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AFLP를 이용한 무당벌레 초시 색상패턴변이의 연구

        초롱,조창욱,윤규식,강민아,권혜리,강은진,서미자,유용만,윤영남 한국응용곤충학회 2009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09 No.05

        무당벌레(Harmonia axyridis)는 전 세계에 걸쳐 다양하게 분포하고 있으며, 여러 종류의 진딧물을 섭식하는 진딧물의 포식자로 널리 알려지면서 진딧물 의 생물적 방제 프로그램에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무당벌레는 같은 종 내 에서도 변이가 매우 심하여 다양한 초시 색상패턴을 나타내는데, 이러한 종이 나 개체간의 분자적 요인의 차이를 밝혀내는 Fingerprinting 방법으로는 RAPD, RFLP, AFLP방법 등이 있으며, 이 중에서 AFLP는 높은 재현성과 정확성을 나 타냄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AFLP 분석을 통해 무당벌레의 초시 색상패턴에 따른 유전적 다양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2007년부터 2009년까지 채집된 월동개체군 중에서 검은색 바탕에 2개의 붉 은색 점을 가진 conspicua 개체와, 검은색 바탕에 4개의 붉은색 점을 가진 spectabilis 개체, 노란색 바탕에 19개의 검은색 점을 가지고 있는 succinea1 개 체, 그리고 노란색 바탕에 검은색 점이 전혀 없는 succinea2 개체를 가지고 실 험을 실시한 결과, 8개의 AFLP primer조합을 통해 총 822개의 밴드가 확인되 었고, 그 중 37개의 밴드 특정 색상패턴에서만 확인되어, 특이적 밴드를 통해 무당벌레의 색상변이에 있어 유전적 다양성을 추측할 수 있었다.

      • 전기분사법을 이용한 키틴/키토산 미세입자의 제조

        유용,원호,민병무,이승진 梨花女子大學校 藥學硏究所 2003 藥學硏究論文集 Vol.- No.12

        최근 의약학용 바이오 소재로 각광을 받고 있는 키틴과 키토산을 전기적인 힘을 이용하는 전기방사장치를 이용하여 미세입자 형태로 제조하였다. 키틴 또는 키토산 시료에 대하여 고분자 농도가 일정한 수준(사슬 간의 엉킴이 본격적 일어나는 농도) 이상에서는 초극세 섬유의 형태를 보였으며, 그 농도 이하에서는 비교적 균일하고 미세한 입자를 형성하였다. 키토산의 경우, 5% 초산 수용액에 녹여 4~5 wt%로 분사하였을 경우 200~400 ㎚ 크기의 미세입자를 제조할 수 있었다. 또한 농도가 증가할수록 입자의 크기가 커지면서 다소 불균일해지는 경향을 보였다. 수용성 글리콜 키토산은 분자량이 작기 때문에 높은 농도인 약 55 wt% 까지 미세입자가 생성되었다. 이 입자의 평균 크기는 약 300~500 ㎚ 정도를 나타내었다. 키토산을 초산 수용액에 녹여서 ???? 아세토산으로 ??????이 얻어진 N-아세틸화 키틴의 경우에는 ???????? ?????? 녹여 전기분사를 하였는데 7wt% 이하에서 균일한 미세입자가 생성되었다. 따라서, 키틴이나 키토산의 미세입자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용매에 따라 일정한 농도와 점도와의 관계곡선으로부터 사슬 간의 엉킴현상에 의해 섬유상이 형성되지 않은 낮은 농도에서 전기분사를 실시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Electrospray method is a new technique lo fabricate the polymer nanoparticles. Nanoparticles of chitin and chitosan were prepared by electrospray and characteriz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In general, the increase in the concentration of chitosan solution induced the increase in its solution viscosity. In addition, the solution viscosity increased rapidly at above the critical concentration, due to formation of entanglement between chitosan chains. From the plot of polymer concentration vs. solution viscosity, it was found that chitosan or chitin nanoparticles, with, particle size in the range of 200-600 nm, could be easily formed at below the critical concentration associated with the formation of chain entanglement. Therefore, we concluded that the plot of polymer concentration vs. solution viscosity was important to investigate the concentration range in which polymer nanoparticles could be prepared.

      • 파프리카에서 발생하는 해충방제를 위한 농약 사용이 기생성 천적곤충에 미치는 영향평가

        초롱,조창욱,윤규식,강민아,권혜리,강은진,조신혁,민우,석희봉,서미자,유용만,윤영남 한국응용곤충학회 2009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09 No.10

        최근 들어, 많은 농민들은 종합적인 해충관리를 행하고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종종 천적에 독성이 강하거나 악영향을 미치는 화학농약이 무분별하게 혼용되어 효과적인 해충방제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파프리카에 등록된 살충제, 살균제, 살비제에 대해 파프리카 주요 발생해충인 가루이류, 진딧물류 방제 천적으로 주로 이용하고 있는 기생성 천적인 콜레마니진디벌(Aphidius colemani), 어비진디벌(Aphidius ervi), 진디면충좀벌(Aphelinus asychis), 온실가루이좀벌(Encarsia formosa), 황온좀벌(Eretmocerus eremicus)에 대한 직․간접적인 영향을 실내에서 평가하였다. 콜레마니진디벌의 경우 2종의 약제가 직접살포에 의해서는 100%의 사망율을 나타내어 높은 독성을 나타냈고, 간접살포에 의해서는 처리 후 14일까지도 50%이하의 생존율을 나타냈다. 어비진디벌의 경우 살충제 5종, 살균제 3종, 살비제 4종의 약제를 실험한 결과, 직접살포에 의해서는 9종의 약제에서 높은 생존율을 나타냈고, 간접살포에 의해서는 처리 후 7일 이후에 50%이상의 생존율을 보여 비교적 안전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진디면충좀벌의 경우 12종의 약제를 실험한 결과 직접살포에 의해서는 3종의 약제에 100%의 사망율을 나타내어 높은 독성을 나타냈고, 온실가루이좀벌의 경우 4종의 약제가 직접살포에서는 높은 생존율을, 간접살포에서는 7일 이후에 모든 약제에 안전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황온좀벌의 경우 직접살포에 의해서는 2종의 약제에서 높은 생존율을 나타낸 것으로 확인되었다.

      • SCOPUSKCI등재

        백련 4종류 잎 추출물의 생리활성 효과

        용서,고린스테인 셜라,유용권,임명희,윤점,김현주,정선요,허북구 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 2007 인간식물환경학회지 Vol.10 No.4

        백련 잎의 소비확대를 위한 기초자료 확보측면에서 2007년 8월에 ‘가람’, ‘초의’, ‘백화건련’, ‘승달’ 백련의 잎을 수확하여 열수와 에탄올 추출물의 생리활성 효과를 조사하였다. 총 페놀함량은 열수 추출물의 경우 ‘초의’ 백련에서 78.3㎍·mL-1로 가장 많았고, 에탄올 추출물은 ‘백화건련’에서 146.8㎍·mL-1로 가장 많았다. 전자공여능은 추출물의 농도가 2,000ppm일 때 ‘승달’의 열수 추출물 및 에탄올 추출물에서 각각 83.3%와 94.0%로 가장 높았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에탄올 추출물에서 높게 나타나 63.6㎍·mL-1(‘승달’)-92.2㎍·mL-1(‘초의’)를 나타낸 반면에 열수 추출물은 28.8㎍·mL-1(‘초의’) 이하를 나타내었다. 아질산염 소거는 추출물의 농도가 2,000ppm일 때 열수 추출물은 ‘초의’ 에서 69.2%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에탄올 추출물에서는 ‘백화건련’에서 80.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Tyrosinase 활성 저해 효과는 백련의 종류 및 용매에 관계없이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항균활성은 에탄올 추출물에서 다소 높게 나타났는데, 저해환의 직경은 전반적으로 8.3-11.2mm를 나타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gather the basic data on physiological activities of leaf extracts from white lotus for the increase of public consumption. The leaves of four species of white lotus including cv. 'Garam', 'Choeue', 'Baekwageollyeon', and 'Seungdal' were harvested, and their physiological activities of extracts from the heated water and ethanol were examined. Total phenol contents were highest in the extracts of heated-water from the white lotus cv. 'Choeue' by 78.3㎍·mL-1 and in ethanol extracts from cv. 'Baekwageollyeon' by 146.8㎍·mL-1.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highest at 2,000ppm of the heated-water and ethanol extracts of white lotus cv. 'Seungdal' by 83.9% and 94.0%, respectively. Total flavonoid contents in the ethanol extracts of cv. 'Seungdal'(63.6㎍·mL-1) and 'Choeue'(92.2㎍·mL-1) were higher than those in the heated-water extracts of cv. 'Choeue' (28.8㎍·mL-1). Nitrite scavenging activity of heated-water extracts of cv. 'Choeue' extracted was 69.2%, and ethanol extracts of 'Baekwageollyeon' 80.7%. No significance in tyrosinase inhibition activity of the leaf extracts from four species of white lotus among those species and solvents were observed.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ethanol extracts was higher than that of the heated water, showing bigger inhibition diameter (8.3 to 11.2mm).

      • KCI등재

        아세틸화 반응에 의한 아마직물의 화학적 개질

        유용,한성옥,조동환,이승구,원호,You, Young,Han, Seong-Ok,Cho, Dong-Hwan,Lee, Seung-Goo,Park, Won-Ho 한국섬유공학회 2004 한국섬유공학회지 Vol.41 No.3

        Flax fabrics composed mainly of cellulose were subjected to heterogeneous acetylation after four different pretreatments. The progress of the chemical modification (acetylation) was assessed by ATR-IR. When flax fabrics were pretreated with alkaline solution for 1 h, natural twists of flax fiber disappeared with the change in cross-section to round shape, and its tensile strength decreased up to 50%. Acetylation rate of alkaine-treated flax fabrics treated with glacial acetic acid (Method I) was faster than that of fabrics without glacial acetic acid (Method II). In Method III and IV, alkali treating times were varied from 0 to 30 min to reduce the decrease in tensile strength of flax fabrics without subsequent acetic acid treatment. Acetylation reaction of flax did not occur without alkaline treatment (Method III). In the case of the alkaline treatment for 1 min, the acetylated flax fabrics showed similar tensile strength value to original flax fibers (Method IV).

      • KCI등재
      • Etofenprox에 저항성과 감수성을 나타내는 각각의 복숭아혹진딧물 개체군에서 EPG기술을 이용한 섭식행동 관찰과 다른 살충제에 대한 교차저항성 탐색

        조창욱,초롱,윤규식,강민아,권혜리,석희봉,강은진,서미자,유용만,윤영남 한국응용곤충학회 2009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09 No.10

        Etofenprox에 대해 저항성과 감수성을 보이는 복숭아혹진딧물(Myzus persicae) 개체군을 가지고, 진딧물이 섭식하는 동안 약제에 노출되었을 때 반응하는 양상을 EPG패턴을 비교함으로써 처리된 약제에 대한 저항성 발달 여부를 검토하였다. 본 실험에서 사용한 복숭아혹진딧물 야외와 실내개체군은 etofenprox의 추천농도 처리 후 48시간에 각각 36.7과 86.7%의 살충율을 보였으며, 반수치사농도에 있어 30배 이상의 차이를 나타내어 야외에서 채집한 개체군의 경우 etofenprox에 저항성을 나타내는 개체군으로 사용하였다. 또한 교차저항성 발달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fenpropathrin 처리 후 살충율을 조사한 결과, 두 개체군 모두에서 각각 28%와 29%로 낮은 살충율을 보였으며, thiamethoxam에 대해서는 48시간 후에 저항성개체군이 57%, 감수성 개체군은 79%를 나타내었다. 또한 EPG 기록시작 후 1시간 뒤, 약제를 살포하고, potential drop, contact signal의 빈도 수, 총 섭식 시간, 총 구침을 빼고 있는 시간, pathway activity 패턴 등을 조사하였다. Etofenprox 처리 후 조사한 결과, 처리 전의 섭식행동에 있어서는 유사하였으나, 처리 후 저항성 개체군의 경우는 섭식 및 탐침 시간이 감수성 개체군에 비해 훨씬 길게 나타나 약제에 노출된 이후에도 활발히 일어나는 경향을 보였으며, fenpropathrin의 결과에서는 조사한 EPG 조사패턴 모두에서 두 개체군간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 합성피레스로이드 살충제인 etofenprox에 대한 복숭아혹진딧물 저항성 개체군과 감수성 개체군의 비교

        조창욱,초롱,윤규식,강민아,권혜리,강은진,서미자,유용만,윤영남 한국응용곤충학회 2009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09 No.05

        복숭아혹진딧물(Myzus persicae Sulzer)은 넓은 기주범위를 가지고 있으며 이 들에 의한 피해는 섭식으로 인한 작물 생장저해와 감로 배설로 인한 그을음 병과 바이러스를 매개함으로서 심각한 피해를 주고 있는 해충으로 알려져 있 다. 이 해충에 등록되어 오랫동안 사용되어온 피레스로이드계열의 살충제는 인축에는 저독성이나 곤충에는 살충력이 강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최 근 저항성이 나타남에 따라 복숭아혹진딧물의 방제를 위해 사용되는 etofenprox에 대한 복숭아혹진딧물의 저항성 개체군과 감수성 개체군을 비교하였다. 실험 방법으로는 etofenprox와 다른 성분의 합성피레스로이드 살충제를 사용하였고 life table, EPG 및 살충활성을 검정하였다. 사용 추천농도로 처리된 etofenprox의 분무 결과에 대한 살충율은 저항성 개 체군이 62%, 감수성개체군이 99%로 나타났다. 약제에 대한 감수성정도의 차 이를 보인 두 개체군간의 기주에서의 생태적 특성비교를 위해 Life table 실험 을 수행한 결과 저항성 개체군의 평균 수명은 15.6일, 성충이 되기까지의 기 간은 평균 4.7일, 산자력은 평균 46.8마리였고, 감수성 개체군의 평균수명은 17.9일, 성충이 되기까지의 기간은 평균 5.2일, 산자력은 평균 39.7마리였다. 다른 합성피레스로이드계열의 살충제 처리결과, 저항성 개체군이 deltametrin에 서 31%, lambda cyhalothrin에서 23%, cypermethrin에서 14%, α-cypermethrin에서 20%, fenpropathrin에서 28%, fenvalerate에서 29%로 나타났고, 감수성 개체군은 deltametrin에서 90%, lambda cyhalothrin에서 92%, cypermethrin에서 81%, α -cypermethrin에서 70%, fenpropathrin에서 29%, fenvalerate에서 84%로 나타났다. 약제 처리 후 섭식 반응을 알아보기 위하여 EPG system을 이용하여 섭식 반 응 시작 후 1시간 후에 etofenprox를 4,000배 농도로 처리했을 때 저항성 개체 군은 분무 후에 더 강하게 섭식을 보인 반면, 감수성 개체군은 섭식을 하지 않았다.

      • Axyridis그룹에 속하는 무당벌레의 초시무늬패턴별 교배에 따른 자손세대의 색상패턴

        강민아,조창욱,초롱,윤규식,권혜리,강은진,서미자,유용만,윤영남 한국응용곤충학회 2009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09 No.05

        무당벌레(Harmonia axyridis)는 생물학적 방제인자로써 주목받고 있을 뿐만 아니라 초시의 무늬 패턴이 매우 다양하여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는 종이다. 이 종의 axyridis 패턴에서의 변이는 월동개체군의 발생비율은 1%이하로 매우 낮지만, 실내에서 대량 사육 시 다양한 변이패턴을 보여주며 높은 비율로 발 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2008년 11월에 충남 금 산군, 대전 궁동, 송강동, 김제시에서 채집한 월동개체군의 색상패턴을 Seo et al.(2007)이 발표한 방법을 변형시켜 분류, 조사하였다. 채집된 4지역에서 평균 출현빈도는 succinea1-4 그룹이 92.40%, conspicua그룹이 3.72%, spectabilis그룹 이 3.63%, 그리고 axyridis그룹이 0.24%로 succinea1-4그룹이 월동개체군의 대 부분을 차지하였고, axyridis그룹은 0.24%로 나타났다. Axyridis 그룹에서 분류 된 개체군 중 RU2와 RT12를 선발하여 교미시킨 후 자손세대에 발현되는 초 시무늬패턴을 조사한 결과, RU2(♀)과 RU2(♂) 사이에서는 RU2패턴에 점이 있는 개체와 YBM19이 96.5%로 출현하였으며, RU2(♀) F1과 월동개체군 RT12(♂) 사이에서는 RU2+RT12패턴과 succinea그룹의 색상패턴 표현형의 비 가 2.53:1로 부모세대 색상패턴이 71.7%를 차지하고 그 중 RT12가 9.7% 더 많았다. RU2+RT12패턴 F1의 자손 중에서 부모세대와 같이 RU2(♀)와 RT12 (♂)를 한 번 더 교배를 해 본 결과 F1세대 패턴과 succinea그룹의 표현형 비 가 2.28:1로 F1의 표현형은 69.5%로 나타났고, RT12가 20.1% 더 많이 출현함 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색상패턴 유전의 명확성을 알 수 없으나, RU2와 RT12가 succinea의 형질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생각되고, axyridis그룹이 succinea그룹에 비해 우점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색상패턴 을 형성하는 기본적인 패턴들이 부모세대에 열성형질로 잠재하여 있다가 자 손 세대에서 표현형으로 표출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