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텔레비전 뉴스 영상의 구조적 요소와 주제연관성 시계열 분석

        박덕춘(Dug-Chun Park) 한국콘텐츠학회 201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1 No.7

        본 논문은 텔레비전 뉴스에 있어서 ‘현장성’과 ‘사실성’의 지표가 될 수 있는 뉴스 영상의 구조적 요소와 주제연관성이 시대적 배경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지 그리고 그 함의가 무엇인지 살펴본 내용연구이다. 기존의 텔레비전 뉴스에 관한 여러 연구들은 대부분 동시대의 뉴스를 대상으로 한 횡적 연구에 집중하여 시대적 변화를 반영하는 종적 연구에는 상대적으로 소홀한 감이 없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1987년부터, 2007년까지 MBC뉴스데스크에서 방송된 뉴스를 대상으로, 5년 간격으로 체계적 무선표집방법을 통해 추출한 총 729개 아이템의 11,945개의 샷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1987년과 2007년의 텔레비전 뉴스 영상에는1992년과 2002년에 비해 ‘현장성’과 ‘사실성’을 충실히 반영한 ‘사운드바이트’와 ‘사건화면’, 그리고 주제와의 연관성이 높은 ‘직접연관’ 화면의 비중이 높게 나타났으나, 1997년에는 이들 요소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나고, ‘현장성’과 ‘사실성’ 측면에서 취약한 ‘로케이션 화면’, ‘구성화면’ ‘자료화면’, 그리고 ‘간접연관’과 ‘축어적 연관’ 화면의 비중이 크게 나타남으로써, 현실기반의 뉴스 보도가 충실히 이루어지지 못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thesis is a content analysis on whether the proportion of structural element and theme association of television news imagery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on what it means, which can be the index of scene-based and realistic report. Most researches of television news are horizontal studies of the same period, making light of vertical studies reflecting the change of age.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729 items composed of 11,945 shots extracted from MBC Newsdesk from 1987, to 2007, the samples of which were extracted by systematic random sampling with five years’ interval. This content analysis found out that there was high proportion of scene-based and realistic report such as ‘sound-bite’, ‘event footage’, ‘direct matching’ in the year 1987, 2007, and high proportion of ‘corroboration shot’, ‘file footage’, ‘indirect reference’, ‘literal matching only’ in the year 1997, which revealed the fact that reality-based report had not been faithfully accomplished in 1997.

      • KCI등재

        4D와 비트박스 영화관람이 관객의 몰입과 동일시에 미치는 영향

        박덕춘(주저자) ( Dug Chun Park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14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49 No.-

        본 연구는 영화의 관람방식인 4D 관람과 비트박스관람이 관객들이 느끼는 영화에 대한 몰입도와 동일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영화관 출구 면접조사를 통해 살펴본 실증연구이다. 영화를 감상하고 나온 관객들을 면접조사하고, 그 데이터를 SPSS14.1 통계 프로그램을 통해t-검증을 실시하였다. 검증결과, 4D로 관람한 관객들은 2D로 관람한 관객들보다 몰입도와 동일시 경험을 더 크게 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비트박스에서 영화를 관람한 관객들은 일반 2D 방식으로 영화를 관람한 관객들와 비교했을 때, 몰입도와 동일시 경험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영화 미디어의 관람방식인 4D 관람은 관객의 몰입도와 주인공에 대한 동일시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비트박스 관람방식은 관객들의 몰입도와 동일시에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장의 느낌이 생생하게 남아있는 출구 면접조사 방식으로 4D 관람방식과 비트박스 관람방식이 관객의 몰입도와 동일시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This empirical research explores the effect of 4D and veatbox watching style of movie on audience``s engagement and identification by exit survey at the gate of theater. Survey questions which were designed to measure engagement and identification were asked and analysed by T-test of statistical program SPSS 14.1. This research found that audience who watched movie in 4D style showed higher degree of engagement and identification than those who watched movie in 2D style. Though this study couldn``t find significant difference in experience of engagement and identification between audience who watched movie in veatbox and audience who watched movie in 2D style. Conclusively watching movie in 4D style has positive effect on audience``s experience of engagement and identification.

      • TV 드라마의 장르와 영상표현기법의 상관성

        박덕춘(Park Dug-Chun) 한국콘텐츠학회 2009 한국콘텐츠학회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Vol.7 No.1

        방송에서 TV 드라마의 비중과 영향력이 커지면서, TV 드라마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이루어지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이들 연구들은 시청률에 영향을 주는 시청동기, 수용행태 등에 관한 수용자 연구와 드라마 서사구조의 사회적 의미를 분석한 것들이 대부분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텔레비전 편성에서 뿐만 아니라 산업적 가치 측면에서도 그 비중이 커지고 있는 텔레비전 드라마의 내용상의 장르와 영상제작기법의 상관성을 분석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TNS 미디어 코리아에서 제시한 2004년부터 2008년까지의 연간 ‘시청률 톱 100’ 자료를 바탕으로, 이 기간 동안 방송된 역사드라마, 멜로드라마, 홈드라마 중 가장 시청률이 높은 드라마를 각 장르별로 5편씩 추출하여 이들의 영상제작기법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역사드라마에서는 클로즈업과 롱샷 그리고 트래킹을 흠드라마나 멜로드라마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이 시용하였으며, 샷의 지속시간은 짧음 반면 장면의 지속시간은 긴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홈드라마와 멜로드라마에서는 웨이스트샷을 상대적으로 많이 시용하였으며, 샷의 지속시간은 긴 반면, 장면의 지속시간은 상대적으로 짧게 나타났다. With the increase of weight and influence of TV drama, Many researchers began to publish papers on TV drama. However, Those papers were mainly about social meaning of TV drama and viewing motives and attitudes of TV audience. However, only a few limited papers were about television image production techniques.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analyse the relationship between TV genre and image production technique with the data of top 100 of TNS Media Korea from the year 2004 to 2008. This paper found out that history drama uses more closeup, longshot, tracking and less waist shot than other genres, with shorter shot duration and longer scene duration.

      • KCI등재

        TV 뉴스 앵커의 젠더와 기사의 주제 형식 중요도 상관성 -여성앵커 위상변화를 중심으로-

        박덕춘 ( Dug Chun Park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구 시각디자인학회) 2011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37 No.-

        본 연구는 텔레비전 뉴스 앵커의 젠더에 따라서 기사의 주제, 형식, 그리고 중요도에 차이가 있는지 여성 앵커의 위상 변화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TV 뉴스에 관해서는 많은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대부분 수용자 미디어 효과 연구에 치중하여, 앵커의 젠더를 중심으로 이루어진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국내 텔레비전 방송은 급속한 경제발전과 함께 서구화된 문화의 유입과정 속에서 봉건적 사고의 틀 을 온전히 벗어날 수 없었던 5공화국 시절 혼성앵커가 시작되었다. 이후 민주화 과정을 거치면서 여성 앵커의 위상이 높아진 사실에 대해서는 대부분 공감을하고 있지만, 이에 대한 실증적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앵커의 젠더와 기사의 상관성을 알아보기 위해서 1990년 2000년 2010년 MBC 뉴스데스크에서 방송된 뉴스에서 여성 앵커와 남성 앵커가 다룬 뉴스 기사의 주제, 형식, 중요도 등에 대한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뉴스의 주제에 따라 남녀 앵커의 점유율에 변화가 있었으며, 뉴스 형식에 있어서도 리포트 뉴스의 경우, 남녀 앵커의 점유율의 격차가 줄어들었으며, 스트레이트 뉴스의 경우에는 여전히 여성앵커의 점유율이 압도적으로 높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뉴스의 순서에 따른 중요도 평가에 있어서도 여성앵커에 비해 남성앵커가 상대적으로 더 중요한 뉴스를 다루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researched whether there is difference in theme, form, and importance of news article between genders in the perspective of woman anchor`s phase. Although many studies are being accomplished, most are centered at media effect of audience, so it is difficult to find studies focused on the gender of anchor, Double anchor system has begun in the era of the 5th republic when Korean society was in the influx of westernized culture with rapid economic development in the confucian ideas. Thereafter, through the process of westernization and democratization, most researchers agreed that the phase of woman anchor has been raised, but empirical researches has not been carried out, Therefore this thesis carried out contents analysis of news article broadcasted in the year of 1990, 2000, 2010 of MBC Newsdesk, about theme, form and importance of article of man anchor and woman anchor, This study found that there is difference in the proportion of news article of man and woman anchor in the perspective of theme, and the difference between gender of the proportion of report news diminished from the year 1990 to the year 2010, However the proportion of straight news of woman anchor was overwhelmingly high compared with that of man anchor. This study also found that the importance of news article of man anchor was still higher than that of woman anchor.

      • KCI등재후보
      • KCI등재

        TV 드라마의 시청률과 영상제작기법의 상관성

        박덕춘(Dug-Chun Park) 한국콘텐츠학회 200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8 No.9

        본 논문은 변화하는 방송환경 속에서 텔레비전 영상제작기법은 시청률과 어떤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 지를 알아보고자 하는 목적으로 출발하였다. 그 중에서 특히 가장 높은 시청률을 기록하고 있는 텔레비전 장르인 드라마에서의 영상제작기법과 시청률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TNS미디어 코리아의 2007년 시청률 톱 100 자료를 바탕으로 사극과 폭력적인 드라마를 제외하고, 홈드라마 중에서 6편을 표본으로 선정하였다. 영상분석을 위해서 방송사 홈페이지의 드라마 다시보기와 대본보기를 통해 영상의 화면의 크기와, 카메라워크를 분석하고, 샷의 평균지속시간, 장면의 평균지속시간 등을 산출하였다. 이들 영상분석 자료를 대상으로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시청률〉은 〈복합적 카메라워크〉와 〈샷의 평균 지속시간〉과 부적인 상관관계가 있으며, 그 관계는 매우 밀접한 것으로 드러났다. 그리고 여타의 다른 변인들과는 상관관계가 없음이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는 텔레비전 드라마의 시청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2가지 이상의 카메라워크가 결합된 복합적 카메라워크를 줄이고, 샷의 지속시간을 짧게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말해준다. Under the changing circumstances of broadcasting, this study aims at the corelation of television drama's rating and television image production techniques, analyzing TV image production techniques and TV rating of drama, the highest rating genre. For this research, 6 dramas were selected as samples except the dramas about history and violence on the basis of the TNS media korea's top 100 of the year 2007. This study analyzed camerawork, shot size, shot duration and scene duration with the contents of replay and manuscript viewing of broadcasting companys' homepages. As the result of the analysis of corelation, TV rating is inverse proportionate to multiple camerawork and shot average duration with a very close relationship, showing no relationship with other variables.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multiple cameraworks and long durated shots should be avoided for higher TV rating.

      • KCI등재

        텔레비전 뉴스의 영상의제설정 효과

        박덕춘(Dug-Chun Park) 한국콘텐츠학회 201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1 No.1

        본 논문은 ‘환경관련 텔레비전 뉴스에서 영상과 자막이 수용자의 의제설정에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텔레비전 수용자의 환경관여도에 따라 영상과 자막이 수용자의 환경 중요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있는지’ 의제설정효과와 정교화 가능성 모델(ELM)을 이론적 배경으로 살펴본 실험연구이다. 연구결과 환경이슈에 노출된 수용자는 노출빈도가 높을수록 환경을 더 중요하게 생각하며, 그 과정에서 텔레비전의 시각적 요소인 영상과 자막이 수용자들의 환경인식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영상과 자막이 환경이슈에 관심이 많은 수용자보다 관심이 적은 수용자들에게 통합적 주변단서로써, 환경인식에 더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영상과 자막이 개별적인 주변단서로써 관여도가 낮은 수용자들에게 더 큰 영향을 미치는 현상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지지되지 못했다. 그동안 텔레비전 뉴스의 수용자 효과 연구들은 대부분 언어텍스트를 중심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시각적 요소가 수용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는 극히 제한적으로 이루어져왔다. 따라서 본 연구는 최근 미국에서 확산되고 있는 ‘영상의제설정’이라는 새로운 연구분야의 초기 실험연구로써, 미디어 효과 연구 영역에서 중요한 함의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This is an experimental research with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agenda setting effect and elaboration likelihood model studying 'whether visual cues such as imagery and subtitle of TV environmental news have effect on the viewers' perception?', 'whether visual cues such as imagery and subtitle of TV environmental news have differential effect on the viewers' perception, depending on the viewers' involvement in the environmental issue?'. This experimental research found that the more highly exposed subjects considers environment issue more important than the less exposed, during the process, visual cues such as imagery and subtitle in TV news have an effect on agenda setting. Futhermore visual cues such as imagery and subtitle have stronger effect on the perception of the less involved than that of the more highly involved as a unified peripheral cue. However the effect of environmental involvement as independent peripheral cue couldn't have meaningful statistical support. Despite the fact that many previous researchers have shown that verbal cues of TV news have effect on the perception of viewers, little attempt has been made to investigate effect of visual cues on the TV viewers' perception. Therefore, this research has an important implication as an early proof in a new stream of visual agenda setting and elaboration research.

      • KCI등재

        앵커 음성의 고저와 전달 속도가 뉴스 수용자에 미치는 영향

        박덕춘(주저자) ( Dug Chun Park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13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44 No.-

        본 연구는 뉴스 앵커의 음성의 고저와 기사의 전달 속도가 앵커에 대한 수용자의 호감도, 신뢰도, 그리고 장단기 기억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실험을 통해 살펴보았다.본 연구를 위해 KBS 뉴스타임 영상물을 바탕으로 동일한 내용의 TV뉴스를 음성의 고저와 기사의 전달 속도에 따라 4가지 유형으로 제작하여, 대학생으로 구성된 피험자 집단에게 시청하게 한 후, 설문조사를 통해 뉴스 기사에 대한 장단기 기억과 앵커의 호감도와 신뢰도를 측정하여 이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저음의 앵커 음성에 노출된 집단이 고음의 앵커 음성에 노출된 집단보다 앵커에 대해 높은 호감도와 신뢰도를 보였다. 그리고 앵커의 기사 전달속도가 느린 뉴스에 노출된 집단이 전달 속도가 빠른 뉴스에 노출된 집단보다 장단기 기억을 더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앵커 음성의 고저에 따른 수용자의 장단기 기억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며, 앵커의 전달 속도에 따라 수용자의 호감도, 신뢰도에도 의미있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This research explores the effect of high tone and low tone of news anchor on viewer``s favor, trust, long term and short term memory. For this experimental research, 4 different video clips made from KBS newstime video clip, were exposed to 4 university student groups and degree of favor, trust, long term and short term memory were measured through survey questions and analysed with SPSS program. This research found out that those students who watched TV news with anchor``s low tone showed higher favor and trust than those students who watched TV news with anchor``s high tone, and those students who watched TV news with low speed showed better long term and short term memory than those who watched TV news with high speed. However the effect of high tone and low tone of TV anchor on viewer``s long term and short term memory was not found, and the effect of anchor``s speed on viewer``s favor and trust was not found either.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