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구석기시대 설치류 화석과 고환경 : 정선 매둔 동굴유적을 중심으로

        박지효(Jihyo Park) 한국구석기학회 2021 한국구석기학보 Vol.- No.43

        강원도 정선군 남면 낙동리에 위치한 매둔 동굴유적은 연세대학교박물관에 의해 2016년부터 현재까지 발굴조사가 진행되고 있는 곳이다. 약 3m의 퇴적층에서 구석기·신석기·청동기시대에서부터 근·현대까지 이르는 다양한 유물과 동물화석 등이 확인되었다. 특히 동물화석 분석에서는 대형포유류 동물상에 대한 연구는 진행되었으나, 소형포유류 화석은 체계적으로 다루어지지 못하였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매둔 동굴유적에서 수습된 소형포유류에 주목하였으며, 이 가운데 고환경 복원에 유용한 설치류 화석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학위논문에서는 구석기·신석기·청동기층 설치류 화석을 전반적으로 관찰하였으나 본 글에서는 2구획의 구석기층 출토 화석을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2구획 구석기층에서 확인된 설치류 화석은 총 2과 10속 13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최대뼈대수(NISP)를 토대로 한 최소마리수(MNI)는 약 34마리로 산출되었다. 세부 층위별로 나누어 보면 구석기 1층(P-1)에서는 2과 8속 10종(최소마리수 18마리), 구석기 2층(P-2)에서는 2과 7속 9종(최소마리수 16마리)의 설치류 화석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종적 구성을 해석하기 위하여 설치류 종별 생태유형 및 한반도 내 설치류 화석 출토 유적을 정리하였다. 분석 결과, 매둔 동굴 유적 구석기층의 설치류 동물상은 북한의 황주 청파대 동굴 및 한국의 제천 점말용굴과 가장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다양한 종 가운데 산쥐, 간단이빨쥐, 라티셉갈밭쥐 등을 통해 퇴적층 형성 당시 유적 주변이 현재보다 서늘하고 건조한 기후였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특정한 서식환경에 대한 제약 없이 대부분의 환경에 잘 적응하는 등줄쥐, 비단털들쥐 등이 같이 출토하기 때문에 설치류 종적 구성은 ‘생태학적 다양성’을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This study attempted at analysis of paleolithic rodent fossils and paleoenvironment using fossils from Maedun cave site in Jeongseon, Korea. Excavation led by the Yonsei University Museum is still underway in Maedun cave site located at Nakdong-ri, Nam-myeon, Jeongseon-gun, Gangwon-do Province since 2016. A variety of relics were identified on about three-meter sedimentary layers Maedun cave site in which people had long inhabited and settled from the Paleolitic·Neolithic·Bronze Age to the modern time. In particular, a study on macro-mammal fauna was settled into shape but, unfortunately micro-mammal fauna were not systematically observed and further analyzed. In this light, this article analyzed rodent fossils good for paleoenvironmental reconstruction among micro-mammals gathered at this cave site. In spite of observing and analyzing all of rodent fossils unearthed from Paleolitic·Neolithic·Bronze Age layer in master’s monograph, I have observed rodent fossils excavedted from Paleolithic layer in ‘Second section’ closely. As a result, the number of rodent fossils at the Maedun cave site’s paleolithic level revealed that there were a total of 71. And that fossils were classified into 2 families 10 genera and 13 species. Also the Number of Identified Specimens(NISP) and the Minimum Number of Individuals(MNI) were calculated based on the species composition. The species composition of Paleolithic-1 layer turned out 2 familes 8 genera 10 species (MNI: 34 consisting of 18), and 2 familes 7 genera 9 species (MNI: 34 consisting of 16) in Paleolithic-2 layer. In order to comprehend composition of rodent fossils, each rodent’s ecological type and the excavtion list of fossils founded in the Korean Peninsula was organized. Maedun cave site’s rodent fauna was similar with Cheongpadae cave site(North Korea) and Jeommal cave site(South Korea). Furthermore, representative rodent fossils in the Paleolithic layer pertaining to the Quaternary-Pleistocene Period include Alticola, Pitymys simplicidens and Microtus ratticeps from which it can be said that there had been cold and dry weather in the time when sedimentary layers were formed. However, it can be explained that the species composition was reflected on ‘ecological diversity’ account for unearthing Apodemus and Eothenomys regulus which adapted themselves to any natural environment.

      • KCI등재후보

        폴리도파민 표면화학: 발명 10 년의 이야기

        엄수민 ( Soomin Eom ),박홍기 ( Hong Key Park ),박지효 ( Jihyo Park ),홍선기 ( Seonki Hong ),이해신 ( Haeshin Lee ) 한국접착및계면학회 2018 접착 및 계면 Vol.19 No.1

        바다에서 서식하는 홍합의 독특한 수중 접착성을 모방하여 개발된 폴리도파민 (polydopamine)코팅 기술은 2007년 처음 발표된 이래 지난 10년 동안 전세계적으로 매우 크게 발전하였다. 표면 비특이적인 코팅 능력을 통해 이제까지 표면 개질이 어려웠던 다양한 표면을 제한 없이 기능화 할 수 있는 유일한 표면 화학으로 자리 잡았으며, 또한 다양한 반응 조건에서의 코팅 방법이 새롭게 보고되면서, 산업 전반에 걸친 폴리도파민의 응용 범위가 기하급수적으로 넓어지고 있다. 한편, 밝혀지지 않은 폴리도파민의 복잡한 화학적 구조와 형성 반응 메커니즘에 관한 재료화학적 기초 연구도 지속적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폴리도파민의 전구체인 도파민 (dopamine)과 유사한 분자 구조를 가지는 다양한 카테콜아민 (catecholamine) 화합물과 폴리페놀 (polyphenol)의 표면 코팅 능력이 새로이 밝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난 10년 동안 전세계적으로 급속한 발전을 이룬 폴리도파민의 특성 및 응용분야에 대해 살펴보고, 이를 통해 폴리도파민의 표면 화학 분야에서의 의의와 가능성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Polydopamine coating is one of the most straightforward and widely used method for surface modification inspired by adhesiveness of mussel foot protein contributed by co-existence of catechol and amine. This technique has been utilized not only in surface modification but other numerous fields of study as well. For the past decade, the subject of polydopamine has been thoroughly studied since the initial polydopamine research published in 2007, including its chemical structure, coating conditions, and material characteristics. In this study, we report the current trends and progress of polydopamine coating methods, the newly developing areas of polydopamine related research such as using dopamine derivatives and polyphenolic compounds, improvement of various functionalization and application of polydopamine coating, and explain the state of current attempts to discover the chemical mechanism, structure, and properties of polydopamin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