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기이식에 대한 문학적 성찰 - 다비드 바그너의 투병기 『삶』

        박인원 ( Park Inwon ) 한국뷔히너학회 2022 뷔히너와 현대문학 Vol.- No.59

        다비드 바그너의 『삶』(2013)은 뇌사자의 간을 이식받은 작가의 자전적 경험을 바탕으로 한 작품으로, 출간되자마자 라이프치히 도서전 문학상 수상작으로 선정되면서 문학계를 넘어 활발히 수용되었다. 의료계에서는 그동안 장기이식 담론에서 상대적으로 소홀히 다루어져 온 수혜자의 관점이 잘 드러난 작품으로 호평받았으며, 더 나아가 독일 사회에서 장기기증에 대한 논쟁이 펼쳐질 때마다 『삶』은 이제 대표적으로 호출되는 문학작품이 되었다. 투병기의 형식을 취한 바그너의 소설은 신장, 간, 심장이나 췌장 같은 신체 기관의 이식이 오늘날 흔한 치료법이 되었을지라도 개인에게 장기이식은 여전히 기존의 질병 치료 개념으로 접근할 수 없는 복잡한 문제로 체험된다는 것을 상기시킨다. 의료 관점에서 본다면 성공적인 장기이식 수술에 관한 이야기이지만, 『삶』은 동시에 의료기술의 발전에 의한 질병의 ‘극복’이 자동으로 개인적·사회적 차원에서의 극복까지 의미하지는 않음을 첨예하게 보여준다. 하지만 『삶』의 근저에는 전반적으로 현대의학에 대한 비판적 시각보다는 급속도로 발전하는 의료기술이 개인의 삶과 생각에 어떻게 깊숙이 개입하고 ‘인간의 조건’을 변화시키는가의 질문에 포커스를 둔, 삶에 대한 총체적 이해가 자리 잡고 있다. 이처럼 환자의 경험적 지식에 주목하는 『삶』은 인간에 대한 통합적 이해를 추구하는 의료인문학적 관점과도 맥을 같이한다고 볼 수 있다. In Leben(2013) hat David Wagner, der seit seiner Kindheit an einer Autoimmunhepatitis litt und sich schließlich einer Lebertransplantation unterziehen musste, seine Krankheitsgeschichte autofiktional verarbeitet. Bis heute wird der Text, in dem das Thema Transplantation vielschichtig reflektiert wird, im Zusammenhang mit den Debatten um postmortale Organspende aktiv rezipiert. Aber auch aus Sicht der Medical Humanities, in deren Zentrum vor allem die Patientenerzählung steht, wirft Wagners Pathographie am Beispiel der Transplantationsmedizin grundlegende Fragen nach der Conditio humana auf. In der vorliegenden Arbeit wird Wagners Text daraufhin untersucht, mit welchen erzählstrategischen Mitteln die Lebertransplantation sowie die langjährigen Krankheitserfahrungen zur Darstellung gebracht werden. Leben besteht aus 277 durchnummerierten Kurztexten, in denen zwischen den Erzählungen und Erinnerungen des Ich-Erzählers unterschiedliche Textformen (Patientenakte, Lexikoneinträge, Selbstzitate des Autors usw.) eingestreut sind. Ein besonderes Merkmal bilden zwei schwarze Vakatseiten in der Buchmitte, die den Moment der Einsetzung der neuen Leber, der selbst unerzählt bleibt und sozusagen als unerzählbar markiert wird, lediglich graphisch zum Ausdruck bringen. Rein medizinisch betrachtet erzählt der Text von einer erfolgreichen Organtransplantation. Doch gleichzeitig wird anhand detaillierter Selbstbeschreibungen und Krankheitswahrnehmungen des Ich-Erzählers darüber reflektiert, wie tief das fremde Organ in die Identität des Ich-Erzählers eingreift und nach einer Neuorientierung verlangt.

      • ‘고향’에 대한 탐색 - 안나 킴의 『대귀향』에 그려진 재일조선인 귀국사업

        박인원(Park, Inwon) 한국카프카학회 2019 카프카연구 Vol.0 No.41

        『대귀향』(2017)은 한국계 오스트리아 작가 안나 킴(1977~)이 처음으로 한국 문제를 다룬 소설이다. ‘위대한 귀향’이라는 의미로도 읽을 수 있는 표제는 한국에서 ‘북송사업’으로 그리고 일본과 북한에서는 ‘귀환’ 또는 ‘귀국’사업으로 불려온, 1959년부터 1984년까지 진행된 재일조선인들의 북한행 이주를 일컫는다. 귀국사업의 초기단계에 해당하는 1960년 전후를 이야기 배경으로 삼고 있는 『대귀향』은 재일조선인들이 북한행을 결심한 동기를 ‘고향’이라는 측면에서 탐색한다. 본고에서는 재일조선인 귀국사업 및 그 배경을 이루는 한국 현대사의 기억이 작품에서 어떻게 고향 혹은 고향상실이라는 범주와 접목되는지, 그리고 이를 통해 안나 킴의 소설이 어떻게 한반도 문제를 넘어서 독일어권 독자들도 공감대를 형성하고 근래 독일에서 화두가 되고 있는 고향 담론과의 연결고리를 제시하는지 살펴본다.

      • KCI등재

        독일 페미니즘 고전 읽기 - 헤드비히 돔의 『안티페미니스트. 페미니즘을 위한 변론서』

        박인원 ( Park¸ Inwon ) 한국독일어문학회 2021 독일어문학 Vol.94 No.-

        독일 페미니즘의 역사에서 제1차 여성운동의 급진적 진영을 대표하는 헤드비히 돔(1831-1919)의 이름은 오늘날 무엇보다 ‘인권에는 성별이 없다’라는 구호와 함께 기억되고 있다. 돔은 1918년에 비로소 독일에도 법적 근거가 마련된 여성의 투표권을 이미 1870년대부터 요구한 몇 안 되는 인물이다. 처음부터 여성의 참정권과 교육권 그리고 경제적 자립을 불가분의 관계에 놓인 것으로 이해했던 돔은 모든 영역에서 여성의 인간으로서의 동등한 권리를 주장했다. 나아가 이분법적 성 규범의 재생산에 일조한 동시대의 모성 담론에 대해서도 비판적인 거리를 취하면서 남성/여성의 범주가 사회문화적 구성물임을 강조했다. 본 논문은 돔의 급진적 페미니스트로서의 면모가 핵심적으로 드러나는 논평집 『안티페미니스트. 페미니즘을 위한 변론서』(1902)를 중심으로 돔이 여성문제를 어떻게 쟁점화했는지 조명한다. 『안티페미니스트』는 1890년대부터 독일에 다양한 여성협회가 설립되고 급진적 여성운동이 본격적인 조직화 단계에 들어가자, 사회 전반에 걸쳐 여성운동에 대한 반동으로 모습을 드러낸 반(反)페미니즘 담론에 주목한다. 돔은 이와 같은 사회 분위기를 가리키기 위해 독일에서 처음으로 ‘안티페미니즘’이라는 용어를 사용했다. 본고에서는 ‘반유대주의’에 빗대어 고안해낸 이 키워드를 통해 돔이 어떻게 동시대 안티페미니즘 담론을 읽어냈는지 살펴본다. Hedwig Dohms Name wird vor allem mit dem Ausruf “Menschenrechte haben kein Geschlecht” verbunden. Als Vorläuferin der frühen Frauenbewegung in Deutschland forderte Dohm bereits in den 1870er Jahren das Stimmrecht für Frauen als ein ihr zustehendes Grundrecht. Um die Jahrhundertwende prägte sie als erste in Deutschland den Begriff des ‘Antifeminismus’, mit dem sie den von Misogynie und Frauenfeindlichkeit durchzogenen wissenschaftlichen Diskursen ihrer Zeit einen Namen gab. In ihrer Streitschrift Die Antifeministen. Ein Buch der Verteidigung (1902), einer Sammlung von zuvor in Zeitschriften publizierten Artikeln, untersucht Dohm anhand von zeitgenössischen Publikationen die unterschiedlichen Formen des Antifeminismus, die als unmittelbare Reaktionen auf die Emanzipationsforderungen der Frauenbewegung um die Jahrhundertwende zu verstehen sind. In der vorliegenden Arbeit werden zunächst die Grundfragen, die Dohm in ihren feministischen Kritiken behandelt, sowie der Begriff des Antifeminismus im Kontext ihrer Zeit skizziert. Im Anschluss wird den verschiedenen Beispielen bzw. Kategorien, in die Dohm die Antifeministen unterteilt, nachgegangen. Mit der Re-Lektüre dieses frühfeministischen Textes möchte die vorliegende Arbeit zum einen die strategischen Mitteln, die Dohm bei ihrer Analyse einsetzt, rekonstruieren, und zum anderen auf dieser Grundlage die Aktualität des Textes aufzeigen.

      • 유리인간으로서의 ‘호모 사누스’

        박인원(Park Inwon) 한국카프카학회 2018 카프카연구 Vol.0 No.39

        2009년에 출간된 율리 체의 『죄체』는 가까운 독일의 미래사회를 건강독재체제로 그려낸 디스토피아 소설이다. 근래에 질병예방이라는 명분으로 개인의 자유를 제한하려고 하는 독일의 의료보건정책, 그리고 건강 어플리케이션 등으로 개개인들이 매일 자신의 신체 데이터를 기록하고 다른 사람들과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자기도 모르게 디지털 통제사회의 구축에 동참하는 자기기록문화에 대한 비판적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체는 작품에서 개인의 건강권이 건강에 대한 책무로 변질된 극단적 형태를 제시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사회정치적 쟁점들이 작품에서 어떻게 디스토피아 장르의 문법과 접목되는지 살펴본다. 『죄체』는 근래에 출간된 다른 디스토피아 작품들처럼 서사 실험에 초점을 두기보다는 20세기 디스토피아 정전들과의 상호텍스트적 대화를 바탕으로 오늘날의 감시사회 및 그 생산메커니즘에 대한 비판적 성찰을 촉구하는 데 강조점을 둔다.

      • KCI등재

        보조생식술과 레즈비언 부모되기 - 안네 초라 베라체트의 <두 어머니>를 중심으로 본 독일의 논의

        박인원 ( Park Inwon ) 한국독일어문학회 2019 독일어문학 Vol.86 No.-

        근래 독일에서 촉망받는 감독 안네 초라 베라체트의 첫 번째 장편영화 <두 어머니>(2013)는 정자를 기증 받아 아이를 갖기를 희망하는 레즈비언 부부가 겪는 난관들을 그리고 있다. 감독은 이 작품을 통해 독일에서 정자 기증을 비롯한 보조생식술 관련법이 이성애 중심의 핵가족을 위한 법이며 레즈비언 부부를 차별한다는 점을 문제제기 한다. 비록 이 쟁점들은 동성 결혼 합법화(2016)에 이어 2019년 초에 (그 동안 생물학적 가족·친족관계 중심으로 해석된) 부모와 자녀의 법적 관계를 규정하는 법의 개정안이 발표되면서 대체로 해결되었다고 볼 수 있지만, <두 어머니>는 동성 부부들이 독일에서 받는 법적 차별의 문제를 넘어서, 보조생식기술이 개인의 삶과 생각에 어떻게 개입하는지 보여주고, 보조생식기술과 부모되기의 관계에 대한 다각적 성찰을 가능하게 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In ihrem dokumentarischen Spielfilm Zwei Mutter(2013) uber ein Frauenpaar, das sich gemeinsam ein Kind wunscht, stellt Anne Zohra Berrached die rechtliche Benachteiligung lesbischer Paare in Deutschland beim Zugang zur kunstlichen Befruchtung zur Diskussion. In einer Nahaufnahme kommen die Hurden zur Darstellung, die das Paar bewältigen muss, um sich den Kinderwunsch zu erfullen. Die im Film thematisierte Diskriminierung ist zwar inzwischen u.a. durch die Einfuhrung der Ehe fur alle(2017) und den Reformentwurf des Abstammungsrechts(2019) weitgehend behoben worden. Doch werden in Zwei Mutter daruberhinaus grundlegende Fragen verhandelt, die auch weiterhin aktuell sind und einer umfassenden Diskussion bedurfen. In der vorliegenden Arbeit wird am Beispiel des Films der Frage nachgegangen, wie sich neue Reproduktionstechnologien (hier Samenspende) in Verbindung mit der deutschen Rechtsordnung auf das Leben des Einzelnen, auf die Vorstellungen von Elternschaft und Familie auswirken.

      • KCI등재

        독일 집단기억 속의 ‘폐허여성’

        박인원 ( Park Inwon ) 한국독어독문학회 2017 獨逸文學 Vol.58 No.3

        ‘폐허여성’은 원래 2차 세계대전 직후 베를린에서 잔해청소작업에 투입된 여성들을 가리키는 말이었다. 하지만 분단체제와 통일을 거치는 과정 속에서 폐허여성의 의미는 이러한 구체적인 맥락에서 분리되어 독일의 재건에 앞장선 ‘폐허여성세대’로 확장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베를린과 소련군 관할지역을 제외한 다른 독일 지역에서 사실상 인지도가 낮았던 ‘폐허여성’이 어떻게 독일 전후시기의 아이콘으로 부상했는지 살펴보았다. 오늘날의 집단적 상징성을 획득하기까지 ‘폐허여성’은 독일인들의 기억 속에 여러 차례의 의미변화를 거쳤다. 처음에 강제노동으로 인식되었던 잔해청소는 베를린 관할지역의 언론매체에서 여성들의 참여를 유도하기 위하여 영웅적인 일로 연출되었다. 이런 이미지는 동독에서 사회주의국가 건설의 이념에 부합하는 새로운 사회주의 여성의 본보기로 재해석된 반면, 서독에서는 1980년대에 페미니즘 연구와 연금제도에 관한 논의를 통해 비로소 ‘폐허여성’이 집단정체성의 상징으로 발견되었다. ‘폐허여성’은 1950년대에 동·서독의 우열을 다투는 체제경쟁 속에서 서로 대립되는 이미지들로 갈라섰다가 통일 독일에서 다시 하나의 폐허여성상으로 수렴되는 ‘유연성’을 보였다. 이런 ‘폐허여성’의 변모과정은 집단기억이 어떻게 시대적 상황과 기억하는 집단에 따라 만들어지는지 시사해 준다. Die ‘Trummerfrau’ gilt heute in der deutschen Erinnerungskultur als ein zentraler Bestandteil der unmittelbaren Nachkriegszeit. Vor allem durch Fotografien von enttrummernden Frauen haben sie sich als Ikone des deutschen Wiederaufbaus in das kollektive Gedachtnis eingeschrieben. Doch das Gedenken an die ‘Trummerfrau’ bildete kein durchgangiges Narrativ seit seiner Entstehung. Der Begriff der Trummerfrau wurde ursprunglich als Bezeichnung fur Frauen eingefuhrt, die in Berlin und in der sowjetischen Besatzungszone durch das Arbeitsamt zur Enttrummerungsarbeit eingesetzt wurden. Aus der ‘Berliner Trummerfrau’ ist heute die ‘Trummerfrauengeneration’ geworden, die mit ihrer Opferbereitschaft die Weichen fur das westdeutsche Wirtschaftswunder gelegt hat. Dass es sich bei diesem Bild um einen Mythos handelt, wurde unlangst durch verschiedene historische Forschungarbeiten herausgearbeitet. In der vorliegenden Arbeit soll der Wandel des Trummerfrauen-Narrativs rekonstruiert werden. Wie ist das Bild der aufopferungsvollen Trummerfrau entstanden? Durch welche Kollektive und zu welchen Zeiten wurde an die Trummerfrauen erinnert? Im geteilten Deutschland kam es in den 50er Jahren zu differierenden Bildern der Trummerfrau. Anders als in der DDR, in der die ‘Trummerfrau’ als Folie fur die neue sozialistische Frau diente und somit weiterhin im nationalen Gedachtnis blieb, geriet die Trummerfrau in der BRD schnell in Vergessenheit. Erst in den 80er Jahren im Zusammenhang mit der Frauengeschichtsschreibung und der Rentendebatte um das sogenannte ‘Babyjahr’ kam es zu einer Wiederentdeckung. Trotz unterschiedlicher Entwicklungen kam es nach der Wiedervereingung rasch zu einer gesamtdeutschen Erinnerung an die Trummerfrau.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