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지용과 김수영의 시에 있어서 근대 도시의 표상성 -"지도"와 "유리"의 이미지를 중심으로

        박정선 ( Jung Sun Par ) 우리어문학회 2011 우리어문연구 Vol.39 No.-

        정지용과 김수영은 전통과 근대의 두 가지 지향성이 혼재하는 혼종의 시기를 살면서 이 두 가지 지향을 내면화하고 조화시키고자 하였다. 정지용이나 김수영 모두 외국의 근대문학에 대하여 익숙하였고 일본 유학 생활을 통하여 서구의 문예사조를 체험한 한편, 유학과 고전에 대한 상당한 지식을 지니고 있었다. 정지용과 김수영은 그 이질성 때문에 한 자리에서 논의되는 경우가 거의 없었으나 두 시인 모두 모더니즘과 전통의 혼종성 속에서 새로운 시적 형식을 모색하고자 하였으며 이러한 모색과 탐구의 과정을 통하여 모더니즘이나 전통 지향성 어느 한쪽으로 분류되지 않는 독자적인 시세계를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동일 선상에 놓일 수 있다. 이 글은 몇몇 개별 작품, 특별히 ``지도``와 ``유리``를 시적 대상으로 삼고 있는 작품의 분석을 통하여 정지용과 김수영과의 연결점을 찾고자 하였다. 세계를 일정한 비율로 축소하여 한 눈에 볼 수 있게 만든 장치로서의 지도, 세계에 대한 시각화로서의 지도는 세계에 대한 지식 자체이며 지도를 통하여 주체는 보다 확장된 인식을 지닐 수 있게 되었다. 근대는 표상적이고 재현적인 질서에 기반해 있으며 지도는 근대의 이러한 표상적, 재현적 질서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매개체이다. 한편 유리는 그것의 투명성으로 인하여 대상을 선명하게 보여 주지만 그것의 단단함으로 인하여 대상과 단절되거나 차단된다는 이중성을 지닌 근대적 매질이다. 근대 도시체험을 얘기할 때 빠지지 않고 거론되는 백화점 체험이나 기차 체험은 유리창의 시각성을 매개로 하여 이루어진다. 정지용의 작품이 표상적이라면 김수영의 작품은 표상적 질서를 초월하고자 하였다. 정지용의 시적 자아가 비유적 체계 안에서 시적 상관물과 관련을 맺고 있다면 김수영의 시적 자아는 비유적 관계를 넘어서 변용 혹은 실존의 이행을 보여준다. ``지도``와 ``유리``라는 근대적 이미지를 시적 대상으로 한 시편을 살펴보는 일은 정지용과 김수영이 근대에 대하여 가지는 태도를 이해하는 데 유용한 관점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근대에 대한 태도를 살피는 작업은 이후 두 시인의 후기 시편에서 도출할 수 있는 전통 지향성을 파악하는 데 있어서도 유용한 시각을 제공할 것이다. Living in an age of hybridism where both tradition and modernism was pursued, Jung, Ji-yong and Kim, Su-young tried to internalize the two orientations and reconcile them. Both Jung, Ji-yong and Kim, Su-young were familiar with modern literary works of foreign countries, and experienced the trends of literature of the western world when they were studying in Japan. They also had profound knowledge of Confucianism and the classics. Due to their differences, the two poets have rarely been discussed together in the same context. However, a common thread can be found running through them in that both of them pursued to establish new poetic styles amid the hybridism of tradition and modernism, and in the process of such efforts, they created their own original poetic worlds that belong to neither modernism nor tradition. This paper seeks to establish common aspects between Jung, Ji-yong and Kim, Su-young by exploring some of their individual works, specifically those that adopted ``map`` and ``glass`` as their poetic object. Maps, a tool that helps look at the world at a glance by scaling it down and that visualizes the world, represent the knowledge of the world and help poetic subjects deepen their understanding of the world around them. The modern world revolves around orders of representation, which are plainly demonstrated by maps. Glass is a modern medium with dual meanings; its transparent characteristic works to show objects clearly, while its hardness signifies severance and block. Experiences of department stores and trains, two typical types of experiences for modern city life, are based on the visibility that window glasses offer. The works of Jung, Ji-yong are representational. On the other hand, Kim, Su-young tried to transcend representational orders in his poems. Similarly, the poetic ego of Jung, Ji-yong builds its relationships with poetic correlatives in a metaphorical system, while Kim, Su-young`s poetic ego goes beyond metaphorical relationships and demonstrates transformation or transition of existence. Exploring their poetry with the modern images of map and glass as its poetic object will help better understand the two poets` attitudes toward modernism, and such effort will further offer useful insights into the orientation toward tradition found in their later work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