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복분자 식초의 품질특성과 항산화활성

        박송이 ( Song Yie Park ),채규서 ( Kyu Seo Chae ),손락호 ( Rak Ho Son ),정지혜 ( Ji Hye Jung ),임영례 ( Young Rae Im ),권지웅 ( Ji Wung Kwon ) 한국산업식품공학회 2012 산업 식품공학 Vol.16 No.4

        본 연구에서는 2단계 발효를 통해 복분자 식초를 제조한 후 이에 대한 이화학적 성분 및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복분자 식초의 알코올 발효 종료 후 알코올 함량은 11.78±0.03%이었고, 당도는 8.40±0.05 Brix이었으며, 초산발효 종료 후 알코올 함량은 0.16±0.03%이었고, 산도는 6.07±0.11%이었다. 복분자 식초의 주요 유기산은 acetic acid(4,641.59 mg%)와 citric acid(1,241.05 mg%)이었고, 복분자 식초의 총 폴리페놀,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38.01 mg/g, 17.91 mg/g이었다. 페놀화합물 중 ellagic acid 함량이 1,127.43ug/g으로 가장 많았으며, gallic acid의 함량은 962.44ug/g을 보였다. 복분자 식초의 DPPH 라디칼소거 활성과 환원력은 500ug/mL 농도에서 각각 60.3%, 0.50이었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bokbunja (Black raspberry) vinegar by two step fermentation. The bokbunja vinegar was contained the highest amount of acetic acid (4,641.59 mg%) followed by citric acid (1,241.05 mg%) among the major organic acids in the vinegar. The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in bokbunja vinegar were 38.0 mg/g and 17.8 mg/g, respectively. The ellagic acid and gallic acid contents in bokbunja vinegar were 1,127.43ug/g and 962.44ug/g, respectively. At concentration of 500ug/mL bokbunja vinegar,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reducing power were 60.3% and 0.50, respectively.

      • 잔의 형태에 따른 복분자주의 선호성 변화

        박송이 ( Song Yie Park ),정은선 ( Eun Seon Jeong ),정수현 ( Su Hyeon Jeong ),이희권 ( Hee Kwon Lee ) 전북대학교 농업과학기술연구소 2012 농업생명과학연구 Vol.43 No.1

        본 연구에서는 주로 소주 또는 과일주의 잔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는 유리잔(이하 소주잔으로 칭함) 5종과 국내의 수퍼마켓에서 판매되고 있는 와인잔 6종을 선정하여 복분자주잔으로서의 적합성을 비교하였다. 실험 결과 잔 상부의 입술에 닿는 부위가 넓고, 바깥쪽으로 약간 벌어진 형태를 취하고 있는 잔의 선호성이 높았는데 이는 복분자주가 혀의 적절한 부위에 떨어지게 하여 맛을 즐길 수 있게 해 주는 것으로 생각된다. 와인 잔은 소주잔에 비하여 높은 선호도를 보여 와인잔이 복분자주의 잔으로서 매우 적합하다고 생각된다. 복분자주에 어울리는 잔에 대한 고찰은 복분자주를 보다 더 맛있게 마실 수 있는 방법의 제시가 될 수 있으며 복분자주의 소비를 늘리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It was investigated to choose a wine glass fitted to enjoy Bokbunja wine by comparing some commercially available wine glasses, Five korean traditional wine glasses (Soju-jan) and 6 general wine glasses were selected for the experiment which are apparently different in shape and size each other, Panel-test was done by 20 panel members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using Duncan test of SPSS, Wide and outstretched mouth of the glass cause increase in the acceptability for Bokbunja wine. General wine glasses were more acceptable than Soju-jans. Especially the worst general wine glass in the acceptability is better than the best Soju-jan.

      • SCOPUSKCI등재

        다양한 첨가제에 의한 청국장 불쾌취 및 Bacillus cereus 증식의 억제

        정수현(Su-Hyeon Jeong),박송이(Song-Yie Park),정은선(Eun-Seon Jeong),김용석(Yong-Suk Kim),문성필(Sung Phil Mun) 한국식품과학회 2016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8 No.6

        청국장의 불쾌취를 줄이고 B. cereus 증식을 억제하는데 다양한 첨가제의 효과를 검토하였다. 관능검사는 불쾌취와 맛에 대하여 각각 5점 척도법으로 실시하였다. 무첨가 청국장의 불쾌취 강도가 가장 높다고 평가되었으며, 소금 첨가구, 목초액 소금 첨가구, 고추씨기름 첨가구, 죽염 첨가구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맛의선호도는 고추씨기름 첨가 청국장이 다른 첨가구들보다 높았다. 각 첨가제들의 B. cereus 증식 억제 효과를 확인한 결과, 죽염이 다른 3개 첨가제에 비하여 그 효과가 가장 뛰어났다. 관능검사 결과 및 B. cereus 증식 억제 효과가 좋게 나타난 죽염 첨가 청국장과 무첨가 청국장의 냄새 성분을 추출, 농축하여 GC/MS로 분석하였다. 죽염 첨가 청국장에서 오렌지 유사 향인 1-ethoxy-1-methoxy-ethane이 무첨가구에 비해 크게 증가하였다. 결과적으로 죽염을 청국장에 첨가하는 것은 차폐에 의한 청국장의 불쾌취 감소뿐만 아니라 B. cereus 증식 억제에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The effectiveness of various additives in reduction of an unpleasant odor and inhibition of Bacillus cereus growth in Cheonggukjang (CKJ) was investigated. Sensory evaluations of unpleasant odor intensity and taste preference for CKJ were conducted with a 5-point scale. Raw CKJ was rated to have the highest unpleasant odor intensity, followed by CKJ-salt, CKJ-wood vinegar salt, CKJ-red pepper seed oil, and CKJ-bamboo salt in the given order. The test panel had a greater preference for CKJ-red pepper seed oil than for the other CKJ products. The addition of bamboo salt to CKJ was the most effective in inhibition of B. cereus growth in comparison to the other three additives. Volatile compounds in CKJ and CKJ-bamboo salt were identified by GC/MS analysis. 1-Ethoxy-1-methoxy-ethane was responsible for the pleasant odor and its level significantly increased in CKJ-bamboo salt. Consequently, adding bamboo salt to CKJ not only masked and reduced the unpleasant odor, but also inhibited B. cereus growth in CKJ.

      • SCOPUSKCI등재

        국내 육성 쌀귀리 품종의 이화학 특성 및 베타글루칸 함량

        이미자(Mi-Ja Lee),박송이(Song-Yie Park),김양길(Yang-Kil Kim),김형순(Hyung-Soon Kim),형호(Hyoung-Ho Park),이윤정(Yoon Jeong Lee),정헌상(Heon Sang Jeong) 한국식품과학회 2017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9 No.1

        본 연구에서는 소비가 증가되고 있는 귀리 관련 식품 및 가공식품 수요에 대처하기 위해 국내 육성 품종의 이화학적 특성 및 기능성분인 베타글루칸과 항산화활성을 분석하였다. 국내에서 현재까지 개발된 쌀귀리는 5개 품종으로 이들 품종에 대한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귀리 종실의 외관특성은 선양을 제외한 모든 품종이 장립종이었으며, 귀리 종실 및 가루의 백도 및 L값은 조양이 비교적 높은 값을 보였고, 단백질, 전분, 조지방 등 주요 구성성분은 품종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총베타글루칸 함량은 3.78-4.60% 수준으로 대양이 가장 높았으며, 총베타글루칸 함량에 대한 수용성베타글루칸 함량비율은 71-83%이었다. 쌀귀리의 지방산 조성은 C18:1, C18:2, C16:0, C18:0, C18:3 순이었으며, 불포화지방산 함량은 75.4-81.2%이었으며 대양이 가장 높았다. DPPH 라디칼 소거 활성과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은 품종마다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며, 대양이 가장 높은 항산화활성을 보였다. 전분함량과 단백질 함량은 부의 상관관계(r= −0.775)를 보였으며,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은 총페놀함량과 정의 상관관계(r=0.760)를 나타내었고,회분함량과 분말백도도 정의 상관관계(r=0.732)를 나타내었다. Due to increased consumption and demand for oat-related foods and processed food, this study examined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tioxidant activity, and β-glucan contents of 5 Korean naked oat cultivars. Oat seeds had long-grain appearance in all cultivars except for Seonyang. The contents of main components such as protein, starch, and crude fat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cultivars. The total β-glucan content was 3.78-4.60% and the soluble β-glucan ratio was 71-83%. Fatty acid composition was C18:1, C18:2, C16:0, C18:0, and C18:3. Unsaturated fatty acid (USFA) content was 75.4-81.2%. 2,2-Diphenyl-1-picrylhydrazil (DPPH) and 2,2-azino-bis-3-ethyl-benzo-thiaxoline-6-sulfonic aci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or each cultivar. Daeyang had the highest β-glucan, USFA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Protein content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starch content (r = −0.775). Antioxidant activity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otal phenol content (r =0.760). Ash content and flour whitenes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r =0.732).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