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내 복합쇼핑몰의 가로특성에 따른 변화에 관한 연구

        박두리 ( Doory Park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8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3 No.5

        (연구배경 및 목적) 오늘날 상업공간은 점차 쇼핑과 외식 등 단순한 소비행위를 넘어 다양한 문화적 행위를 담아냄으로써 이용자의 문화 및 여가를 충족시키기 위한 복합쇼핑몰로 발전하고 있다. 현대사회에서 소비는 단순한 물건구매가 아니라 보다 넓은 개념으로 구매과정에서 일어나는 경험적 측면을 포함한 개념이며 그 과정에서 공간소비가 함께 발생한다. 최근에 준공된 복합쇼핑몰은 직접적인 판매보다 소비자들의 체류시간을 증가시키고 자연스럽게 소비를 유도하며 쇼핑몰의 아이덴티티를 구축하기 위한 방식으로 공간소비에 주목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변화는 복합쇼핑몰이 도시의 연장선상이자 여가문화공간으로써 도시의 특성을 내부화함에 따라 공용공간의 확대, 내부 가로화, 외부와 내부의 중첩, 외부성의 발현과 같은 건축적 특징들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특징들은 내부가로뿐만 아니라 가로와 인접된 매장에도 영향을 주어 매장의 구성과 배치, 건축적 특징들에 반영되어 나타나고 있다. 도시의 가로가 인접한 매장들과의 상호 작용를 통해 그 이미지가 생성되듯이 복합쇼핑몰의 내부가로 또한 도심 가로화 되면서 인접한 매장들의 공간적 시도와 설정도 변화한다. 그렇기 때문에 이에 대한 고찰은 변화하고 있는 복합쇼핑몰의 특성을 파악하는 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복합쇼핑몰의 내부가로의 공간분석을 통해 현재 내부가로의 공간적 특성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복합쇼핑몰 내 매장의 공간 전략과 디자인 특성을 평가함으로써 향후 차별화된 복합쇼핑몰의 매장구성계획에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현재 복합쇼핑몰의 내부가로의 이론적 고찰을 통해 개념, 특징, 유형을 파악하고 선행연구로부터 수평성, 야외성, 복합성, 개방성, 비일상성이라는 내부가로의 5가지 특성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5가지 핵심특성을 가지고 국내의 대표적인 복합쇼핑몰 6곳을 선정하여 사례별로 분석한 후 매장의 공간 계획 특성과 디자인 특성 및 효과를 종합적으로 고찰하였다. (결과) 그 결과 복합쇼핑몰의 매장은 다중심화, 업종의 혼합, 개방성강화, 외부성의 발현, 복합형 체험매장의 증가라는 특성이 나타난다. 매장이 다중심적으로 혼합배치되어 공간의 위계가 옅어지고 개방성이 강화되어 내부가로와 매장공간의 연계성이 높아진다. 실내와 실외의 중첩과 건축 요소등으로 외부성이 발현되며 복합형 체험 매장이 증가하여 비일상성이 높아진다. (결론) 매장의 가로특성 발현으로 유추한 복합쇼핑몰의 변화는 3가지이다. 첫째 경계의 약화, 둘째 비일상성의 강화, 셋째, 공간소비의 강화이다. 이런 3가지의 특성들은 최근의 복합쇼핑몰이 타 쇼핑몰과 차별화 요소로써 제품의 대규모 집적과 직접적인 소비가 아닌 다양한 집적을 기반으로 이용자의 문화적 요구를 충족시키고 감성을 자극하기 위해 이용자, 공간, 프로그램이 상호작용하고 다양한 방식으로 복합하는 것으로 변화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Background and Purpose) The modern commercial space is gradually evolving into the complex shopping mall to satisfy the cultural and leisure needs of users, capturing various cultural activities, rather than common consumption activities such as shopping and dining. In today’s society, consumption is not simply the purchase of goods but a concept that includes the empirical aspects of buying in a broader way, encompassing space consumption. Newly completed complex shopping malls have begun paying attention to space consumption in a way that will increase consumers’ stay time, drive consumption naturally, and establish the identity of the shopping mall; the focus on direct sales has shifted. This change represents the extension of a city; as the complex shopping mall internalizes the character of the city as a leisure and cultural space, malls are characterized by the expansion of public space, superposition of the interior and exterior, and expression of the outdoors. These characteristics are reflected in the composition, layout, and architectural features of stores, affecting not only their interior street but also their adjacent stores. Focusing on these six core characteristics, six representative shopping malls in Korea were selected to analyze comprehensively the characteristics of space planning, design, and effects of the stores. Just as the city’s streets interact with neighboring cities, the inner city of a shopping mall also becomes a city street, changing the spatial attempts and settings of adjacent stores. The discussion identifies the changing nature of the complex shopping mall. (Method) This study examined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current inner street of the complex shopping mall through analyzing the interior street. The research aimed to evaluate the spatial strategy and design characteristics of stores in the complex shopping mall to assess the future differentiation of shopping malls. This study identified the concepts, features, and types of interior streets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 from which six characteristics of the interior streets were derived: horizontal, outdoor, complex, openness, and non-commodity. (Results) The stores of complex shopping malls are characterized by the following: inversions, mixed deployments by industry, increased openness, improvement of externality, and increased experience stores. The multi-hearted arrangement of the stores makes the space smaller and more open, increasing the link between the street and floor space. The externality of indoor and outdoor features and building elements is promoted, and non-operative will increase as theme park type stores increase. (Conclusions) The complex shopping mall has undergone three changes as estimated by street characteristics: first, the weakening of boundaries; second, the strengthening of non-uniformity; and third, the strengthening of space consumption. These show that the recent complex shopping mall has the following differentiating element from other shopping malls: space interacts and mixes in various ways to meet the cultural needs of users and stimulate their emotions based on various purposes, instead of on large product aggregation and consumption.

      • KCI등재

        디지털 영상매체를 이용한 공간연출의 표현요소에 관한 연구

        박두리(Park Doory)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10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0 No.2

        산업이 발달하고 기술이 진보함에 따라 오늘날 조명을 이용한 공간연출은 한층 더 다양화 복잡화 되어가고 있다. 조명은 공간의 어두움을 해결하는 초기의 목적에서 벗어나 공간의 내부와 외부에서 많은 역할을 하게 되었다. 특히 디지털의 발전은 조명과 비조명의 구분과 역할을 무너트리고 디지털 영상매체를 이용해 새로운 공간연출방식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디지털 영상매체를 이용하여 기존의 조명이 표현하지 못한 다양한 개성과 감각을 공간에 표현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경향은 미디어 파사드 등을 통해 공간을 미디어화 시켰고 상업적인 이유 또는 공공적인 목적을 위해 더욱 다양한 공간으로 확대되고 있다. 디지털 영상 매체가 공간연출에 적용된 현대 실내 공간을 디자인의 시각에서 분석하고 그 의미를 정립하여 새로운 공간 적용 가능요소를 찾는 것은 연구적 가치로서 의미 있는 일 이라고 생각한다. 디지털 영상 매체가 디자인의 중요한 요소로 자리하고 있는 현대 공간의 사례를 통해 어떠한 요소와 방식으로 적용되고 있는지 분석하고 새로운 디자인의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영상매체를 이용하여 공간을 연출한 사례를 조사하고 연출에 사용된 시각적 표현요소를 분석할 것 이다. 이를 통해 현재 디지털 영상매체를 이용한 공간연출의 시각적 표현 요소와 특성을 살펴보고 앞으로 다양한 디지털 영상매체를 이용한 공간연출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As the industry has developed and the technology has advanced space productions with using lighting become further various and complicated. Lighting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both the interior and exterior of space as getting out of earlier purpose that simply had eliminated darkness in space. Especially the improvement of digital caused the collapse of border and role between lighting and non-lighting which led to a new way of space performance on digital image media. Moreover a variety of individualities and senses existing lightings had not expressed became more active through the digital image media. This kind of tendency has converted spaces to media through media of Façade and also the spaces are expanding beyond commercial aspects to include public purposes. It is worthwhile to study for finding new application components by analyzing the modern interiors which is applied to space directions through the vision of the design and erecting its meanings. Through the examples of which digital imaging media we rearrange the space components is regarded as a major components in the modern space we analyze what components and processes are applied and search for new design possibilities So This study would look over examples that the spaces are produced based on digital image media and analyze visual elements of design for productions. It would look into elements of visual expression and characteristics on space productions with digital image media and suggest a diversity of ways of space production with digital image media.

      • KCI등재

        화재 시 피난유도사인의 안전디자인 색채에 관한 고찰

        최정수(JungSu Choi),박두리(DooRi Park),정강화(KangHwa Jeong) 한국색채학회 2014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28 No.3

        19세기 초 산업의 성장을 바탕으로 이루어진 근대화의 물결 속에서 도시공간은 양적 팽창을 이루었고, 이에 따른 인구과밀은 도시 거주자의 거주권과 삶의 질을 위협하는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복잡하고 다양한 형태로 진화한 고층건축물들이 도시 전체를 메우기 시작했다. 이런 고층건축물들은 수직적 팽창과 함께 수평적 확장을 동반하며 도시의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듯 했다. 그러나 대형건축물을 비롯한 공공공간에 대한 화재 및 테러 그리고 자연재해가 발생했을 때는 복잡한 환경으로 인한 물리적 구조의 한계로 인해, 더욱 많은 위험 요소를 발생시켰다. 특히 화재로 인한 위험은 모든 재난에 2차적으로 나타나며, 주거환경과 복합공간 어디서든 발생가능한 주요위험요인으로 많은 피해를 유발시키고있다. 화재로 인한 사고 시에는 최소한의 시간에 대피하는 것이 인명피해를 줄이는 방법인데, 이를 위해 피난유도등의 적절한 디자인과 배치는 중요하다. 하지만 기존의 피난유도등은 관습적으로 사용되던 부분이 많아 화재발생 시, 효율적인 대피에 부적절하다는 것을 문헌과 기존 연구를 통해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안전디자인의 관점에서, 보다 직관적인 활용을 위한 피난유도등에 적합한 색채를 구분하여 재난발생시 효율적인 피난유도를 돕는데 활용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녹색보다는 노란계열의 색채가 화재 시 피난유도에 적합하다는 것을 기존의 논문을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후 노란계열을 세분화하고 기존 공간을 축소한 환경에서 실험하여, 가장 최적화된 노란계열의 색채구간을 찾고자하였다. 실험결과, 노란계열의 구간 중에서도, 채도와 명도가 높은 구간일 수 록 연기 속에서 잘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후, 확인된 색채구간을 기존 공간에 시뮬레이션하여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우리의 생활과 밀접한 도시공간과 생활공간에서 잘못 적용되어 온 안전에 관한 부분의 인식을 바로잡고자한다. 이를 통해 안전사각지대를 최소화하고, 안전을 통한 사회구성원 모두의 삶의 질을 높이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In the wave of modernization made based on the industrial growth of the early 19th century, urban space expanded in a quantitative respect and the consequent overcrowding emerged as a serious social problem threatening city dwellers’ right of residence and quality of life. To solve this problem, high-rise buildings that have evolved into complex and various forms began to fill the entire city. Accompanied by horizontal expansion with vertical expansion, these high-rise buildings seemed to solve urban social problems. However, in the event of fire, terrors and natural disasters in public spaces including large buildings, the limitations of the physical structure due to a complex environment caused much more risk factors. In particular, risks due to fire appear secondarily in all disasters and cause a lot of damage as a major risk factor that may occur anywhere in residential environment and complex space. In the event of fire accidents, casualties can be reduced by being evacuated as quickly as possible and to this end, it is important to properly design and place exit lights. However, it could be seen through literature and existing studies that traditional evacuation guidance lights are inadequate for efficient evacuation in the event of fires because most of them have been used conventionally. In this study, we are to divide colors more suitable for evacuation guidance lights in view of safety design for more intuitive utilization and use them in helping efficient evacuation guidance in the event of disasters. To this end, we changed the exit sign applied as green in the past to yellow and conducted an experiment to find the range of colors the most suitable in the event of fire.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colors in the range of higher chroma and brightness are the most visible even in the smoke. This study is to correct awareness on the safety part that has been misapplied to urban space and living space close to our lives. Through this, we are to minimize safety blind spots and contribute to enhancing the quality of life for all community members through saf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