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The Turn of the Screw 에 있어서의 악의 소재(所在)

        박우수 충북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989 人文學誌 Vol.4 No.1

        The Turn of the Screw has received in recent years an amount of attention that Henry James would have found surprising and flattering. The tale had been accepted as a simple ghost story for about thirty-five years, when Edmund Wilson published his essay "The Ambiguity of Henry James", which applied Freudian interpretation to the tale. From the Freudian point of view, the two children Miles and Flora are victims of the governess's sex-fantasy, and are perfectly innocent. From the traditional point of view, the governess is innocent, and tries to save the children from being corrupted by the two ghosts. Apart from these controversial interpretations, the reader is supposed to place his greatest emphasis on the theme of this tale, the corrupting force of evil. When we consider the governess's spiritual pride, possessiveness and incompetence which brought disaster to the two children, we are led to the conclusion that evil is represented not only by the ghosts but by the governess.

      • KCI등재
      • KCI등재

        『아테네의 타이몬』: 배금주의 비판과 탈비극적 비전

        박우수 한국셰익스피어학회 2019 셰익스피어 비평 Vol.55 No.3

        Timon of Athens, which is usually regarded as the last of Shakespeare’s tragedies, is a dramatic satire on the money economy and commodifications of humanity and arts in general. Timon, who has no past, is a self-generated man presuming himself the self-sufficient and infinite nature feeding and breeding all his friends by his magnanimous generosity. He dreams of a brotherhood of friendship built on mutual credit. When his dream of infinite affluence fails, he becomes a misanthrope uttering cynical diatribes against the mercantile society and its inhabitants worshipping the new god of Mammon. Timon, the man-hater, equates the alchemic gold “soldering close all impossibilities” with whores and courtesans doing anything for gold. Where the new god of gold is worshipped, ‘policy’ and expediency are the powers that be, and what remains is confusion and chaos. Timon’s sense of abhorrence of infidel man and his society is realized in his moralistic and ironic satire abhorring (whoring) all the establishments. What is singular with Shakespeare’s satire in the play is that Timon the satirist is the very target of his satiric criticism since Timon’s jaundiced eyes see things as he wants to see, not as they are. The playwright’s satire reflects his own recognition of the “sick” perspective of a tragic character, and it opens the way to his final vision of the tragicomedies.

      • KCI등재
      • KCI우수등재

        Incorporated into the Brain: Cognitive Shakespeare and the Brain

        박우수 한국영어영문학회 2020 영어 영문학 Vol.66 No.2

        The neo-cognitivists and brain scientists argue that the mind is the embodied brain, the material place in the body, and they try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terial brain and the “immaterial” concepts of mind. A materialist understanding of the embodied mind/brain is much akin to the paradigmatic explanation of the relationship of the faculty psychology and humoral physiology prevalent in the Renaissance. What the humoral physiology is to the Renaissance psychologists is as the material brain is to the mind for neurologists and brain researchers. Shakespeare’s brain is the material site in the body in which his textual signs and discourses are produced under some material conditions of theatrical performance and sociocultural practices. In this context, Prof. Kim Kee-ho explores in his trail-blazing new book, Blind Love in the Brain, a very delicate and dangerous interweaving between Shakespeare’s imagination and his brain correlates, analyzing cognitive functions in the brain suggested in the excerpts from seven selected plays of Shakespeare: Romeo and Juliet, Julius Caesar, Hamlet, Macbeth, Henry V, The Merchant of Venice, and The Tempest. The virtue of the book to the eyes of traditional Shakespeareans is that “blind love at first sight” still remains blind and romantic even after its image is demarked on the brain map. Since the brain scientists just stop at providing us with some phenomenological descriptions of the brain working with stimulants, not advancing to the explanation why the singular brain at issue works in that particular way. The limit of the book is attributed to the present stage in the development of brain scholarship.

      • KCI등재후보

        Ghostwriting South Korea: Robert Oliver and His Rhetorical Midwifery in the Birth of a Nation

        박우수 한국수사학회 2009 수사학 Vol.0 No.11

        로버트 올리버 박사는 1942년 워싱턴 디시의 한 외교가 식당에서 처음 이승만 임시정부 의장을 만난 이후 그의 실각에 이른 1960년까지 20 여 년 동안 한국 현대사의 전개과정에서 결정적인 역할을 한 인물이다. 올리버는 2차 대전 당시 미 육군성의 식량국 담당관의 직책을 가지고서 실제로는 홍보선전업무를 맡아 대국민 홍보 전략을 주도하고 실천에 옮긴 인물로서 이승만과 그의 첫 만남 이후 올리버는 대한민국의 독립 필요성과 미국의 동방외교 전략의 수정을 줄기차게 설파했으며, The Korea Pacific Press란 출판사를 설립하여 한국의 입장을 미국의 외교가와 미국국민들에게 알리는 일에 앞장섰다. 그는 해방 후 미군정과 워싱턴의 입장을 이승만에게 전달하고 조율하는 매개자의 역할을 맡아 이승만이 대한민국 초대 대통령에 취임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으며, 이승만 대통령의 영문연설뿐만 아니라 밴플리트 장군, 클라크 장군의 영문연설문도 작성하였다. 판문점 정전 협정과 대일관계 정상화 협상, 파리 유엔총회, 제네바 회의 등에 한국대표단의 고문으로 활약했으며, 미국정부와 이승만 정부의 갈등을 최소화하고 조율하는데 큰 기여를 했다. 한국근대사에 있어서 그의 큰 기여와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이승만과 올리버의 관계 및 올리버가 이승만에게 미친 영향 등은 본격적인 연구가 진행되지 않은 부분으로 본 연구는 올리버의 연설문 분석을 통해서 대한민국 제 1 공화국의 대국민 및 대 외국 설득과 홍보 전략이 어떻게 진행되었으며, 국내 및 국제무대에서 올리버의 외교수사 및 정치적 수사 전략이 어떤 역할을 했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할 계획의 일부이다. 올리버는 18세기 영국 의회민주주의의 발달과정을 신생 대한민국에서 실현할 계획으로 대중연설과 수사 전략을 통해서 대중의 의사표현을 위한 공공의 장을 확립하려고 노력했다. 따라서 그는 한국의 중고등학생들을 위한 연설교재를 집필했으며, 이승만 대통령을 위한 수 많은 대국민 혹은 대외 연설문을 대필하기도 했다. 올리버와 이승만은 뿌리 깊은 반공주의를 공유했으며, 대중을 교화할 지식인의 역할을 지나치게 강조하고 신뢰했다. 이점은 대중연설과 민주사회 건설을 위한 수사학의 역할과 기능에 대한 이 두 사람의 공통된 관심을 반영하는 것이기도 하지만, 궁극적으로는 수사학을 계몽의 수사학으로 한정하는 문제를 내포한다. 올리버와 이승만의 수사 전략은 대한민국 제 1공화국 건설의 산파역을 했지만, 결과적으로 이들의 산파술로서의 수사학은 청중과 유리된 태생적인 한계를 보인다. 이점은 구체적인 연설문 분석을 통해서 실증적으로 예증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