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교과별 인성교육 내용 분석을 통한 인성 함양 교육과정 총론 개발 방향 탐색

        민용성(Min Yong-seong),최화숙(Choi Hwa-soo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6

        본 연구의 목적은 교과별 인성교육 내용 분석을 통해 인성 함양 교육과정 총론 개발 방향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인성교육 내용 분석틀을 설정하였고, 이를 활용하여 교과별 인성교육 내용 요소와 교육과정 변천에 따른 인 성교육 내용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얻은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성 함양 교육과정 총론 개발 방향의 목표는 인성 역량 함양에 두었으며, 내용구성의 인성 역량 요소로 지성, 도덕성, 시민성을 추출하였다. 이러한 세 가지의 인 성 역량은 분리된 것이 아니라 교과안에서 융합되어 실행되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둘째, 교육과정 문서 자체의 큰 변화를 두기 보다는 기존의 틀을 유지하면서 학교와 교사의 자율성을 크게 확대하는 운영상의 구체성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개인, 사회, 국가적 차원의 지원 체계를 기반으로 지원 체계가 구축되어야 한다. 이 러한 연구 결과는 인성교육을 구성하는 내용 구인을 탐색하는 데 이론적 근거를 마련해 주었고, 향후 국가 교육과정 개발 방향에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by analyzing the contents of character education by each subject. In order to accomplish this purpose, we have set up an analysis framework for character education contents, and analyzed the content factors of character education by each subject and the contents of character education according to the course chang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goal of development of the national curriculum of character education is based on cultivating humanity capacity and extracted intelligence, morality, and citizenship as humanity competence elements of content composition. These proposed three personality competencies should not be separated but be fused within the curriculum. Second, rather than making a big change in the curriculum document itself,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specificity of the operation is needed to expand the autonomy of the school and the teacher with maintaining the existing framework. To this end, a support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based on individual, social, and national support systems. The results of the study provide the theoretical basis for exploring components of contents composing character education and it is meaningful in view of providing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national curriculum in the future.

      • KCI등재

        초등학교 교육과정 개정의 쟁점과 방향 탐색

        민용성(Min Yong Se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9

        본 연구에서는 2009 개정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현장 적용상의 문제를 기반으로 향 후 국가 교육과정의 개선 방향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2009 개정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쟁점과 요구 분석을 위해 현장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이를 바탕으 로 각 쟁점별 개선 방향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의 교육과정을 현행 학년군에서 학년제로 전환될 필요가 있으며, 학년군이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담임연임제 및 학년군 교사제 등의 제도적 지원이 요청된다. 둘째, 현행 교과군을 교과별 편제 방식으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 셋째, 현행 3개의 통합교과를 1개로 재편하거나 3개의 독립된 교과서를 제공할 필요가 있으며, 입학 초기 적응활동과 통합교과의 중복 방지를 위해 양자 간의 역할 또는 편제 조정 이 필요하다. 넷째, 창의적 체험활동 편성 운영과 관련한 상위 기관의 교육적 요구를 최소화하고, 현행 39개의 범교과 학습 주제를 대폭 축소 조정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improvement of the national curriculum based on the actual application problems of the 2009 revised elementary curriculum. Teachers were surveyed to analyze the needs and issues on the 2009 revised elementary curriculum, based on this, researcher suggested the directions to improve each issu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lementary curriculum needs to be converted graded-cluster into grade school system. In order to achieve the desired purpose, systematic support is requested such as two-years-appointment of homeroom teachers and graded-cluster teachers system. Second, it is necessary to convert subject-cluster into each subject organization. Third, it is needed to reorganize current three integrated subjects into one or to provide three individual textbooks, and to adjust organization to prevent duplication of the entrance early adaptation activities and integrated subjects. Fourth, there is needed to significantly adjust current 39 cross-curricular subjects and to minimize educational needs of the umbrella organization related to organization and management on the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 KCI등재

        통합 교육과정의 구성 방식에 관한 일고(一考)

        민용성(Yong-Seong M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0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현행 통합 교육과정의 구성 방식에 대한 고찰을 토대로, 비교적 실제적인 통합 방식을 제안한 Fogarty의 통합 방식 모형 중에서 어떠한 모형이 현행 통합 교육과정에 적합한 것인지, 그리고 실제로 어떻게 구성될 수 있는지에 대해 논의하는 것이다. Fogarty의 모형 중에서 “여러 교과 간의 연계를 통한 통합 모형”은 분과 교과를 다양한 방식으로 통합하는 데 실제적인 도움이 된다. 특히 계열형과 거미줄형은 주제 중심의 접근 방식이며, 공유형과 통합형은 개념 중심의 접근 방식이다. 또한 실로 꿴 형은 문제 중심의 접근 방식에 가까운 통합 방식이 된다. 본 연구의 결과, 현행 통합 교육과정에서 즐거운 생활은 ‘거미줄형’ 통합 방식으로, 슬기로운 생활은 ‘공유형’ 통합 방식으로, 바른 생활은 ‘실로 꿴 형’ 통합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음을 예시적으로 제시하였다. 향후 교육과정 통합 노력은 저학년에만 국한될 것이 아니며, 담임교사 중심의 초등학교 교과 운영 현실에서 고학년 교육과정에서의 통합 노력이 필요하며, 각 교과의 위계와 구분이 분명한 중등학교의 경우에도 종적 통합 방식에 의한 각 교과간 통합 노력이 요구된다고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eview a number of integrated curriculum models developed and investigate on the ways for integrating and designing the curriculum contents in elementary school. The primary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ways to integrate and design the curriculum contents for grades 1 and 2. Fogarty s curricular connections model was found to be the most promising for constructing the integrated curriculum. In specially, the sequenced and webbed model are related to theme-based integration , the shared and integrated model are to concept-based integration , and the threaded model is focused on the meta-skill that intersects the very heart of any and all subject matter contents. As a result, three approaches to curriculum integration include webbed model(Pleasant Life), shared model(Intelligent Life), and threaded model(Disciplined Life) in this study. This study concludes with the implications that teachers can use these models and design for integrating the curricular in primary school level, and it is necessary for teachers to integrate among the subject matters in the middle school.

      • KCI등재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 질 관리를 위한 평가 현황 및 개선 방안

        민용성(Min, Yong Se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3 No.5

        본 연구는 교육과정 문서와 교육 현장의 교육과정 질 관리 현황 및 실태 분석을 통해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 질 관리 방안을 제안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09 개정 교육과정 총론과 교과 교육과정 문서, 현장의 교육과정 질 관리 현황과 실태를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국가 교육과정 질 관리를 위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교육과정 총론 문서에서는 국가수준의 학업성취도 평가, 학교 및 시․도교육청 평가, 교육과정 편성․운영에 관한 평가를 중심으로 제시되고, 교과 교육과정 문서에서는 주로 학생에 대한 평가를 중심으로 제시되고 있었다. 특히 대부분의 교과에서 관련 지침이 매우 개괄적이고 선언적 수준이어서 교육과정 질 관리의 실제적 기제로 작용하기는 어렵다고 판단되었다. 교육과정 주체별 교육과정 질 관리 현황 및 실태 분석에서도 실질적인 교육과정 개선에는 미흡하였고 평가를 통한 교육과정 질 관리 도 대체로 형식적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국가 교육과정의 질 관리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교육과정 구성 요소, 주체(수준), 개발 및 적용 단계(절차) 3가지 차원에서 교육과정 질 관리를 개념화하고, 이에 따른 교육과정 질 관리 체제(안)으로 교육과정 주체별(국가, 지역, 학교 수준) 역할을 중심으로 제안하였으며, 이에 대한 실천 전략을 구체화하는 작업 이 요청된다는 점을 명시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make some meaningful suggestions for the improvement plan of curriculum quality-management in the 2009 Revised Curriculum through analyzing curriculum document and its present practice, and actual condition. The curriculum pantography and the subject curriculum were subjected to scrutiny by the management guidelines of the national curriculum. The curriculum pantography included various evaluations of academic achievement testing, school and local and provincial education offices evaluation and curriculum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And the subject curriculum included evaluation that focuses on students. The practical condition of curriculum quality-management focused upon the role of curriculum quality-management and actual condition analyses of national, local and provincial education offices and school levels. Based on the result yielded by analysis of the curriculum document and actual condition of curriculum quality-management, there are needs to revitalize positive functions of existing methods and systematize the quality-management plan and clarify the role of curriculum subjects. There is a need to research on the curriculum quality-management system and devise a specific plan focusing on the curriculum development and application phase, and the role of curriculum subjects through this systematic approach.

      • KCI등재

        농어촌 소규모 통합운영학교의 교육과정 편성·운영 사례 분석 및 개선 방안

        민용성(Yong-seong M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20

        목적 본 연구는 통합운영학교로 운영되는 농어촌 소규모 중학교 3개 사례 분석을 통해 이들 학교에서 교육과정이 어떻게 편성·운영되고 있고, 교육과정 편성·운영상의 쟁점이나 어려운 점은 무엇인지를 탐색하고, 이에 따른 개선 방안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본 연구에서는 통합운영학교를 운영하는 3개의 중학교 교원(총 13명)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질문지를 통해 교육과정 편성·운영 실태에 초점화하여 통합운영학교를 운영하는 데 어려운 점과 개선 방안을 중심으로 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실시한 면담 결과를 토대로 교육과정 편성·운영상의 쟁점 및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 교육과정 편성·운영상의 쟁점 또는 문제점으로 ‘일부 방과후 활동에 제한된 학교급 간 연계 운영의 한계’, ‘학교급 간 인적·물적 자원의 차이 극복의 어려움’ 등으로 통합운영학교가 매우 형식적으로 운영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대한 개선 방안으로 ‘학교급 간 연계를 위한 학교교육과정연계협의회 구성 및 운영’, ‘겸임교원 운영의 내실화’, ‘통합운영학교 경영 매뉴얼 개발 및 보급’, ‘예산 편성 및 집행의 유연화’ 등을 제시하였다. 결론 이러한 개선 방안이 보다 효율적으로 작동될 수 있도록 국가 차원에서 시행해야 할 정책으로 ‘교원의 겸임 및 교류 활성화를 위한 통합운영학교 관련 규정 개선’, ‘통합운영학교의 학교회계 단일화 설치 및 운영’ 등을 제안하였다. Objectives This study analyzes three cases of small middle schools located in rural areas operated as integrated schools and examines how the curriculum of these schools are organized and implemen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hat issues or difficulties exist in organizing and implementing the curriculum of these schools, and to find ways to improve them. Methods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3 teachers working at integrated middle schools, and based on the interview results, difficulties in organizing and implementing the school curriculum were presented, and ways to improve them were suggested. Results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issues or problems in organizing and implementing the curriculum were there is a limit to linking and implementing between school levels when conducting after-school activities. And there are difficulties in overcoming the difference in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between school levels. In other words, it was confirmed that integrated schools were operated in a very formal way. In an effort to improve this problem, four things were suggested. That is, ‘formation and implementation of a school curriculum linkage coun-cil for linkage between school levels’, ‘enhancing the operation of adjunct teachers’, ‘developing and distributing management manuals for integrated schools’, and ‘flexibility of budgeting and execution’. Conclusion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policies to be implemented at the national level are as follows. First, the regulations related to integrated schools need to be improved so that teachers can hold con-current positions. Second, the accounting of integrated schools has to be unified and operated.

      • KCI등재

        교과 교육내용의 적합성 준거 개발

        민용성(Min Yong Se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1 No.3

        이 연구는 초․중등학교 교과 교육내용이 적합한지 그 여부를 판단하는 실제적 기준으로서 교과 교육내용의 적합성 준거를 개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교육내용 관련 선행 연구 분석 및 전문가 집중 협의를 통해 교과 교육내용의 적합성 준거(안)를 개발하였다. 그리고 적합성 준거(안)의 타당성 검토를 위해 교육과정 전 문가와 교과 교육 전문가를 대상으로 3차례에 걸쳐 전문가 의견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토대로 ‘교과 교육내용의 적합성 준거’를 개발하였으며, 최종 확정된 적합성 준 거는 3개 영역, 9개 요소, 21개 항목으로 구성되었다. 교과 교육내용의 적합성 준거의 활용도를 높이고 교과 교육내용 적합성 제고를 위해 첫째, 총론 수준의 ‘교과 교육내용의 적합성 준거’를 토대로 각 교과의 특성을 반영한 ‘교과별 교육내용의 적합성 준거’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둘째, ‘교과 교육내 용의 적합성 준거’의 법적 위상 마련을 위해 ‘적합성 준거’를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지침) 또는 공고 문서로 제시할 필요가 있으며, ‘적합성 준거’는 교과 교육과정 개정 전, 중, 후 단계에서 적합성 수준을 높이기 위한 지침으로 활용될 수 있다. 셋째, 교 과 교육내용의 적합성을 제고하기 위해 교육과정 수시 개정 체제에 따른 교육내용의 상시적, 지속적 점검과 수정 보완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evaluation standards of appropriateness of subject contents in primary and secondary education. This study developed the general evaluation standards of appropriateness of subject contents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delphi-research for deriving evaluation standards and examining its validity. The general evaluation standards proposed in this study is composed of 3 realms, 9 elements, and 21 items of appropriateness. This study provides some policy recommendations so as to enhance the validity and practicability of the suggestions this study made. First, based on the general evaluation standards of appropriateness of subject contents suggested in this study, it is needed to elaborate to develop more detailed or more sophisticated subject-specific evaluation standards. Second, it is recommended for MEST(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to do an official notification(announcement) of the evaluation standards in order to augment its legal status. The notified(announced) evaluation standards is supposed to be the persistent guide at every stage of(that is, before, in the middle of, and after) the curriculum revision, helping to develop subject contents to be more appropriate. Third, it is crucial to meet the needs of modifying subject contents in persistent and constant way due to the current curriculum revision system.

      • KCI등재

        초등교원 양성대학의 교양 교육과정 분석

        민용성(Min Yong Seong),최화숙(Choi Hwa Soo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9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초등교원 양성대학의 교양 교육과정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초등교원 양성대학의 교양교육 질 개선에 대한 방안을 마련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국의 교육대학과 초등교원을 양성 하고 있는 종합대학교 3개교를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의 틀은 교양 교육과정의 성격 및 목표, 영역, 편성 및 운영 측면으로 구성하였다. 분석 결과, 교양 교육과정의 성격 및 목표, 편성 및 운영 측면에서는 초등교원 양 성대학별 큰 차이점이 없었으나, 교양 교육과정의 영역 부분에서는 개별 대학의 특 수성을 반영한 영역 구분이 특성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초등교원을 양성하는 특 수목적 대학에서 교양교육이 갖는 위상을 제고하고, 교양교육 질 개선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또한, 이러한 연구 결과는 향후 초등교원 양성기관의 교양 교육과정이 추구하는 목표에 따른 교양 교육과정 개발에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It became the starting point for research, based on claims that liberal education should be aimed at raising of the general liberal arts, emerging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the liberal education in the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liberal curriculum of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to provide basic data to establish a plan for improving of the liberal education quality. In order to attain this purpose, researchers analyzed the liberal curriculum for the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teachers’ college. The framework of the analysis consisted of characters and goals, domain, organization and management of the liberal curriculum in teachers’ college.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characters and goals, organization and management of the liberal curriculum are not different from each teachers’ college. Domain of the liberal curriculum is characterized by specialization of the each teachers’ college. The results for this study were to be significant in terms of enhancing the status in the liberal education of the teachers’ college and providing basic data in the courses design based on the liberal curriculum.

      • KCI등재후보
      • KCI등재

        학교 교육과정 평가의 실행 방안 탐색

        민용성 ( Yong Seong Min ),이태상 ( Tae Sang Lee ) 한국초등교육학회 2010 초등교육연구 Vol.23 No.4

        본 연구는 학교 교육과정 평가의 기본 목적이 단위학교의 자율적 평가에 따른 점검과 개선 방안 도출이라는 점을 전제로 국가, 교육청, 단위학교 차원에서의 그 실제적 실행 방안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현장 교사들과 교육과정 전문가들의 인식도를 조사하였고, 학교 교육과정 평가를 실행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들을 고찰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교육력 제고를 위해서는 학교 자체적으로 교육과정 편성·운영에 대한 평가를 실시함으로써, 학교 자체 평가 결과 개선이 요구되는 분야 및 영역을 추출하고, 이에 대한 자체 개선 방안 도출과 외부 기관(교육청)의 지원을 요청하는 데에 역점을 둘 필요가 있다. 둘째, 학교 교육과정 평가는 평가 도구를 활용한 상시적, 지속적 평가를 통해 평가 결과를 축적하고 학교 내부적으로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셋째, 학교 교육과정 평가를 실행하기 위한 선행 조건으로 학교 자체 평가와 외부 기관 평가의 긴밀한 연계 체제 구축이 요구되며, 이에 따른 평가 주체별 역할과 책무에 대한 보다 명료한 틀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ractical application ways for government level, school district level, and school level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purpose of school curriculum evaluation is to find the ways for school improvement and the review by school self-evaluation.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reviews the practical ways to apply school curriculum evaluation and investigates the cognitive degree among curriculum experts and school teac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o improve the school quality requires the support of educational offices and the practical ways of school self-improvement and to find the parts and areas to improve according to the request of school self-evaluation after applying school curriculum at school level. Second, school curriculum evaluation requires to accumulate continuously the results of self-evaluation with evaluation tools and to apply the data for school curriculum improvement at the school level. Third, to operate the school curriculum evaluation requires the practical system to link school self-evaluation and school district evaluation and the clear frame to reserve the role and accountability of the evaluation institut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