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내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에서 Graphic User Interface Design의 색채 적용성 비교

        박일권 ( Park Il-kwun ),이은정 ( Lee Eun-jung ),윤지영 ( Yun Ji-young ),이경현 ( Lee Kyoung-hyeon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3 한국디자인포럼 Vol.39 No.-

        모바일 디바이스의 대중화로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디바이스들은 이제 우리 생활에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디바이스로 자리 잡았다. 이와 동시에 어플리케이션의 개발 열풍으로 다양한 기능들의 어플리케이션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위치기반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인 내비게이션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지도 어플리케이션을 비롯해 내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은 이미 보편화 되는 추세이다. 몇 년 전만해도 자동차 내비게이션 시장에서는 이런 현상을 예상하지 못한 채 이제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거의 종속된 상태이다. 이에 따라 기존 자동차 내비게이션에 최적화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사용자 경험은 다시 모바일 디바이스에 최적화되는 문제를 되풀이 하게 되었다. 스마트폰은 특성상 휴대가 용이해야 함으로 스크린의 크기에 제약을 받기 때문에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과 사용자 경험 디자인은 기존의 차량용 내비게이션과는 다를 수밖에 없다. 특히 내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에서 색채는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스마트폰에서 내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색채 디자인 분석과 사용성 평가를 실시하여 색채 적용성에 관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Mobile devices like a smart phone or smart pad become a very indispensible thing in our common life by becoming popular it. At the same time, a number of applications with various functions for mobile devices are pouring by developing application fever. it is also a same situation in a location based application. This trend is becoming common already not only map application but also GPS navigation for car. Even as recently as several years ago, Nobody could expect this situation and the navigation system was subordinate to mobile devices. For this reason, the user interface design and user experience design that have been optimized in the car navigation have to be optimized to mobile devices again. The smart phone has to be easy to carry, therefore it has a restriction of size. Especially, the color in the navigation application is very important element visually. Thus, we conducted an applicability comparison of the color system in navigation application for the smart phone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olor design of the application and user test.

      • KCI등재

        IT 브랜드 웹사이트의 제품설명에 대한 커뮤니케이션 형태의 사용자 태도연구 - 구글, 삼성, 애플, 엘지를 중심으로 -

        박일권 ( Park Il-kwun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4 한국디자인포럼 Vol.44 No.-

        그 동안 웹사이트에서 커뮤니케이션은 주로 디바이스 판매를 위한 기능 설명에 주력해온 반면 차츰 소비자 입장에서 브랜드에 대한 호감도를 높이기 위한 커뮤니케이션으로 바뀌어 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세계적으로 스마트디바이스 분야에서 앞서가는 4개의 IT기업, 삼성, 애플, 구글, 엘지의 국내 웹사이트를 중심으로 브랜드 웹커뮤니케이션에 대한 브랜드별 소비자 태도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웹사이트의 커뮤니케이션에서 기본적으로 국내기업과 외국기업의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특정 브랜드에 대해 소비자의 호의적인 태도를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애플의 경우 웹인식, 웹감성표현 및 웹충성도 모두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웹감성표현 중에서 내용측면이 강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모든 요소에서 최상의 경험을 제공하는 것과 동시에 특히 내용면에서 사용자중심의 커뮤니케이션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스마트디바이스 브랜드 웹사이트의 감성적 커뮤니케이션 전략이 소비자의 브랜드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연구로 향 후 웹사이트 커뮤니케이션 전략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communication in the web-site has focused on the product`s function centered communication for selling devices in the meanwhile, but the communication is gradually shifting towards the user centered communication for making brand favorability high. For this reason, this study is for the user`s attitude according to the communication form for improving the preference in four world famous IT companies, Google, Samsung, Apple and LG etc. According to the result, there are differences of the communication between domestic and foreign companies basically and it shows the particular brand has the higher favorable attitude than other brands. The result shows that all of elements, web-awareness, web-emotional representation and web-royalty, are higher than others in case of Apple. Especially, the contextual representation in web-emotional representation is more important to make a favorable attitude than other elements. This study presented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of web-site`s communication form as the study on how the emotional communication form will affect the brand attitude.

      • KCI등재

        IT 브랜드 광고 속에서 나타나는 사용자경험 커뮤니케이션 연구 -갤럭시S와 아이폰 광고를 중심으로-

        박일권 ( Il Kwun Park ) 디자인융복합학회 2014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3 No.6

        UX는 이미 IT분야에서 보편화되어 그 영역을 확장해왔다. 이제 기업들은 사용자 리서치를 통해 니즈를 발견하고 사용자로부터 도출한 인사이트와 UX산출물들을 기반으로 최고의 사용자 경험과 만족도를 제공하기 위한 제품 및 서비스를 개발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UX는 다른 영역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특히 광고 커뮤니케이션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IT 브랜드 중 UX가 가장 잘 적용되고 있는 스마트폰의 최근 4년간 광고들을 조사, 분석하였다. 특히 스마트폰의 양대 산맥이라고 할 수 있는 삼성과 애플의 광고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조사결과 두개 브랜드 모두 초기에는 기능 및 기기중심에서 사용자 중심으로 이동하였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제품 개발 단계에서 UX가 광고제작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는 증거라고 볼 수 있다. 광고사례를 통해 사용자중심 광고의 세 가지 특징을 정의할 수 있다. 첫째 사용자 스토리, 둘째 현실적 사용자 행태, 마지막으로 직설적 표현이다. 이러한 특징들이 광고사례에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경향 속에서 몇 가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UX was already generalized in field of IT and this area has been expanded. Many IT companies are developing their products and services for consumers to provide best user experiences and satisfactions based on user`s insights and outputs of UX from user`s needs by user researches. In this context, UX is influencing other different fields and it is especially related to the advertising communication. Therefore, I investigated and analyzed advertisements of smart-phone brands that UX applied well in nearly four years. Especially, the selected brands for the investigation of cases are Samsung and Apple which are the two prominent companies known for smart-phone brand in the world.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the IT advertisement is moving on from the function and device center to the human center. This change can be the proof that the UX in developing stage of a product has an effect on the advertisement production. The three characters of human centered advertising can be defined by the advertising cases. First is the user story, second is the realistic user behavior and final is the indicative mood. These characters appear in the human centered advertising and this paper includes several implications from it.

      • KCI등재

        논문 : 모바일 음악 스트리밍앱의 사용자 행태에 따른 GUI 사용성 연구

        박일권(주저자) ( Il Kwun Park ) 디자인융복합학회 2015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4 No.2

        모바일시대로 접어들면서 음원시장 역시 폭발적으로 성장하였다. 최근 기존의 Mp3 음원 다운로드 시장은 점차 스트리밍서비스로 옮겨가는 추세이고 번거로운 다운로드와 제한적인 저장용량에 상관없이 무한대의 음원을 인터넷이 연결된 곳 어디서나 이용이 가능하다. 모바일 음악스트리밍서비스에 대한 사용자행태 리서치 결과 주로 추천음악, 인스턴트재생, 메인플레이어 그리고 공유하기를 주로 사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모바일음악스트 리밍서비스의 중요한 특징이자 기존 다운로드서비스와 차별화되는 요소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기존 다운로드서비스의 UI디자인을 그대로 답습하고 있으며 스트리밍서비스에 특화된 UI디자인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상위 음악스트리밍서비스 3사 모바일앱의 GUI에 대한 사용성평가를 진행하였다. 결과 벅스와 네이버뮤직이 추천음악, 인스턴트재생, 메인플레이어 및 공유하기에서 전반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았으며 멜론의 경우 다른 서비스에 비해 낮은 결과를 보였으나 색상 적용에서는 타사 앱보다 높은 평가를 받았다. 본 연구는 사용자행태를 기반으로 스트리밍서비스에 대한 본질적 기능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UI디자인의 사용성을 평가하여 스트리밍서비스의 UI디자인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As the market of music download stores moved into the mobile epoch the market was growing explosively. Recently, the digital music market tends to move from the mp3 download market to streaming service and the users can use the service on their mobile devices without reference to any inconvenient download and limited storage capacity. It was found that they mainly use the recommendation music playlist, instant player, main player and sharing of the functions of the streaming service from the user behavior research. This is noticeable features that set apart from the mp3 download service. However, the interface design of the streaming app followed the previous service and it needs the optimization of its UI design. In this study, the usability of high ranked three mobile streaming apps was evaluated. The result of the test was that Naver music and Bugs had high scores overall in four sections of the streaming service features. On the other hand, the Melon had primarily high score in color application on the servic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direction of the UI design of music streaming service through the understanding of essence of streaming service and evaluation the usability test.

      • KCI등재

        모바일 날씨 어플리케이션의 정보 UI디자인 유형에 따른 사용자경험 연구 -2015년 하반기 국내 날씨 앱(app)의 심볼형, 실사형 정보 아이콘디자인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박일권 ( Il Kwun Park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16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54 No.-

        본 논문은 모바일 날씨 앱에서 실사형, 심볼형 아이콘 간의 사용자경험의 차이를 사용자리서치, 설문조사 및 통계적분석방법과 포커스그룹인터뷰 등 질적, 양적 연구를 통해 비교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날씨 정보의 사용 행태에 대한 사용자 리서치 결과 매일 습관적으로 날씨를 확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날씨 정보와 관련하여 다양한 동기와 행동들을 관찰할수 있었다. 특히 사용자들은 이미지 중심의 정보 습득행태를 보였다. 설문에 대한 t검증 결과에서는 실사형아이콘이 심볼형보다 예측성을 제외한 모든 요인에서 높은 결과를 보였으며 사용자경험 요인 간 상관관계에서는 실사형 아이콘에서 감성적, 기능적, 상호작용적요인 모두 뚜렷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따라서 날씨앱에서 실사형 아이콘 형태가 사용자경험 형성에 좀더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결과는 명확한 정보전달의 기능적 측면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정보를 재 수용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새로운 경험차원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고려가 필요함을 논증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differences of the user experience between the symbolic and actual icon types on mobile weather applications by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such as the user research, survey, statistical analysis and focus group interview etc. The research on the using behavior of the information showed that the users checked the weather habitually and it was possible to observe the user behaviors and motives to be associated with the weather. Especially, the user showed the behavior of acquisition of image centered information. The result of t-Test showed that the actual icon type was higher than the symbolic type in the most of the factors except for the predictability, and the result of the correlation analysis among the factors of the user experience showed the clear result in all of the emotional, functional and interactive factors. Therefore, the actual icon type is more efficient to make user experiences than symbol type and these results demonstrate not only the functional side of clear information delivery, but also the necessity for the consideration of the user interface design on the new empirical level that is created by the reacceptance of information of users.

      • KCI등재

        커피매장에서 빛의 수평-수직-입체적 요소에 따른 조명디자인과 사용자행태의 관계성에 관한 연구

        차인호 ( In Ho Cha ),박일권 ( Il Kwun Park ) 디자인융복합학회 2014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3 No.4

        빛과 공간의 상관관계를 통해 형성되는 공간의 인상은 빛의 수평-수직-입체적인 요소에 의해 통합적으로 연출된다. 커피매장은 공간의 목적상 상업공간으로서 고객유입과 매출증진에 기여할 수 있도록 빛의 계획이 필요한 곳이며, 더불어 방문객의 쾌적한 휴식과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문화공간으로서 빛의 양적 측면보다 질적 개선에 보다 중점을 둔 조명계획이 우선된다. 이에 본 연구는 실제 브랜드 커피매장에서 빛의 수평-수직-입체적 요소를 분석하고 빛의 요소에 따른 사용자행태를 관찰하여 빛공간이 사용자행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체계적인 조명계획에 따른 커피매장에서는 사용자 행태가 조명계획에 상응하는 관계성을 보이고 있었으며, 그렇지 않은 커피매장에서는 빛의 구성보다 가구적인 요소나 경관적인 요소에 의해 사용자 행태가 결정되거나 혼재되는 양상을 보여 커피매장 내에서 빛의 요소에 따라 사용자행태가 달라짐을 알 수 있었다. An Impression of space to be formed by the correlation between light and space is syntagmatically created by the horizontal-vertical-three dimensional elements of the light. A coffee shop as a commercial space is the place to need a lighting designfor increase of sales and detention of customer. The qualitative improvement of light is more important than the quantitative it for amenity space and communication for the customer. In thisresearch, we conducted a research on the effect of light on the user’s behavior by analyzing the Horizontal-Vertical-Three Dimensional elements of light and observing the user’s behavior in the brand coffee shops. Consequently, this study showed theconformity of user’s behavior on lighting space in the coffee shop with lighting design however, the coffee shop without it showed the aspect to be decided by the elements of the furniture or landscape than light. It means that the user’s behavior depends on the elements of light.

      • KCI등재

        논문 : 웹사이트에서 유저인터페이스디자인 레이아웃의 기능적 차이가 사용자 경험에 미치는 영향 연구-F레이아웃과 Z레이아웃을 중심으로-

        이문형(주저자) ( Moon Hyung Lee ),박일권(공동저자) ( Il Kwun Park ) 디자인융복합학회 2015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4 No.4

        디자인 요소에서 레이아웃은 전체 정보 구조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로서 정보의 배치, 연결, 구분을 비롯해 사용자의 행동유도 및 정보 인지 등의 구조적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최근 웹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레이아웃은 전통적 Z레이아웃 개념에서 점차 F레이아웃으로 변화되다가 최근에는 Z레이아웃의 변형인 분할레이아웃 형태로 점차 변화되어가고 있다. 그러나 이런 변화 이유에 대한 객관적 근거가 부족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F레이아웃과 Z레이아웃 사이에서 기능적 차이가 사용자 경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웹사이트의 제품설명 웹페이지를 중심으로 F레이아웃과 Z레이아웃 웹사이트에 대한 사용자 테스트를 진행하여 유형별 레이아웃이 사용자 경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실험 결과 F레이아웃보다 Z레이아웃을 기반으로 한 분할 레이아웃에서 사용자가 느끼는 호감도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효율성, 접근성, 몰입성 등 Z레이아웃에서 사용자의 호의적인 태도를 형성하는데 더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Z레이아웃을 기반으로 한 분할레이아웃으로 변화되어가는 웹디자인 추세와 일치하는 것으로서 사용자 평가를 통해 효과적인 웹디자인 레이아웃의 객관적인 근거를 제시하였다. The layout includes various functions not only arrangement, connection, division of information but also affordance and information recognition as the important element that determine the whole structure of information. Recently, the layout of web interface design was gradually changing from the concept of the original Z-layout to F-layout, whereas, it is being changed again into the split layout as the transform of Z-layout. However, there can be lack of grounds as to the reason of the change of layout. Therefore, it needs to study on how the functional difference between the F-layout and Z-layout affects user experience. In this study, we conduct the study on the effect of each layout type on the user experience focusing on the product description of web-page by user test. The user test have shown that the user has better feeling on the split layout based on the Z-layout than F-layout. The Z-layout also has more advantages on the formation of the favorable attitude of user in efficiency, accessibility and concentration. This result is consistent with the trend of web-design to change into the split layout based on the Z-layout and we provided the objective reasons for the effective web-design layout by user tes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