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Social Conflicts and Hegemonic Articulation on the Saemangeum Reclamation Project in South Korea

        박순열 서울대학교 사회발전연구소 2015 Journal of Asian Sociology Vol.44 No.1

        The South Korean government planned for the Saemangeum reclamation project to spark development in the North of Jeolla Province (NJP), it triggered vicious social conflicts that lasted for more than two decades since its inception in 1991. The impact of the project extended across ecological and social dimensions of Korean society at large, while also significantly affecting local communities in NJP. Regional or national stakeholders participated in the resultant social conflicts, and sought their particular political, economic and ecological interests within the context of a dynamic social and political context. This paper examines the reason why the project commenced and why it persists even in the face of such a socially combative environment, connecting social forces with development orientation and environmentalism. And then this paper discusses the social and ecological implications for more ecological and democratic development in Korea.

      • KCI등재

        현대사회에서 커먼즈 논의의 정합성에 대한 검토: 경의선공유지를 사례로

        박순열,안새롬 한국환경사회학회 2023 환경사회학연구 ECO Vol.27 No.2

        이 글은 경의선공유지를 사례로 커먼즈 논의가 현대사회에 정합적인지 검토한다. 커먼즈에 대한 다양한 규정과 정의에도 불구하고 최근 국내외의 이론적, 실천적 흐름은 커먼즈를 공동체-자원-제도의 결합으로 규정하는 경향이 강하다. 한국에서 커먼즈 논의의 상징으로 여겨지는 경의선공유지에 대한 논의들 역시 이러한 흐름을 반영하고 있다. 이 글은 커먼즈가 작동할 수 있는 사회구조, 공동체-자원-제도의 결합으로서 커먼즈라는 규정, 그리고 커먼즈의 핵심 개념인 공동(성)과 공통(성)을 루만(N. Luhmann)의 사회체계이론을 활용하여 검토한다. 논의 결과, 동일한 조건의 사람들사이의 ‘공동(성)’과 기능분화된 현대사회에서 서로 다른 사회적 체계들 사이의 ‘공통(성)’이 구별되고, 현대사회의 커먼즈는 사회적 체계들의 공통 작동과 관련된다. 또한 경제체계와 같은 사회적 체계, 기업과 같은 사회조직, 또는 사회운동 단체와는다르게, 커먼즈는 하나의 자기준거적인 사회적 체계로서 작동한다고 보기 어렵다. 이 글은 현대사회에서의 커먼즈를 ‘어떤 사태가 서로 다른 사회적 체계들의 공통 작동에 개방되어 있어야 하고, 그래서 어떤 하나의 사회적 체계가 해당 사태를 배타적으로 다루어서는 안된다’는 일종의 가치/주장으로 규정한다. 커먼즈에 대한 이 같은규정은 서로 다른 코드로 작동하는 사회적 체계들, 그런 사회적 체계들과 연결되어 상이한 가치와 이해관계를 가진 다양한 사람들이 차이들을 보다 민주적이고 유연하 게 조정해 갈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준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coherence of the theories and key concepts of commons in modern society, focusing on the Gyeongui-seon Commons (GC). The GC took an emblematic role in social disputes on commons and commons studies in Korea, since it suggested alternatives opposed to the profit-oriented urban development and state-owned land utilization. Adopting N. Luhmann’s social system theory, we delve into the social structure where the commons can operate, with dis-constructing the concept of commons broadly regarded as a set of community, resources, and institution, and also re-defining foundational social relationships of commons into two concepts: communal and common, or communality and commonality. The former is related to joint involvements of people mostly observed in traditional communities, while the latter refers to overlapping operations of social systems in the functionally differentiated modern society. And yet the commons cannot operate as a self-referential social system in modern society, unlike other social systems such as the economic system, a company, or social movements. Then, transforming the GC into a community in the vision of “space for all” and “autonomous and self governing space” is hardly possible by means of commons movements. This result shows that the commons can only work as a value, which is a claim that a certain object or social situation should be open to the joint or overlapping operation of various social systems, preventing any single social system from exclusively controlling it. This implies that commons as a value could support for social movements in the modern society, where people is always ready to meet others have different values and interests and try to coordinates more democratically and flexibly the differences among them, because they are connected situationally to various social systems which operate with distinct codes and values.

      • KCI등재

        ‘기후변화가 아닌 체계변화’의 가능성 : 모자이크 탐험대의 북극탐험을 사례로

        박순열 한국환경사회학회 2022 환경사회학연구 ECO Vol.26 No.2

        This article explores the possibility of ‘System Change, Not Climate Change’ using the case of MOSAiC(Multidisciplinary Drifting Observatory for the Study of Arctic Climate) Expedition. The basic premise is the society as self- referentially operating communication system developed by N. Luhmann. With the premise, this article critically reviews the meaning and validity of ‘(social) system’ which is broadly used in environmental social sciences on climate change. The findings are followings: 1) If the system change refers to social system’s change, it is the multiple social systems operating differently from others, not a system with single operational logic. 2) Social systems are operationally closed, but causally open to the environments. 3) If we fail to discern difference between self-referentially operating systems and regime which is consist of systems, value, institution, and so on, we cannot clarify the possibility and limit of the change of social system or social regime. Consequently, referring to ambiguous system change leaves only devastating burdens to citizens who are keen to climate change, appealing to their abstract morals. 이 글은 모자이크 탐험대의 북극 탐험을 사례로 ‘기후변화가 아닌 체계변화’의 가능성을 탐색한다. 루만(N. Luhmann)의 자기준거적으로 작동하는 ‘커뮤니케이션체계로서의 사회’를 이론적 토대로 하여 기후변화에 관한 사회(과)학에서 논의되는‘체계변화’ 또는 ‘체제전환’의 개념적 의미와 적합성을 검토하였다. 논의의 결과, 1) 체계변화가 사회체계의 변화라면 그 체계는 단일한 작동 논리를 가진 하나의 사회체계가 아니라 서로 다른 코드와 프로그램으로 작동하는 수많은 사회적 체계들이고, 2) 사회적 체계는 다른 사회적 체계들을 포함한 자신의 환경에 의존하지만 자기준거적으로 작동하고, 3) 자기준거적으로 작동하는 (사회적) ‘체계’와 제도, 가치, 사회적체계 등이 결합한 (사회) ‘체제’를 구별하지 못하면, ‘기후변화가 아닌 체계변화’에서체계변화의 가능성과 한계를 적절하게 규명하지 못하게 된다. ‘체계변화’나 ‘체제전환’에 대한 부적합한 이해는 결과적으로, 기후변화에 맞서 사회를 변화시키고자 하는 시민들에게 과도한 도덕적 부담만을 지우게 된다.

      • KCI등재

        Kinetic Monte Carlo Study on Boron Diffusion with Carbon Pre-implantation after a Pre-amorphization Process

        박순열,성건식,원태영 한국물리학회 2011 THE JOURNAL OF THE KOREAN PHYSICAL SOCIETY Vol.58 No.51

        We report our kinetic Monte Carlo (kMC) study on the effect of carbon co-implant during the pre-amorphization implant (PAI) process. We employed BCA (Binary Collision Approximation) approach for the acquisition of the initial as-implant dopant profile and kMC method for the simulation of diffusion process during the annealing process. The simulation results implied that carbon co-implant effectively suppresses the boron diffusion due to the recombination with interstitials. Also, we could compare the boron diffusion with carbon diffusion by calculating carbon reaction with interstitial. We could find that boron diffusion is affected by the energy level of the carbon co-implant due to the enhancement of the trapping of interstitial between boron and interstitials.

      • KCI등재

        생태시티즌십 : 생명과 자유를 구현하는 새로운 시민의 모색

        박순열 한국환경사회학회 2019 환경사회학연구 ECO Vol.23 No.2

        본 논문은 기후위기와 같은 환경문제 해결에 긴요한 새로운 유형의 시민을생태시티즌십 개념을 활용하여 탐색한다. 생태시티즌십은 자유주의 정치이론의 시티즌십 개념에 세계시민주의와 생태주의적 지향을 통합한 것으로서, 생태적 세계시민의 권리, 권한, 책임, 의무, 배려와 그것들을 보장하고 실현하는일체의 제도와 사회적 관행을 의미한다. 논문은 생태시티즌십의 가치지향을민주적, 세계적, 생태적 가치로 분석하고, 그것들의 동시적, 개별적 고양과훼손을 통하여 생태시티즌십의 변이를 설명한다. 또한 개별 시민이 사회와 생태계에 맥락-의존적임을 검토함으로써 생태시티즌십이 시민들의 보다 나은삶을 위한 자유와 다른 생명에 의존하는 좋은 삶으로서 생명의 구현임을 논증하였다. This article explores a new type of citizen who is critical to resolve global environmental problems such as climate crisis, adopting the concept of ecological citizenship. Ecological citizenship is an extended concept of citizenship mainly developed by liberal political studies with accommodating cosmopolitanism and ecological thoughts. We define ecological citizenship as whole sets of rights, entitlements, responsibilities, duties and care of ecological cosmopolitan citizen, and also social systems and practices which secure and realize those virtues. Ecological citizenship consists of three mutually independent value-orientations; democracy, cosmopolitanism, ecology. The enhancement or dehancement of ecological citizenship is a function of variations of overall or individual value-orientation. And we argue that ecological citizenship can be a social-political apparatus for the realization of citizen’s liberty for better life and life as a good lif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