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습장애 학생의 융합인재교육(STEAM)에 대한 초등학교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인식 비교

        권미영 ( Mi Young Kwon ),박외곤 ( Wae Kone Park ),차국일 ( Kug Il Cha ),심광보 ( Kwang Bo Sim ),변찬석 ( Chan Suk Byun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4 지적장애연구 Vol.16 No.3

        본 연구는 통합 환경인 초등학교에서 융합인재(STEAM)교육을 효과적으로 확대 실시하기 위한 기초조사로서 초등학교에 근무하는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인식차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D시에 근무하는 초등학교 일반교사 191명과 특수교사 7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SPSS 21.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교차분석과 T-검정, 일원배치분산분석(onway Anova)을 실시하여 두 그룹간의 인식차이를 비교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융합인재교육에 대한 필요성은 일반교사와 특수교사 모두 높은 필요성과 필요근거를 가지고 있어 유의미한 인식차이는 없었다. 하지만 융합인재교육의 정보나 실제 수업에 적용경험은 두 그룹간의 차이가 있었으며 일반교사의 정보나 경험이 많았다. 둘째, 융합인재교육에 대한 요구내용은 일반교사와 특수교사 모두 새로운 방향의 학습 기회를 제공하고 학업능력과 학습흥미를 높일 수 있다고 인식하고 있어 유의미한 인식차이는 없었다. 하지만 융합인재교육의 연수기회와 연구학교 근무 경력에서는 차이가 많았다. 이에 따라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교육적 경험을 조사 연구하여 융합인재교육을 통합학급에서 적용할 방안을 강구하고 융합인재교육의 연수를 강화하여야 한다고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general teachers`` and special teachers`` perceptions toward STEAM education as basic research for the effective expansion of the STEAM education in an inclusive environment of elementary school. For this purpose, a questionnaire was conducted targeting 191 general teachers and 78 special teachers working at the elementary schools in D city and using the SPSS 21.0 statistical program, the frequency analysis, the cross-analysis of the ratio, T-test, and one-way ANOVA (onway Anova) were conducted.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both general teachers and special teachers agreed to the need of STEAM education, and the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But there were the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about the information of STEAM education and in the experience of actual application to class of STEAM education, and general teachers had more information and experience than special teachers. Second, both general teachers and special teachers thought the STEAM education provide a new way of learning opportunities, and increase learning skills and learning interest, and the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of perception on requirements of the STEAM education. But the training opportunities in STEAM education and the career working at research school were many differences. As a result, we propose the study on the application method of STEAM education to the inclusive class and the strengthening of the training in STEAM education through the research on the educational experience of special teachers.

      • KCI등재

        특수교육에서 STEAM 교육 적용을 위한 초등교사와 특수교사의 요구 분석

        차국일(Cha Kug Il),박외곤(Park Wae Kone),심광보(Sim Kwang B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12

        본 연구는 교육과학기술부 ‘2011년 업무계획’ 보고를 통해 창의적 융합인재양성을 위한 초중등 STEAM 교육 계획에 의거하여 특수교육에서 STEAM 교육 적용을 위 한 초등교사와 특수교사의 요구를 분석하기 위한 것으로 D시의 초등교사와 특수교 사를 대상으로 모바일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초등교사 191명과 특 수교사 78명이며, 설문 결과는 SPSS 21.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교차분석을 실 시하여 각 배경변인별 차이점을 파악하였다. 논의와 연구결과를 통해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STEAM 교육의 환경적 요구(학교, 학급)’에 있어서는 STEAM 교육이 학교 현장에 정착되기 위해선 STEAM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교사의 인식 전환과 일반교육과 특수교육을 위한 STEAM 교육 관련 수업 자료의 보급이 우선적 으로 이루어져야 된다고 파악되었다. 둘째, ‘STEAM 교육의 교육적 적합성’ 따른 미 적용의 원인은 STEAM 교육의 이해 및 자료 부족으로 파악되었으며, 특수교육대상 자의 수업 흥미도 및 참여도의 향상에 기여할 것이라는 긍정적인 평가와 교사에게 STEAM 교육은 수업과 업무에 부담을 증가시킬 것이라는 부정적인 평가의 결과도 파악되었다. 이에 제언으로는 STEAM 교육과 연계된 학교 외의 교육환경 조성, 특 수교육에 적합한 STEAM 프로그램 개발, 융합인재양성을 위한 STEAM 교육의 목 적에 도달하기 위하여 특수교사와 학부모에게 연수 기회 제공 등이 조속히 이루어 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need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want to apply the STEAM method to special education. This research is based on the STEAM Education Planning 2011 business report by MEST(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whose goal was to develop creative and competent learners: STEM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Mathematics) through this STEAM project. This research team surveyed city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surveyed via mobile phone. The participants in this survey were 191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78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e results were produced by doing cross-tabulation analysis using the SPSS 21.0 statistics program. As a result, we took two categories into consideration and discovered the following: There is positive and negative feedback. The positive feedback indicates this project can attribute to special education learners’ interests and needs. However, negative feedback indicates that this project can create more work for teachers. The first issue is getting teachers to understand the benefits of STEAM. The other issue is providing resources that teachers need to get measurable results. Second teachers use the STEAM project less than expected because there is a lack of understanding about this project as well as a lack of teaching materials. Therefore, to use the STEAM project successfully the following is strongly suggested; building the environment for this project inside and outside of the school, development of the STEAM for special education and training courses for teachers and parents to achieve the cultivation of creative and competent learners: STEM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Mathemat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