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BEING: 모바일 건강 관리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성을 높이는 UX 디자인 요소 분석

        박경빈(Gyeongbin Park),고혜경(Hyekyeong Goh),김윤정(Yunjeong Kim),장진규(Jinkyu Jang) 한국HCI학회 2018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8 No.1

        스마트폰 사용자가 증가하고 건강한 삶에 대한 욕구가 강해짐에 따라 모바일 건강 관리 어플리케이션이 점점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건강 관리관련 어플리케이션들은 사용성을 충분히 고려하지 못한 UX 디자인으로 인해 어플리케이션 사용의 중단을 야기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건강 관리어플리케이션의 특성을 반영해 사용성을 높일 수 있는 UX 디자인 요소를 제안하고, 이를 실제 환경에서 효과적인지 연구하였다. 8 가지 UX 디자인 요소를 적용한 BEING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 베타테스트에 참여한 참가자들의 모바일 및 심층 인터뷰를 탐험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성에 큰 영향을 미친 5 가지 UX 디자인 요소를 HCI3 요소 측면에서 분류하고 함의점을 도출하였다.

      • 사용자 리뷰 텍스트 마이닝을 이용한 모바일 헬스 애플리케이션 사용자 니즈 도출

        박경빈(Gyeongbin Park),이상원(Sangwon Lee) 대한인간공학회 2020 대한인간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0 No.6

        Objective: This study examines user needs for mobile health (mHealth) applications based on text-mining of user reviews. Background: With the interest in well-being and the spread of smart devices such as smartphones and wearable devices, the number of users who want to manage and promote their health on mHealth apps is steadily increasing.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user needs for inducing users to long-term use and healthy behavior changes as the primary success goal of the mHealth apps. Method: This study collects user reviews of the mHealth apps, especially fitness and weight-loss apps, from Google Play Store in South Korea and classifies the reviews into positive and negative reviews according to its rating. Then, we conduct the LDA topic modeling and the word co-occurrence network analysis to explore user needs. Results: Users tend to positively evaluate informative contents related to the exercise and diet, convenient recording, intuitive self-monitoring, and accuracy of automatic activity tracking such as the amounts of caloric intake and steps. However, they tend to negatively evaluate errors about connectivity with wearable devices, inaccuracy of activity tracking, and automatic subscription payments. Conclusion: mHealth app developer and designer should consider user-centric UXs and resolve technical issues to help users achieve their goals and induce long-term use of the apps. Application: This study has several implications to suggest practical design guidelines for the success of mHealth apps.

      • KCI등재

        시각장애인의 미술 작품 감상 시 정보 획득 요구 분석

        박경빈(Gyeongbin Park),조준동(Jundong Cho),이상원(Sangwon Lee)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020 시각장애연구 Vol.36 No.4

        연구목적: 본 연구는 시각장애인과 비시각장애인이 미술 작품 감상 시 작품과 관련하여 추가로 알고 싶은 정보 유형은 무엇인지 요구를 분석한다. 특히, 시각장애인은 선천적 전맹인, 후천적 전맹인, 저시력인 그룹으로 분류하고 그룹별 그 요구를 분석한다. 연구방법: 온라인 환경에서 오디오 해설 또는 시각적 자료를 통해 미술 작품을 감상한 시각장애인, 비시각장애인 연구참여자를 대상으로 반구조화 면접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시각장애인은 작품 내 소재들의 구체적인 배치정보, 형태 및 색감의 묘사에 대한 요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비시각장애인은 해당 정보들에 대한 요구가 거의 없거나 전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다른 정보 유형에 비해 작가의 의도와 관련한 정보에 대한 요구가 높게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인공지능 도슨트 개발 시 음성 답변을 디자인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Purpose: In this study, what type of information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s and sight wanted to know was investigated when they appreciated an artwork. In particular,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s were classified into people with congenital, acquired visual impairments, and partial vision, the needs of each group was examined. Method: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the participants with visual impairments and sight who enjoyed artwork through audio explanations and visual materials, respectively, in an online environment. Results: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s had high demands for detailed arrangement, shape, and color description of elements of the artwork. However, people with good eyesight have little or no need for them, but they have high demands, especially for an artist s purposes to produce the artwork. Conclusion: This study can be used to guide the design of voice responses when developing AI docents.

      • KCI등재

        사용 컨텍스트별 리뷰 분석 기반의 모바일 헬스 앱 디자인 전략 연구

        박경빈(Gyeongbin Park),이승섭(Seungseb Lee),이상원(Sangwon Lee) 한국HCI학회 2021 한국HCI학회 논문지 Vol.16 No.1

        건강한 삶에 대한 욕구와 스마트 기기의 보급이 대중화됨에 따라 모바일 헬스 앱을 통해 자신의 건강을 관리하려는 사용자들이 꾸준히 늘고 있다. 하지만, 사용자 요구사항을 고려하지 않은 대부분의 모바일 헬스 앱은 사용자들의 목표 달성을 돕지 못할 뿐만 아니라 쉽게 앱 사용 중단을 야기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심층적으로 모바일 헬스 앱의 사용자 요구사항를 알아보기 위해 주된 사용 컨텍스트를 운동, 식사, 건강, 수면습관 관리로 정의하였으며, 구글 플레이 스토어에서 사용자 리뷰를 수집하고 해당 컨텍스트별로 리뷰를 분류하는 다중 레이블 분류기를 구축하였다. 더불어, 서비스 이용에 있어서 만족과 불만족을 야기하는 사용자 경험 요소를 분석하고자 리뷰 평점에 따라 긍정적 리뷰와 부정적 리뷰로 분류하였다. 분류된 리뷰에 대해 동시출현 단어 네트워크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심층적인 사용자 요구사항을 도출하고, 나아가 사용 컨텍스트별 모바일 헬스 앱의 디자인 전략을 제안한다. With a desire for a healthy life and the popularity of smart devices, the number of users who want to manage their health is steadily increasing. However, most mobile Health(i.e., mHealth) apps without consideration of the user needs not only cannot help users achieve their goals also lead them to easily discontinue to use them. Therefore, this study defines key use contexts of the mHealth apps as exercise, eating, health, sleep habit managements to understand user needs in-depth, collects user reviews from Google Play Store, develops a multi-label classifier to classify them by the use contexts. Moreover, this paper classifies the user reviews into positive or negative reviews based on review ratings to explore what user experience factors cause satisfaction or dissatisfaction for the service use. This paper draws deeply user needs by conducting word co-occurrence network analysis into the classified reviews, suggests design strategies of mHealth apps depending on the use contexts.

      • BOKO: 맞벌이 가구의 부모 자녀 간 정서적 교감 증진을 위한 인공지능 기반 "책 읽기" 에이전트

        신재은(Jaeeun Shin),이지언(Jieon Lee),박경빈(Gyeongbin Park),김우찬(Woochan Kim),이상원(Sangwon Lee) 한국HCI학회 2020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20 No.2

        본 연구는 유·아동기 자녀를 둔 맞벌이 가구를 대상으로 부모와 자녀 간의 독서 상호작용을 통해 정서적 교감 활동을 증진할 수 있는 인공지능 기반 ‘책 읽기’에이전트 BOKO 서비스를 제안한다. BOKO 서비스는 인공지능 스피커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와 상호작용하며, 핵심 기능으로서 목소리 선별 녹음 및 청취 기능, 독서 활동 데이터 분석, 독서 연계 놀이 콘텐츠 제공 및 여가 활동 장소 추천 기능이 있다. 특히, BOKO 서비스는 인공지능 에이전트를 매개로 부모와 자녀 간의 정서적 교감을 증진할 수 있는 활동들을 제공함으로써 에이전트가 유·아동의 독서 활동을 교육적인 측면에서 지원하는 기존 서비스들과는 차별화하였다. BOKO ‘책 읽기’ 서비스는 활동 참여형 서비스로서 사용자에게 몰입감을 주고 인공지능을 활용하여 사용편의성 및 정보접근성을 높여주며, 부모와 자녀 간의 친밀감과 유대감 형성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