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GIS를 이용한 접근불능지역의 홍수지도제작에 관한 연구

        박정기(Park, Jeong Gi),윤홍식(Yun, Hong Sik),공만식(Kong, Man Sik),염민교(Youm, Min Kyo) 한국측량학회 2011 한국측량학회 학술대회자료집 Vol.2011 No.4

        분쟁국가간의 공용하천에서의 물 분쟁은 상류측의 수문자료나 지형자료를 취득하기가 매우 어렵고 민감한 문제로 제한적인 자료만을 취득할 수밖에 없어 극한 홍수시에 그 피해정도를 예측하기는 매우 힘들다. 그로인해 홍수억지대책 마련에 어려움이 있고, 실제 극한홍수발생시 대피 매뉴얼이 정해지지 않아 더 큰 피해를 입을 수 있는 위험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제한적인 자료만을 취득할 수 있는 접근불능지역에서 지형데이터를 구축하고 Godunov 기법의 2차원 천수방정식 해석 알고리즘을 이용한 BreZo모델를 이용하여 극한 상황에서 모의실험을 하여 홍수도달시간, 침수유형, 침수영향범위, 침수심을 구하고 최종적으로 홍수지도를 제작하였다. Especially in case of the disputes about sharing river between disputed nations, it is very hard to collect the hydrologic data and the topographic data of upriver so the limited data only is possible because of a matter of a delicacy. Therefore it is so hard to predict the damage of havoc. Because the evacuation manual of a real flood situation isn’t set, there is a danger of the greater havoc. This study is to build the topographic data from inaccessible area where the limited data could be obtained, to draw the flood-risk map with BreZo model using analysis algorithms on two-dimensional shallow water equations of Godunov-type scheme, and to obtain the time of flood concentration, the flooding type, the scope of flood and the depth of inundation.

      • 창원시 노거수 입지환경 분석을 통한 보호수 지정 및 관리 개선 방안 연구

        박정기 ( Jeong Gi Park ),최송현 ( Song Hyun Choi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5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5 No.2

        노거수는 자연유산이자 환경 지표이다. 노거수 자원의 생태 · 문화적 인식이 높아지고 있지만 현황조사 차원의 연구와 토양 성분, 잎 활력도 분석을 통한 생육상태를 진단하고 관리 방안을 제언하는 논문이 대부분이었다. 노거수 입목형태 분석이나 입지환경과 생육상태의 상관관계 그리고 보호수 지정과 관련된 연구는 부족하고 연구 대상도 지정노거수(천연기념물, 도기념물, 시군보호수)에 치중되어 있어비지정노거수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편이다. 2010년 창원, 마산, 진해 3개시가 통합하여 743,48㎢ 면적을 가진 창원시는 섬 · 해안 · 내륙이 공존하는 한반도 남동부의 대표지역으로 이 지역 노거수 자원에 대한 연구는 없었다. 본 연구는 환경수도와 생태관광을 표방하는 창원시 행정구역 내 노거수 분포 현황을 조사하고 입지 환경과 관리실태를 분석하여 보호수 지정을 위한 매뉴얼 개발 및 지속가능한 보존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2014년 12월부터 2015년 9월까지 예비조사, 1, 2차 현장조사, 결과 분석 순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예비조사에서문헌 자료를 찾아 지정노거수 현황을 정리하고 지역주민청문을 통하여 비지정노거수 145본을 파악하여 조사 대상노거수 237본 목록을 작성하였다. 1차 현장조사는 지정노거수 자료와 실제 현황을 확인하고, 비지정노거수의 위치, 수종, 본수도 확인하여 주요 제원을 측정을 하였다. 2차 현장조사에서 세부 제원을 실측하고 입지환경, 생육상태, 관리 실태를 정밀조사 하였다. 노거수 수령은 수종별로 줄기절단면과 고사목 그루터기 나이테를 조사하여 생장량을 계량화 하였고, 장기생장 유 · 불리 조건을 찾기 위하여 최근고사한 노거수 입목 환경을 조사 분석하였다. 노거수에 대한 제원, 입지환경, 생육상태, 인문환경 등 세부항목을 조사지정노거수와 비지정노거수 2개 집단으로 분류, 통계적 방법으로 비교분석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창원시에는 천연기념물 1개소 4본, 경상남도기념물 1본, 창원시보호수 53개소 87본 등 지정보호수 92본과 이에 속하지 않는 비지정노거수 145본을 합쳐 237본 노거수가 분포하고 있었다. 노거수 분포는 자연입목보다 식재수목(54%)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종은 전체 22종 237본 중 푸조나무가 72본 (30.4%)으로 느티나무 56본(23.6%), 팽나무 36본(15.2%) 소나무 13본(5.5%) 서어나무 12본 (5.0%)에 비해 많았다. 이는 푸조나무 수호수(守護樹) · 비보림(裨補林)이 많은데서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지정노거수 평균규격은 402㎝로 비지정노거수 378㎝보다 컸다. 그러나 팽나무, 서어나무, 소나무, 왕버들, 음나무 최고제원은 비지정노거수가 더 컸으며 북부리 팽나무는 국내 최고규격으로 알려진 천연기념물 494호 고창 수동리 팽나무보다 흉고둘레가 15cm 큰 것으로 밝혀졌다. 수형과 수세, 가지신장, 지엽밀도, 신엽 및 낙엽, 뿌리 건전도와 결손지, 부패·동공(洞空), 부정아, 수피용탈, 줄기혹, 병충해 유무로 진단한노거수 생육상태는 지정노거수는 ‘보통(건전)이하’ 비지정노거수는 ‘보통’으로 나타났고 지정노거수 64%, 비지정노거수 22%가 외과수술을 하였다. 입목지점의 지형, 토지이용현황, 토성, 미기후, 천재 및인재 요소, 인공시설물의 복사열과 간섭, 원지반 변형 정도를 분석한 결과 비지정노거수의 입지환경(자연성)이 비교적 양호하게 나타났으나 지정노거수는 개방된 공간에 도로와 건물 · 시설물과 근접하는 개체가 많아 상대적으로 열악하였다. 수관영역 내 바닥상태와 투수율이 나쁠수록 외과수술률이 높은 것은 두 집단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났다. 수세쇠락 또는 고사(枯死)진행은 인위적 원인(84%)이 자연적원인(16%)보다 높았고 도로확장이 가장 큰 요인으로 나타났다. 생육지반 변화 적응력은 소나무, 곰솔, 은행나무, 느티나무, 회화나무, 팽나무·, 푸조나무, 서어나무 순으로 높았고, 노거수 근경부에 주로 발생하는 줄기혹은 암석, 절개지, 석축 등 입목지점 경질(硬質) 하지반의 영향이 큰 것으로 추정되었다. 입지환경과 수종, 입목형태와 건강성은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는데, 삼진지역은 푸조나무 비보림이, 내서지역은 서어나무 동구림(洞口林)이, 대산지역은 팽나무 당목이, 진해는 해안을 따라 팽나무의 생육상태가 양호하였다. 단목(單木:독립수) 보다는 쌍수(雙樹) 또는 군집 형태로 입목하거나 주거지와 이격하여 위치하고 후계목을 가진 노거수가 건강성과 지속가능성이 높았다. 옛 관아가 있었던 소답동 진동면 웅천동에 느티나무가 집중 분포하고 있으나 생육상태는 보통이하로 도시화에 따른 환경변화가 원인으로 판단된다. 인지성·장소성이 높고 신앙대상과 제례의식, 유래 전설이 있는 인문환경을 가진 노거수는 보존 의식이 높아 장기 생장에 유리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지정노거수의 입지환경 · 건강성 · 수형미가 낮은 것은 보호수로 지정이 오히려 노거수의 자원 가치가 떨어진 결과로써 접근성이 좋은 지정노거수에 사람을 위한 과도한 개발과 시설물 도입이 원인으로 사료된다. 노거수는 원경(遠景)이라는 인식과 달리, 주간(主幹)의 규모, 판근(板根), 줄기뻗음새 등 수관 내 근경(近景)을 선호하는 경향으로 노거수에대한 인식을 변화시키는 것이 경관에도 유리할 것으로 판단된다. 창원시 노거수는 지나치게 외과수술과 수간주사에 의존하고 정자나 운동기구 등을 과도하게 설치하거나 불투수포장, 일본식 조경석축을 조성하는 등 문제점을 가지고 있고, 주민의 신청에 의하여 접근성 위주로 노거수를 지정하여수령과 제원(규모) · 희소성 · 생태성 · 지역대표성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향후 정기적인 노거수 전수조사와 재평가를 통하여 노거수 지정 및 해제 등을 본 연구에서 제시한 <노거수자원조사표>와 같은 노거수 발굴, 평가, 지정 매뉴얼을 마련해야 하고, 노거수가 건전하게 생육할 수있도록 충분한 생육공간 확보, 예비보호수(관리수) 지정, 후계목 육성, 친환경 생태적 관리가 이뤄져야 할 것이다. 향후 노거수 제원, 건전도, 희소성, 경관 문화성, 지속가능성 등 생태 및 문화적 가치를 계량화함으로써 노거수 지정 및 관리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평가표 개발 연구가 필요하다.

      • KCI등재

        KOMPSAT-2 영상 및 고해상도 항공영상을 이용한 도심지역 식생분류

        박정기(Park, Jeong Gi),고신영(Go, Shin Young),조기성(Cho, Gi Sung) 대한공간정보학회 2013 대한공간정보학회지 Vol.21 No.4

        최근 탄소 흡수원으로 산림자원의 체계적인 관리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도심지역에서의 산림자원은 탄소 흡수원 뿐만 아니라 도시자연의 환경개선 기능은 물론 사회적 정서적 측면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해상도 항공영상과 KOMPSAT-2 위성영상의 이용하여 도심지역내 산림 영역의 수종 분류를 수행하기 위하여 고해상도의 항공영상과 위성영상의 NIR밴드의 영상재배열을 수행하였으며 NDVI 등 9개의 다양한 식생지수를 분산분석을 통해 임상단위로 수종을 구분하였다. 또한 산림청에서 제공하는 임상도를 이용하여 본 연구에서 구분된 수종과 비교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와 같은 식생분류 결과를 바탕으로 도시지역 내 식생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구축하고자 하였다. Recently, It is increasing that importance of systematic management by carbon sinks in forest resources. Especially, in terms of social, Forest resources in urban areas are important role as well as carbon sinks, and improvement of the natural environment of the city. In this study, through ANOVA analysis that a total of nine different vegetation index from rearranged NIR band of images to Forest tree species classified in urban areas using high-resolution aerial images and satellite images of KOMPSAT-2. And various vegetation indices such as NDVI are divided a species by forest units through statistical analysis. Also, separated species are compared to forest type map by the Forest Service. As a result, it is built as basis for vegetation management in urban areas.

      • 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후보

        rhBMP-7 adenovirus로 형질전환한 사람 섬유모세포로 유도된 뼈형성의 형태학적 조사

        박정기(Jeong-Ki Park),성언기(Eon-Gi Sung),김주영(Joo-Young Kim),김재룡(Jae-Ryong Kim),안면환(Myun-Hwan Ahn),김홍태(Hong-Tae Kim),문용석(Yong-Suk Moon),송인환(In-Hwan Song) 대한해부학회 2006 Anatomy & Cell Biology Vol.39 No.2

        BMP-7 adenovirus (AdBMP-7) 유전자치료제의 효용성을 확인하기 위해서 사람 진피섬유모세포를 배양하여 재조합 AdBMP-7로 형질도입 시킨 후 누드마우스의 장딴지근육에 주사하여 세포를 이식한 다음 1, 2, 4, 6주에 희생시켜 뼈발생과정을 형태학적으로 추적하였다. 세포이식 1주째 근육섬유 사이에 신생조직의 형성이 관찰되었다. 그 중 상당부분은 연골로 확인되었는데 Von Kossa 염색과 전자현미경 소견에서 연골바탕질의 석회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식 2주째에 해면뼈의 형성이 관찰되었고 뼈잔기둥 사이에 근육섬유들과 지방세포가 섞여 있었다. 뼈표면에는 뼈모세포와 뼈파괴세포가 관찰되었다. Von Kossa-Van Gieson 염색 결과 전반적으로 뼈잔기둥은 흡수되는 부분이 많았다. 4주째에 뼈잔기둥사이의 공간은 거대핵세포를 위시한 혈구발생과정의 세포들로 채워져 골수가 형성되었다. 이식 6주째의 조직검사에서 골수내의 뼈잔기둥은 많이 감소되었고 겉질뼈는 두꺼워졌다. 상당부분의 뼈기질은 표면에 평행한 층판배열을 하고 있었고 그 속에 뼈세포 뿐만 아니라 뼈세관과 그 속의 세포질 가지들도 관찰되었다. 본 실험의 결과로 세포를 매개로한 AdBMP-7 유전자치료제는 근육내에서 1주 이내에 연골의 발생과 기질의 석회화가 시작되어 4주 이내에 골수를 포함한 뼈조직의 형성이 완성되므로 뼈형성 촉진이 필요한 곳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To evaluate availability of the BMP-7 adenovirus (AdBMP-7) as a gene therapy for osteoinduction, we investigated in morphological aspect at 1, 2, 4, 6 weeks after cells injection. Primary cultured human dermal fibroblasts, transduced with AdBMP-7, were injected into gastrocnemius muscle of the nude mice. One week after fibroblasts transplantation new tissue was observed in the muscle. Majority of new tissue was evaluated as cartilage and calcification in the matrix was confirmed by Von Kossa stain as well as electron microscopy. Two weeks after transplantation, spongy bone was built up and adipocytes were observed in intertrabecular spaces. Osteoblasts and osteoclasts were observed in the bony tissue surface. In the result of Von Kossa-Van Gieson stain, osteolysis was dominant in bony trabeculae. Bone marrow was established in 4th weeks with intertrabecular space filled up by hematopoietic cells. At the 6th weeks, the number of trabeculae decreased and thickness of the cortical bone was increased. A great part of bone matrix has laminar structure which run paralleled to surface and which included osteocytes and canaliculi. These data demonstrate that cell mediated AdBMP-7 for gene therapy initiate development of cartilage and calcification of matrix within 1 week and complete bone and bone marrow formation within 4 weeks, so then, could be made practical application for promotion of osteoindu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