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오동도에서의 이용객에 의한 식생구조 (植生構造) 변화 및 이용자 심리분석에 관한 연구

        박명규,이경재,박인협 ( Myong Kyu Park,Kyong Jae Lee,In Hyeop Park ) 한국산림과학회 1987 한국산림과학회지 Vol.76 No.4

        This study was executed to analyze the user`s impact on vegetation structure changes and user`s psychology in Odongdo Island of Hallyo-Haesang National Park. Five sites were sampled for vegetation structure changes vi the study area according to the extent of impact observed. Also user`s psychology was studied through questionnaire with the visitors and 366 answers were collected at random sampling in May, 1986.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i.e. Machilus thunbergii, Cinnamomum camphora, and Camellia japonica forest, took possession of 32.5% (3.91㏊) of total forest area when condisering the actual vegetation. Camellia japonica community covered 40.0% (4.72㏊) and Sasa coreana community took possession of 41.8% (5.02㏊). The area of environmental impact grade 3 and 4 area covered 44.3% of total forest area and it should be restored because self-repair seemed to be impossible. The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was destoryed seriously with no younger trees in middle and lower layers by overuse impact and would be bared soon. So the preservation of autochthonous flora is required by the control of the number of users. It was shown that most of visitors come on holidays and Sunday and places which were favorably impressed were shown as the area of showing the sea and Camellia forest. Overall levels of satisfaction was comparatively low, consequently 55% of visitors were satisfied. This level of satisfaction was associated with number of users, landscape of forest and number of facilities.

      • KCI등재

        야생 차나무 집단의 임분구조와 물질현존량

        박인협,류석봉,이선하 ( In Hyeop Park,Suk Bong Ryu,Seon Ha Lee ) 한국산림과학회 1998 한국산림과학회지 Vol.87 No.2

        Twelve Camellia sinensis populations were studied to investigate the biomass distribution related to stand structure. With increasing mean age of the population, mean root collar diameter increased, while mean height, density and root collar area had no correlation with the age. The result of dimension analysis after cutting the sample trees showed that dry weights of stems +branches and root were exponentially increased and dry weights of current leaves and twigs were linearly increased with increasing root collar diameter. However, the dry weight of older leaves was not related to the root collar diameter. The range of total biomass was 1,162∼11,474㎏/㏊ and the range of current leaf biomass was 165∼1,341㎏/㏊. The range of T/R ratio was 1.5∼2.8. The biomass of stems+branches and root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root collar area of the population and were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mean age, mean root collar diameter and density of the population. The biomass of current leaves and twig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root collar area and density of the population.

      • KCI등재

        참나무류의 성장(成長) 및 물질생산(物質生産)에 관한 연구(硏究)(I) - 경기도(京畿道) 광주지방(廣州地方)의 굴참나무, 상수리나무, 떡갈나무, 신갈나무 천연임분(天然林分)을 대상으로 -

        박인협,이돈구,이경준,문광선,Park, In Hyeop,Lee, Dong Koo,Lee, Kyung Joon,Moon, Gwang Sun 한국산림과학회 1996 한국산림과학회지 Vol.85 No.1

        참나무류 주요 수종의 성장(成長) 및 물질생산(物質生産)을 파악하기 위하여 경기도(京畿道) 광주지방(廣州地方)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부속 중부연습림에 위치하고 있는 평균 수령(樹齡) 32-38년생(年生) 굴참나무, 상수리나무, 떡갈나무, 신갈나무 등 4개 수종 천연임분(天然林分)을 대상으로 임분별 $10m{\times}10m$ 조사구 10개씩을 설치 한 후 매목조사(每木調査)를 실시하고 임분별 10주씩 총 40주의 표본목(標本木)을 선정 벌목하여 조사하였다. 평균 흉고직경(胸高直徑)과 수고(樹高)는 상수리나무, 굴참나무, 신갈나무, 떡갈나무 임분의 순으로 컸다. 임목밀도(林木密度)는 굴참나무, 떡갈나무, 신갈나무, 상수리나무 임분의 순으로 높았다. 현존량(現存量)은 상수리나무 임분 122.73t/ha, 굴참나무 임분 87.03t/ha, 신갈나무 임분 72.14t/ha, 떡갈나무 임분 38.56t/ha의 순으로 많았다. 순생산량(純生産量)은 신갈나무 임분 7.49t/ha/yr., 굴참나무 임분 6.47t/ha/yr., 상수리나무 임분 6.06t/ha/yr., 떡갈나무 임분 3.52t/ha/yr.의 순으로 많았다. 순동화율(純同化率)은 상수리나무 임분 3.275, 굴참나무 임분 2.898, 신갈나무 임분 2.888, 떡갈나무 임분 1.840의 순으로 높았다. 4개 임분의 순동화율(純同化率) 순위와 순생산량(純生産量)순위가 다른 것은 잎의 현존량(現存量)이 다르기 때문이었으며 순생산량(純生産量) 순위와 현존량(現存量) 순위가 다른 것은 지속적 축적기관인 줄기, 비교적 단기간의 축적기관인 가지, 비축적기관인 잎의 순생산량(純生産量) 구성비(構成比)가 다르기 때문이었다. Four natural Quercus stands in Kwangju, Kyonggi-Do, of which ages ranging from 32 to 38 years old, were studied to compare their growth, biomass and net production. Ten $10m{\times}10m$ quadrats were set up and ten sample trees were harvested for dimension analysis in each stand. The largest mean DBH and height were shown by Q. acutissima stand, and followed by Q. variabilis stand, Q. mongolica stand, and Q. dentata stand in descending order. Tree density was the highest at Q. variabilis stand, and followed by Q. dentata stand, Q. mongolica stand, and Q. acutissima stand in descending order. Biomass was the largest at Q. acutissima stand(122.73t/ha), and followed by Q. variabilis stand(87.03t/ha), Q. mongolica stand(72.14t/ha), and Q. dentata stand(38.56t/ha) in descending order. Net production was the greatest at Q. mongolica stand(7.49t/ha/yr.), and followed by Q. variabilis stand(6.47t/ha/yr.), Q. acutissima stand(6.06t/ha/yr.), and Q. dentata stand(3.52t/ha/yr.) in descending order. The highest net assimilation ratio was exhibited by Q. acutissima stand (3.275), and followed by Q. variabilis stand(2.898), Q. mongolica stand(2.888), and Q. dentata stand (1.840) in descending order. The difference in net assimilation ratio and net production among four stands was caused by differences in their leaf biomass. The difference in net production and biomass among four stands was due to that in the distribution of net production among stems, branches and leaves.

      • 완도지역 붉가시나무림내 군집구조의 이질성

        박인협 ( In Hyeop Park ),김소담 ( So Dam Kim ),박종원 ( Jong Won Park ) 한국임학회 2014 산림과학 공동학술대회 논문집 Vol.2014 No.-

        난대성 상록활엽수림인 붉가시나무림내 군집구조의 이질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완도수목원 백운로 상부에 약 10ha의 면적으로 분포하고 있는 붉가시나무림에 20m×25m 조사구 8개를 고르게 설치하여 조사구별 삼림개황, 상대중요치, 종다양성 등을 조사분석하였다. 조사구별 삼림개황으로 교목상층의 임목밀도는 43-92본/500㎡, 평균흉고직경은 13.8-21.3㎝, 흉고단면적은 1.4-2.3㎡/500㎡이었다. 조사구별 교목층의 붉가시나무 상대우점치는 60.1-95.1%, 아교목층의 동백나무 상대우점치는 54.6-91.8%로서 조사구간 상대우점치의 차이는 있으나 우점종은 공통적이었다. 관목층의 경우 상대우점치가 가장 높은 우점종은 붉가시나무, 동백나무, 녹나무 등으로 조사구간 차이가 있었다. 종다양성을 분석한 결과 조사구별 출현종수는 10-19종, 종다양도(H`)는 0.657-0.923, 균재도(J`)는 0.528-0.750이었다. 조사구별, 수관층별 상대우점치에 의한 조사구간 유사도지수를 산출한 결과 교목 층은 63.1-95.1%, 아교목층은 57.4-97.1%, 관목층은 15.9-77.8%이었다. 이상을 종합하면 붉가시나무림내 군집구조는 이질성이 비교적 높으며, 특히 관목층의 이질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A Quercus acuta forest at Wando Island was studied to investigate heterogeneity of community structure in a natural evergreen broad leaved forest. Eight 20 m × 25 m plots were established in the Quercus acuta forest and vegetation analysis for each plot was carried out. For the tree layers, density were 43-92 trees/500㎡, Mean DBH were 13.8-21.3 ㎝, and basal area were 1.4-2.3 ㎡/500㎡. Importance percentage of Quercus acuta for the tree layers were 60.1-95.1% and those of Camellia japonica for the subtree layers were 54.6-91.8%. Number of woody species were 10-19 species, species diversity(H`) were 0.657-0.923, and evenness(J`) were 0.528-0.750. Similarity indices between plots were 63.1-95.1% for tree layers, 57.4-97.1% for subtree layers, and 15.9-77.8% for shrub layers.

      • 전남지역 3개 붉가시나무 임분의 직경분포

        박인협 ( In Hyeop Park ),김소담 ( So Dam Kim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4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4 No.2

        상록성 참나무인 붉가시나무는 난대성 상록활엽수종 중분포 면적이 가장 넓으며, 난대성 상록활엽수종 중에서는 내한성이 강한 수종으로서 기후 온난화로 인한 난대림의 북상시 가장 높은 위도까지 분포할 수 있는 수종으로 알려져 있다. 이 연구는 전남지역 완도, 진도, 해남 등 3개지역 붉가시나무 임분을 대상으로 직경분포를 조사분석하여 붉가시나무림의 동태를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붉가시나무림의 분포에 대한 문헌 및 연구자의 기존 정보에 의하여 붉가시나무 성숙목의 밀도가 비교적 높은 임분으로 완도, 진도, 해남지역에서 각각 1개 임분씩 총 3개 임분을 선정하였다. 완도지역 임분은 완도수목원내 백운로에 위치하고 있으며, 진도지역 임분은 의신면 사천리의 양천허씨 문중산에 위치하고, 해남지역 임분은 두륜산도립공원에 위치하고 있었다. 임분별 조사구의 크기는 20m×25m(500㎡)로 하였다. 각 조사구의 해발고, 경사도 등 지황을 조사하고, 교목층, 아교목층, 관목층으로 구분하여 식생조사를 한 후직경분포를 분석하였다. 천연림에서는 자연간벌에 의한 직경급이 증가할수록 밀도가 감소하기 때문에 천연갱신이 양호한 수종의 경우 직경급에 따른 밀도 곡선은 역J형에 가까운 직경분포를 보인다. 완도의 교목층은 붉가시나무가 단일우점종으로 흉고직경급 10~40㎝로 분포하였다. 관목층은 붉가시나무, 구실잣밤나무, 동백나무 등이 다소 출현 하였다. 붉가시나무와 구실잣밤나무의 흉고직경급 1~10㎝ 소경목 발생이 없는 것은 임분울폐로 인해 관목층에서 아교목층 으로의 진입이 불량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동백나무는 역J형에 가까운 직경분포를 보임으로써 천연갱신이 양호한수준으로 나타났다. 이상을 종합하면 완도 붉가시나무림은 붉가시나무-동백나무 복층림이 지속될 것으로 추정된다. 진도의 교목층은 붉가시나무-구실잣밤나무 혼효림으로 붉가시나무는 흉고직경 범위가 5~40㎝로 관목층의 발달 및 소경목의 밀도가 낮았다. 구실잣밤나무는 흉고직경급 5~35㎝로 나타났으며, 붉가시나무와 같은 양상을 보였다. 동백나무는 관목층의 발달 및 소경목의 밀도가 두 수종에 비해높게 나타났으나, 흉고직경급 10㎝이상에서 분포하지 않아 비교적 나중에 침입한 수종으로 추정 된다. 이상을 종합할때 진도의 붉가시나무림은 붉가시나무-구실잣밤나무 혼효림 쇠퇴 시 동백나무 우점군집으로 진행될 것으로 추정된다. 해남의 경우 붉가시나무가 최소직경 3. 3㎝부터 최대직경 52. 0㎝까지 3개 임분중 흉고직경급이 가장 넓은 폭으로 분포하였으나 관목층의 출현이 낮았다. 관목층은 동백나무가 단일우점수종으로 나타났으며, 역J형에 가까운 직경분포를 보여 천연갱신 상태가 양호하였다. 갈참나무, 졸참나무 등 흉고직경급 10㎝이하에 분포하지 않는 것은 붉가시나무, 동백나무 등의 상록활엽수종과의 종간경쟁에서 낙엽활엽수종이 열세이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이상을 종합하면 해남의 붉가시나무림은 완도와 마찬가지로 붉가시나무-동백나무 복층림이 지속될 것으로 추정된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왕대속 대나무림의 물질생산 및 무기영양물 분배에 관한 연구

        박인협(In Hyeop Park),류석봉(Suk Bong Ryu) 한국산림과학회 1996 한국산림과학회지 Vol.85 No.3

        Three Phyllostachys stands of P. pubescens, P. bambusoides and P. nigra var, henonis in Sunchon were studied to investigate biomass, net production and nutrient distribution. Five 10m×10m quadrats were set up and 20 sample culms of 2 years and over were harvested for dimension analysis in each stand. One year old culms and subterranean parts were estimated by the harvested quadrat method. The largest mean DBH, height and basal area were shown in P. pubescens stand, and followed by P. nigra var. henonis stand and P. bambusoides stand. There was little difference in accuracy among three allometric biomass regression models of logWt=A+B1ogD, LogWt=A+BlogD²H and logWt=A+ BlogD+ClogH, where Wt, D and H were dry weight, DBH and height, respectively. Analysis of covariance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intercept among the linear allometric biomass regressons of three Phyllostachys species. Biomass included subterranean parts was the largest in P. pubescens stand(103.621t/㏊), and followed by P. nigra var. henonis stand(86.447t/㏊) and P. bambusoides stand(36.767t/㏊). Leaf biomass was 6.3% to 7.8% of total biomass in each stands. The ratio of aboveground biomass and subterranean biomass in each stand was 1.87 to 2.26. Net production included subterranean parts was the greatest in P. pubescens stand(6.115t/㏊/yr), and followed by P. nigra var. henonis stand(5.609t/㏊/yr) and P, bambusoides stand(3.252t/㏊/yr). The highest net assimilation ratio was estimated in P. pubeseens stand(2.979), and followed by P. nigra var. henonis stand(2.752) and P. bambusoides stand(2.187). Biomass accumulation ratio of each stand was 2.679 to 5.358. Concentrations of N, P and Mg were the highest in leaves, and followed by subterranean parts, and culms+branches in all three species. Concentration of Ca was the highest in leaves, and followed by culms+branches, and subterranean parts in all three species. The difference in biomass among three species stands was caused by their culm size, leaf biomass, net assimilation ratio, and efficiency of leaves to produce culms.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