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논문]공간 건축 도시 연구의 방법론 : 기호학과 텍스트언어학을 중심으로

        박여성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2 한국민족문화 Vol.42 No.-

        The Cities, in modern sense, could be best defined by physical conditions of constructed buildings as well as by communication-act of actants in a society. So, in this paper we outline an interdisciplinary framework for a semiotic study on urban and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mainly based on Text-Linguistics and Semiotics. It deals with some prototypical features during the process of urbanization, i.e., the oppositions between civilization and savagery, publicity and privacy, Gestalt and fragments, center and periphery, finally between heterogenity and homogenity. This descriptive apparatus based on metaphorical application, includes the morpho-semantic features of places (Semantik), the syntactic models applied to the Combination of basic elements (Syntaktik), and finally the pragmatic usage of power, ethics and aesthetics (Pragmatik). These syncretisms in the architectures and spaces in the cities of all societies, which are becoming increasingly obvious in the age of globalization, are to be systematically described and explained by the equally syncretistic discipline of urban-science which reformulates the relevant contributions of related disciplines, for example architecture, sociology, cognitive psychology, linguistics etc., and connects them into a transdisciplinary approach of Architectural & Urban Text-Semiotics. 근대적인 의미의 도시는 한편으로 건축물이라는 물리적 집합체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 그 안에 사는 행위주체들의 역동적인 커뮤니케이션 행위를 통해 규정된다. 이에 본고에서는 대부분의 인구가 도시에 밀집해서 살아가는 오늘날의 생활세계에서 축조물과 그 기반 위에서 작동하는 기호세계(Semiosis)를 관찰하며 공간, 건축 및 도시를 일종의 세미오시스로 조명하는 기호학적 원근법에 비추어 공간과 건축 및 도시를 제각기 요소(Elements), 조합(Combination) 및 기능/사용(Function/Use)에 상응하는 형태-의미론, 통사론, 화용론의 분과에서 연구하는 기호학적 방법론의 틀을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문화역량 모델을 위한 학제적 접근 : 구성주의 인식론과 기호학을 중심으로

        박여성 한국문화교육학회 2009 문화예술교육연구 Vol.4 No.2

        With drastic decomposition of traditional social structures, the acquisition of competencies, wherever we work, is getting more significant role in individual as well as in vocational lives. So, in this paper we outline an trans- and interdisciplinary approach to the key-competency related researches, based on constructivist epistemology and cultural semiotics. It deals with the stratificational structures of cultural competency- modellings, their logical demands for modelling, and the sustainability of competencies as well as the action indices. This descriptive apparatus should include the hierarchy of cultural competencies, the media-competency and literacy applied to the educational curriculum. These syncretisms in the research of HRD(Human Resource Development), which are becoming increasingly obvious in the era of globalization, are to be systematically described and explained by the equally syncretistic discipline of metatheory which reformulates the relevant contributions of related sciences and connects them into a unified framework, i.e. into the Cultural Semiotics. 1990년대 이후 전통적인 사회구조가 급격히 해체되면서, 계획되지도 않고 예견될 수도 없는 상황에 적절하게 대처하고 행위하는 능력, 즉 역량(Kompetenz)의 습득은 개인은 물론이고 기업의 생존에도 더욱 중요해진다. 부단히 변화하는 노동환경에서 행위능력을 갖춘 역량인(Kompetenzmensch)을 확보하고 정치 경제 사회 문화적 이익에 부합하기 위해 스스로를 조직하는 평생학습이 요청되는 시점에서 유럽연합(EU)은 1996년을 "평생학습의 해"(Jahr des lebenslangen Lernens)로 선포했고 사민당(SPD)과 녹색연합당(Bündnis 90/Die Grünen)의 위임을 받아 독일연방의회도 2000년 5월 "만인을 위한 평생학습"을 천명했다. 이때 학습문화와 역량발달에 관한 기술모델이 세계화 과정 속에서 제기되는 '역량'(Competencies)의 학제적 연구에 부응하는지 점검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독일어권에서 제안된 교육학의 역량모델을 구성주의 시각에서 진단하고1) 역량 일반을 문화, 예술 및 매체 차원에서 조명하는 기호학적 모델의 단서를 고민해 보았다.

      • 텍스트기호학의 입장에서 본 박물관/테마파크의 문제 : 테마파크 평가지수(TPAI) 개발을 위한 기호학적 구상

        박여성 한국디지털스토리텔링학회 2009 디지털스토리텔링연구 Vol.4 No.-

        도시들은 최상위 심급인 국가를 배경으로 전 지구적인 경쟁에서 주목받기 위해 인정투쟁(認定鬪爭)1)을 벌이면서, 일자리와 투자자 및 후원금을 위한 견본시(見本市)에서 스스로를 대변할 수밖에 없다. 그 순간 도시는 건물과 광장, 주택과 역사적 사건, 인물을 통해 연상되는 브랜드(Brand/Marke)를 표방한다. 정기적으로 공표되는 도시들의 랭킹도 자신의 장점을 부각시키고 단점을 은폐하려는 브랜드 경영의 전략을 구사하는 셈이다. 언어학적 전회와 문화학적 전회를 계기로 공간에 대한 관심은 인문지리학과 미술사, 철학과 사회학, 기호학과 정보기술을 아우르는 공간문화론으로 집약된다. 도시와 공간을 다양한 의미체계, 일종의 텍스트로 구상하는 가

      • KCI등재

        디자인의 인식론적 정초를 위한 의제 : 근대 디자인의 역사와 시대정신을 중심으로

        박여성 고려대학교 응용문화연구소 2010 에피스테메 Vol.- No.4

        Starting from the core concept of modern design theories (disegno), we propose here some semiotic prespectives for epistemological approach. Design, in this respect, is more than a merely decorating skill to produce goods, but rather a very complex competency, which can lead to innovative communication in all possible realms of a community. For this reason, we need some points: the craft of professional skill in the pre-industrial society should be transformed from personal know-how to societal competency. Design emerged at the turn to the 20th century, and its special legacy such as the Werkbund & Bauhaus in Germany and Arts & Crafts Movement in England, Dadaism & Constructivism, modern science and philosophy, ergonomics and aesthetics, as well as the production and accep-tance of goods, must be linked in an interdisciplinary academic schema in order to provide a variety of transitions between and across them. These insights are covering now following aspects: Product & Brand Communications, Urban semiotics, Festivals, Story-Telling etc. With this actual topic, we stand now in front of a new task for Semiotics, and I think its academic and practical potential is truly huge. 본고에서는 ‘디세뇨'(disegno)에서 출발하는 근대 디자인의 핵심개념을 살펴보고, 디자인기호학의 인식론적 토대를 제공하는 단서들을 정리하였다. 디자인은 상품을 생산하는데 동원되는 치장술을 넘어서 이와 연관되는 제반 활동에 영향을 끼치는 소통의 심급이라는 점에서 인문학을 비롯한 기존의 학문활동에 대한 혁신(Innovation)의 문제로 연계된다. 특히 20세기로 넘어오는 전환기에 수공업/공예의 비법으로 부터 산업사회의 직업적 역량(Competency)으로서 요구되는 디자인은 공작연맹(WB) 및 바우하우스(Bau-haus) 운동, 구성주의와 다다이즘, 현대과학과 철학 및 인체공학의 착상을 거쳐 기호학과 미학적 철학적 측면은 물론이고, 디자인을 통한 상품의 생산과 수용 및 학제적 소통능력에-때로 상충되지만-다양한 전환의 계기를 제공한다. 이러한 다각적 통찰을 바탕으로 디자인기호학은 상품, 기업과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및 환경의 범주에서 도시, 공간, 건축의 물질계와 브랜드, 축제, 스토리텔링의 상징계를 아우르는 복합적 과제를 가진다. 요컨대 디자인기호학의 과제와 가능성은 실로 무궁하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논문]공간 건축 도시 연구의 방법론 : 기호학과 텍스트언어학을 중심으로

        박여성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1 로컬리티 인문학 Vol.0 No.6

        The Cities, in modern sense, could be best defined by physical conditions of constructed buildings as well as by communication-act of actants in a society. So, in this paper we outline an interdisciplinary framework for a semiotic study on urban and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mainly based on Text-Linguistics and Semiotics. It deals with some prototypical features during the process of urbanization, i.e., the oppositions between civilization and savagery, publicity and privacy, Gestalt and fragments, center and periphery, finally between heterogenity and homogenity. This descriptive apparatus based on metaphorical application, includes the morpho-semantic features of places (Semantik), the syntactic models applied to the Combination of basic elements (Syntaktik), and finally the pragmatic usage of power, ethics and aesthetics (Pragmatik). These syncretisms in the architectures and spaces in the cities of all societies, which are becoming increasingly obvious in the age of globalization, are to be systematically described and explained by the equally syncretistic discipline of urban-science which reformulates the relevant contributions of related disciplines, for example architecture, sociology, cognitive psychology, linguistics etc., and connects them into a transdisciplinary approach of Architectural & Urban Text-Semiotics. 근대적인 의미의 도시는 한편으로 건축물이라는 물리적 집합체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 그 안에 사는 행위주체들의 역동적인 커뮤니케이션 행위를 통해 규정된다. 이에 본고에서는 대부분의 인구가 도시에 밀집해서 살아가는 오늘날의 생활세계에서 축조물과 그 기반 위에서 작동하는 기호세계(Semiosis)를 관찰하며 공간, 건축 및 도시를 일종의 세미오시스로 조명하는 기호학적 원근법에 비추어 공간과 건축 및 도시를 제각기 요소(Elements), 조합(Combination) 및 기능/사용(Function/Use)에 상응하는 형태-의미론, 통사론, 화용론의 분과에서 연구하는 기호학적 방법론의 틀을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