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배산(杯山) 연주정(聯珠亭) 12경(景)의 경관상(景觀相)과 표현미학적(表現美學的) 특질(特質)

        노재현 ( Jae Hyun Rho ),박율진 ( Yul Ji Park ),김형율 ( Hyung Yul Kim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2008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26 No.1

        전라북도 익산시 모현동 소재 배산과 이 곳 정상에서 조망되는 경관상인 연주정 12경에 대해 문헌 및 고지도 분석, 그리고 현장 조사를 통해 배산의 명칭과 연상 이미지를 정리하고, 「景」에 내재된 형식성과 상징성 분석과 해석을 통해 연주정 12경의 표현미학적 특질을 탐구한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배산의 異名은 고지도와 고문헌상의 표기로 볼 때, 19C 중반을 전후하여 다양한 이칭으로 불렸던 것으로 보이며, 栢山, 尺山, 沃城山, 于樂岩 등으로 ‘동일한 대상에 대한 다른 명칭(이칭)’은 배산에 대한 이 지역 사람들의 우호감과 친근감의 또 다른 표현이자 경관 이미지의 표출로 나타나고 있다. 2. 연주정 12경의 「열둘」은 배산 정상의 ‘땅(연주정)’을 중심으로 十二支를 방위에 대응시킨 상징적 표현으로 보이며, 節氣와 時刻까지도 표현함에 따라 向別 배분을 근간으로 시간적 규칙성을 보이는 독특한 외형적 「景」의 표현으로 보인다. 3. 연주정 12경의 경관 내용은 호수, 산과 들, 연꽃, 대나무, 기러기 등의 지형과 생물 요소 그리고 달, 낙조, 구름, 눈 등의 계절 풍토 요소가 포함되어 있으며, 배(만선의 기쁨, 귀환), 벼이삭(풍년) 그리고 종소리(고요, 삼라만상의 휴식) 등의 의미적 풍물 요소를 망라하고 있다. 4. 연주정 12경은 조망적 시선 연계는 보이지 않고 있지만 동쪽에서 1경을 시작하여, 북쪽에서 12경을 마치는 형식적 완결성을 보여주고 있으며, 전해지는 바와 같이 동서남북별로 각 3개경의 포치를 이루고 있으나, 제영의 구성상 瀟湘八景의 原型景觀 요소가 부분적으로 표현되고 있다. 5. 연주정 12경은 春秋景이 주가 되지만 사계절 아름다움은 물론 晝景과 夜景 그리고 夕景 등 시각의 배분까지를 고려한 의지가 보이며, 조선조 사대부들에게 계절 변화의 자연적 이치에 대한 몰두는 자연에서 性情을 도야한다는 성리학적 인식론과 관련 있을 것으로 추론된다. 6. 節氣 早見表를 통해 유추해 볼 때 연주정 12경은 4계절 12절기 경물에 대한 계절적 감각이 의도적으로 묘사되고 있으며, 한편으로 四時八景圖의 경관이미지를 시로 재현하고자 한 의도가 엿보인다. 7. 연주정 12경은 절기, 시각, 방향 그리고 원근적 대비뿐만 아니라 감각, 색채, 높이, 재료, 의미 등에 대한 극적 대비 효과와 아울러 유사성 원리를 교호 반복표현함으로써 조망 방향은 물론 경물과 계절 그리고 시각적 다양함과 변화를 통조하고자 하는 표현미학적 속성이 잘 표출되고 있다. 본 연구의 핵심이 되는 연주정의 초기 건립 과정과 이후의 변모 과정에 대한 신뢰할만한 자료 획득이 불가능한 상태에서 익산군지 등 근세 자료에 의존하여 연구 진행이 된 점은 본 연구의 크나큰 한계일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자료 발굴 등을 통해 연주정의 전통 누정으로서의 가치 획득을 추구하기 위한 후속 연구의 필요성을 느낀다. This study arranges the name and associating image of Baesan(杯山) located in Mohyeon-dong, Iksan-city, Jeollabuk-do and Yeonjujung Sipikyung(聯珠亭 12景) viewed from its summit through reference literature and analysis of an old map and field research, explores the expression aesthetic characteristic of Yeonjujung Sipikyung through the formativeness and symbolism immanent in 「景」(Kyung)」and reaches following findings. 1. The alias of Baesan, if it is reviewed from old maps and reference literature, is regarded to have been referred to as various names before and after the mod 19C, such as Baeksan, Cheoksan(尺山), Okseongsan(沃城山), Woorakam(于樂巖) etc., where ``other name(nickname) to a same object`` is another expression of friendship and intimacy to the community people, indicating the expression of Kyung. 2. 「12」 of Yeonjujung Sipikyung is seen as a symbolic expression corresponding Twelve earthly branches to a direction focusing on ``the earth`` of the Baesen summit, and as it expresses even season and time, it seems to be the expression of a unique external 「景」(Kyung)」showing a directional distribution and a temporal regularity. 3. The landscape content of Yeonjujung Sipikyung covers topographical and biological factors such as a lake, mountain, field, lotus, bamboo, wild goose, and seasonal and climatic factors such as the moon, sunset, cloud and snow etc., including meaningful climatic factors such as a ship(the joy of a full ship, return), an ear of rice(a year of abundance), and a bell sound(silence, rest of all nature). 4. Yeonjujung Sipikyung does not display the connection of viewing sight, but shows external completeness starting 1 kyung from the east and ending 12 kyungs at the north, as handed down, it composes of the wide arrangement of each 3 kyung by all directions, but in its poetical composition, it relatively particially expresses the archetypical scenic factors of ``Eight Scenes of So-Sang(瀟湘八景)``. 5. Yeonjujung Sipikyung highlights Spring & Autumn Landscape(春秋景), but manifests a will taking into account even distribution of time such as the beauty of four seasons, daytime landscape, night landscape and evening landscape and so on, and it is inferred that absorption in the natural principle of seasonal change in illustrious officials in Joseon Dynasty will be related to Confucian epistemology that we should cultivate our character in nature, so Yeonjujung Sipikyung is estimated to have been created at the end of Joseon Dynasty to say the least. 6. If it is inferred through ``The subdivisions table of 12 solar terms(節氣 早見表)``, Yeonjujung Sipikyung intentionally describes seasonal sense to 4 seasons and 12 subdivisions of seasons, on one hand, reveals an intention to reproduce the landscape image of ``Painting of Eight Scenes to Fore season(四時八景圖)`` in Chinese poetry. 7. Yeonjujung Sipikyung dramatically contracts subdivision time of seasons, direction and perspective comparison, and dramatical contract effect to sense, color, height, materials and meaning, and in addition, harmonizes the principle of a similarity well, where it expresses variety and change including the expression aesthetic attribute generally controlled inside th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