사례로-

        박채형 ( Chaehyeong Park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23 통합교육과정연구 Vol.17 No.2

        본 연구는 초등교사 양성기관의 교육과정이 제4차 산업혁명의 시대와 미래의 사회에 대비하여 나아가야 할 방향과 거기에 수반되는 과제를 ○○교대의 교육과정에 초점을 두고 탐색하는 일에 목적을 두고 있다. ○○교대의 교육과정은 이미 도래한 미래에 대비하여 교육과정의 개정을 일단락지었지만, 그것은 초등교사 양성교육이 구현해야 할 키워드로 손꼽히는 ‘기본’이나 ‘연결’ 혹은 ‘다양성’을 적절하게 반영하지 못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장기적인 안목에서 처리하고 관리해야 할 여러 가지 과제를 안겨주고 있다. 교양과정의 영역과 거기에서 이수할 과목의 일관성을 도모하는 일, 필요에 이끌려 과목을 개설하는 잡동사니의 오류와 완전무결한 교사를 양성하여 배출해야 한다는 기술공학적 몽상을 교양과정과 전문과정에서 추방하는 일, 교직과정과 전공과정에 일관되게 교육실습을 이론의 확인과 이해의 차원에서 조망하는 가운데 초등교사 양성교육의 위상을 정립하는 일은 그 과제의 대표적인 사례로 받아들일 수 있다. 그렇기는 해도 그것은 ○○교대의 교육과정에 국한되는 배타적인 과제가 아니다. 그것은 미래가 초등교사 양성기관에 공통으로 부과하는 과제이며, 그런 만큼 서로의 교육과정을 돌아보면서 그것에 관한 시각을 공유하고 장차의 방향을 모색하는 일은 13개의 기관이 짊어져야 할 근본적인 과제라고 말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the future of the curriculum for university to train elementary school teacher in preparation fo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focused on the curriculum of ○○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The curriculum of the University was revised in preparation for the future era that has already begun in the last year. However, it did not properly reflect the fundamental keywords that teacher training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should pursue in the future: basics, connectivity, and diversity. It has even given us a number of challenges to deal with and manage from a long-term perspective: promoting the consistency of the area of liberal arts course and the subjects to be studied in it, removing the omnibus fallacy in which subject is attracted by necessity and the technological reverie that points to the ideal of training a perfect teacher in curriculum development, and establishing the status of teacher training education by looking at educational practice in terms of confirmation and understanding of theory. Nevertheless, these are not exclusive to the curriculum of the University. These are fundamental topics that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and the future society asks for in common to institutions for training elementary school teacher, so it is a task of the institutions at hand to share perspectives on the topics and to seek the directions of the curriculum referring to the other curricular.

      • KCI등재후보

        호이징아와 카이와의 놀이이론에 함의된 "즐거운 생활"의 성격과 영역

        박채형 ( Chaehyeong Park ),정광순 ( Kwangsoon Jeong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15 통합교육과정연구 Vol.9 No.3

        호이징아는 일찍이 놀이의 성격을 격리된 시간과 공간 속에서 재미 그 자체를 추구하는 자유로운 활동으로 규정한 바 있다. 그리고 카이와는 규칙의 유무와 놀이꾼의 의지의 개입 여부를 기준으로 놀이를 네 가지 범주로 구분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들의 놀이이론에 근거하여 ‘즐거운 생활’의 성격과 영역을 시론적으로 설정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여기에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즐거운 생활의 핵심적인 활동은 놀이와 표현이라는 종전의 핵심적인 활동 중에서 놀이에 국한시킬 필요가 있다. 둘째, 즐거운 생활은, 음악과 미술과 체육이 겨냥하는 지식이나 기능을 1∼2학년 수준에서 가르치는 교과가 아니라, 그 학생들에게 시각적 재미, 청각적 재미, 작동적 재미로 규정되는 놀이의 순수한효과를 교육적으로 실현시키기 위하여 마련된 통합교과로 규정될 수 있다. 셋째, 즐거운생활의 영역은 산술적으로 놀이가 안겨주는 세 가지 재미와 카이와가 상정하는 놀이의 네 가지 기본적인 범주의 결합으로 생성되는 12개의 셀로 설정될 수 있다. 여기에 대한수정과 보완은 통합교과의 교육과정이나 교과용 도서를 개발하고 편찬하는 과정에서 치밀하게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icate the nature and realms of ‘Pleasure Life’ as integrated school subjects for elementary school based on theory of play by J. Huizinga & R. Caillois. Huizinga defined that play is a voluntary activity executed within certain fixed limits of time and place having its aim in itself and accompanied by a feeling of tension, joy and the consciousness which is different from ordinary life. If play might be a basic activity of Pleasure Life, it would defined as school subject that help 1-2 grade students enjoy auditory, visual, and enactive fun through participating on several kinds of play prepared by teachers. The theory of play by Caillois pave the way for selecting the realms of Pleasure Life. He proposed a division into four main rubric of play depending upon the role of competition, chance, simulation, or vertigo is dominant. He called these agon, alea, mimicry, ilinx respectively. To associate the theory with three kinds of fun above, we would have 12 cells of play. Of course, all of these cells can’t be selected as the realms of Pleasure Life, and some kind play excluded from the cells could be added. That is to say, these has to be revised and complemented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curriculum and compiling textbooks. I hope the realms of Pleasure Life will get better.

      • KCI등재

        초등학교 통합교과 수업모형에 대한 비판적 고찰 -즐거운 생활을 중심으로-

        박채형 ( Chaehyeong Park ),정광순 ( Kwangsoon Jeong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17 통합교육과정연구 Vol.11 No.3

        본 연구는 다년간 통합교과를 가르쳐 온 두 교사의 다채로운 견해에 근거하여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통합교과 교사용 지도서에 등장하는 주제학습모형과 표현놀이모형을 종전의 그것과 비교하는 가운데 교사 친화적으로 수정하고 보완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로 얻은 주제학습모형은 `주제 만나기`에서 시작하여 `주제 학습하기`를 거쳐서 `주제학습 마무리하기`로 이어지는 단계와 각 핵심적인 요소인 `소통`과 `조절` 및 `성찰`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지만, 각각의 단계 속에 포함된 세부적인 활동은 현실성 있게 수정되었다. 여기에 비하여 즐거운 생활의 수업에 활용될 표현놀이모형은 전면적으로 수정되었다. 즉, 표현놀이모형은 표현활동모형과 놀이활동모형으로 양분되었으며, 그것을 이루는 단계 또한 교사들에게 익숙한 도입, 전개, 정리로 수정되었다. 물론, 각각의 단계 속에 포함된 세부적인 활동에 대해서도 현실성 있게 대대적인 수정이 가해졌다. 결론 부분에 제시되어 있는 주제학습모형과 표현활동모형 및 놀이활동모형이 연결된 복합모형은 이러한 수정과 보완의 최종적인 결과물이다. There are two kinds of model of instruction which are called `topic centered model` and `representation-play model` in the guidebooks for elementary of integrated school subjects of school teacher following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he former is for developing unit of the school subjects and the latter is for teaching the contents of `Pleasure Life` in the process of the develop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odify the models of instruction more teacher-friendly. In the topic centered model modified by the study, the stages and cardinal elements of the model is not different from the original. That is to say, the model contains `encounter topic`, `learning topic`, and `finishing the learning` as stages, and `discussion`, `modification`, and `reflection` as cardinal elements. But, the detailed activities of it are modified practically based on the opinions of two teachers who attained the interview of this study. The representation-play model was modified completely by this study. First of all, the model was divided into `representation centered model` and `play centered model`, because representation and play are cardinal activities of Pleasure Life. The stages of the models are also modified as introduction, development, and finish. Of course, the detailed activities of each stages were modified totally with their opinions. As the result of this study, I suggested complex model combined topic centered model, representation centered model, and play centered model.

      • KCI등재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의 교사 친화적 재편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박채형 ( Chaehyeong Park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16 통합교육과정연구 Vol.10 No.3

        본 연구는 초등학교에 거점을 두고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의 체제와 내용을 현장 친화적으로 재편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자는 이를 위하여 초등학교에 근무하는 세 부장교사와 심층면담을 실시한 이후에 거기에서 얻은 그들의 견해를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의 체제와 그 속에 포함된 세부적인 내용을 재편의 근거로 활용하였다. 여기에서 얻은 초등학교 교육과정 총론은 추구하는 인간상과 핵심역량을 이루어진 제1장 교육과정의 기본 방향, 교육목표, 편제, 시간 배당 기준으로 이루어진 제2장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기준, 행정사항, 교과활동, 창의적 체험활동, 편제 외 활동, 평가로 이루어진 제3장 초등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방법으로 구성되어 있다. 물론, 이 재편된 초등학교 교육과정은 오직 세 부장교사의 견해에 바탕을 두고 있을 뿐만 아니라 시론적인 성격을 띤다. 그래서 본 논문에 의하여 재편된 교육과정은 초등학교 교사들이 보편적으로 받아들일 것이라고 확신하기 어려운 한계를 지닐 뿐만 아니라 그들의 관심과 노력에 의하여 지속적으로 개선될 필요가 있다. The Ministry of Education made public the draft of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in December 201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odify the form and contents of general guide lines of the curriculum focused on elementary education more teacher-friendly. To achieve the purpose, three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interviewed who had experience on business of curriculum in elementary school. The results are as following: Chapter Verse Ⅰ The Basic Direction of Curriculum 1. Desirable Human Characters 2. Cardinal Competences Ⅱ The Standard of Curriculum for Elementary School 1. Educational Goal 2. Formation 3. Time Allotment Ⅲ The Way of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of Curriculum for Elementary School 1. Basic Direction 2. Formation-in Activity 3. Formation-out Activity 4. Evaluation Of course, it is difficult that the form and contents of the curriculum get consent unanimously in elementary schools, because these are based on three teachers only and modified preliminarily. It would rather be improved than received. I expect that the form and contents are refined more teacher-friendly through their attention and endeavor continuously.

      • KCI등재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통합교과서 개발에 대한 기술

        정광순 ( Kwangsoon Jeong ),박채형 ( Chaehyeong Park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17 통합교육과정연구 Vol.11 No.2

        이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새 통합교과서를 어떻게 개발하였는지를 개관하고, 그 취지와 의도를 밝혔다. 연구 결과, 첫째, 국정도서로서 통합교과서 개발은 2015개정 교육과정의 취지 반영과 통합교과를 발전시키는데 기여하는 요구를 반영하였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요청한 핵심역량 함양의 취지를 통합교과서에서는 단원별 1개의 교과 역량을 중점 함양하도록 개발하였다. 핵심 개념 중심으로 내용을 정선하라는 요구를 통합교과에서는 소주제를 33개에서 16개로 줄이고 한 주제를 1단원으로 개발하고 한 달 동안 집중학습을 할 수 있게 했다. 현장의 요구를 반영하여, 주제별교과서 체제를 유지하고, 책 수는 4권에서 2권으로 줄이고, 주제 학습 호흡은 2주에서 4주로 늘이고, 학생 참여형 수업 여건을 위해서 80분 단위의 차시 수업을 개발하는 등 현행 교과서의 약점들을 해소 완화하였다. 둘째, 새 통합교과서는 기존의 주제별교과서를 유지함으로써 주제 중심 통합학습이 현장에 안착하도록 의도하였고, 구성차시를 도입하여 학생의 수업 참여 방식을 전환하고, 참여 정도를 강화했다. This study aims to describe the development of the Elementary School Integrated Subjects Textbook based on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s a result, first, we developed text books. Especially, when we were in progress, there were demands to meet the intent and purpose of the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nd make it dedicate to development of integrated curriculum field. Therefore, the new version of the integrated textbook includes 1 core competency, required by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per unit, and reduced 33 small themes into 16 in order to reflect requirements to focus on key concepts. The new version of the integrated textbook also was remained to be textbook based theme, the number of the books were reduced from 4 to 2, length of the intervals were changed from 2 weeks to 4 weeks, and 80 minutes student-participation-class was newly introduced. Second, the new version of the integrated textbook remained its format as textbook based theme in order to set the theme-centered integrated class down in the practice. On the other hand, we introduced blank lessen(구성차 시) to transform and strengthen student`s class participation.

      • KCI등재

        ‘초등학교로의 전이’를 인식하는 관점 탐색

        정광순 ( Kwangsoon Jeong ),박채형 ( Chaehyeong Park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17 통합교육과정연구 Vol.11 No.4

        본 연구는 ‘초등학교로의 전이’를 어떻게 이해 할 것인가 하는 문제를 다루었는데, 특히 전제와 구심점을 밝혔다. 이를 위해서 전이 현상에 대한 이론적 패러다임과 국내 선행 연구를 검토하여 초등학교로의 전이를 인식 해 온 관점을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 전이를 인식하는 패러다임은 전이를 문화 적응 과정, 생활세계의 확대에 따른 관계 및 심리 특성, 유치원에서 초등학교를 잇는 징검다리 놓기로 이해하도록 안내해 왔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국내 연구는 유치원의 전이 활동을 ‘준비’, 초등학교의 전이 활동을 ‘적응’ 개념을 중심으로 이해하도록 이끌어 왔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초등학교로의 전이를 좀 더 심층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 유치원에서의 전이활동과 초등학교에서의 전이활동의 차이를 중심으로 한 초점, 개념 구분이 필요하며, 이런 방향에서 유치원과 초등학교를 잇는 징검다리 규명과 유치원과 초등학교에서의 전이활동에 대한 정향을 설정할 필요가 있음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regard ‘How to understand the transition to elementary school.’ For this, the study explored theoretical paradigms and domestic prior studies of the transition, then discussed 4 distinct viewpoints of the transition to elementary school. Studies about the transition guided us to cultural adaptation process(cultural approach), particular psychological phenomenon accordingly to life world expansion(psychological approach), and living as a member of a new society(sociological approach). Also, domestic prior studies described transition to kindergarten as ‘preparation’ and transition to elementary school as ‘adaptation.’ Thus, transition to elementary school needs to be understood as a honeymoon, and then as a cultural shock or crisis in the elementary school, which these shock and adaptation would rather be real than a mere maladjustment. Secondly, the transition can be observed mainly as a transition during the kindergarten years and a change in the elementary school. Thirdly, the studies needed to discover a switching frame integrating two dimensions after exploring the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transitions. Lastly, the study made it clear that approach to kindergarten transition was positive sentiment and congratulating perspective protecting excitements and expectations toward the school life.

      • KCI등재후보

        2009 개정 통합교과 교육과정에 대한 학계 및 현장의 개선 요구에 대한 해명

        정광순 ( Kwangsoon Jeong ),박채형 ( Chaehyeong Park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15 통합교육과정연구 Vol.9 No.2

        본 연구는 2009 개정 바, 슬, 즐 교과 교육과정 고시 이후, 학계에서 쟁점이 된 논의와 현장으로부터 나온 의견들을 살펴보고 한 하나의 해명이다, 이를 위해서 먼저, 초등학교 통합수업의 관점에서 2009 개정 바, 슬, 즐 교과 교육과정을 보면, ‘바, 슬, 즐 시간에 바, 슬, 즐 교과서 가르치는 수업’을 ‘테마가 있는 주제중심 통합수업’으로 전환을 위한 것임을 밝혔다, 연구 결과, 첫째, 학계에서 논의되고 있는 사항은 크게, 세 가지였다, 하나는 바, 슬, 즐 교과는 독립 교과인가 혹은 통합교과인가 하는 문제, 둘은 2009 개정 바, 슬, 즐 교과 교육과정이 탈학문적 접근이 맞는가 하는 문제, 마지막으로 유-초교육과정 연계 관점에서 누리과정보다 바, 슬, 즐 교과 교육과정 내용 수준이 낮거나 역행 한다 것이었고, 본 연구는 이 각 쟁점에 대해 해명하였다, 둘째, 2013학년도 이후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새 교과서를 적용 하면서 바, 슬, 즐 교과의 교육과정 및 교과서에 대한 현장의 요구는 두 가지였다, 즉 이 연구는 바, 슬, 즐 구분을 없애 달라는 요구와 1학년과 2학년의 주제를 달리 해달라는 요구에 대해 해명하였다, This paper studied and explained issues that has been disputed in the research field after 2009 Revised Integrated Subjects Curriculum for Elementary Schools and suggestions from the school field. For this purpose, first, from the point of view of integrated subjects teaching and learning in elementary school classroom, 2009 Revised Integrated Subjects Curriculum is to shift the landscape of the normal elementary school classroom``s learning and teaching from ‘teaching disciplined life, intelligent life, pleasant life at disciplined life, intelligent life, pleasant life time’ to ‘Theme based’ After the research, Consequently, first, issues that has been disputed in the research field can be defined into 3 categories; 1) Are disciplined life, intelligent life, pleasant life independent or integrated subjects? 2) Did 2009 Revised Integrated Subjects Curriculum of Elementary School have trans-disciplinary approach? 3)Explained the critics regarding K-1st grade that disciplined life, intelligent life, pleasant life is lower or reverse in its content level than Nu-ri curriculum. Secondly, since 2013, 2009 Revised Integrated Subjects Curriculum of Elementary School was understood in a full scale as an application to a new textbook, and thus this study explained 2 requests from school, that is 1) remove the boundaries of each disciplined life, intelligent life, pleasant life, and 2) differentiate the themes of 1st from 2nd grad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