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산업계 인사담당자의 인식을 통해 본 고학력 외국인 유학생의 국내 노동시장 고용가능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민숙원 ( Min¸ Sookweon ),심은비 ( Sim¸ Eunbi )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21 교육연구논총 Vol.42 No.4

        본 연구는 고학력 외국인 유학생의 국내 노동시장 고용가능성(employability)에 대해 탐색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석사 이상의 학위를 취득한 고학력 외국인 유학생을 고용한 경험이 있는 산업계 인사담당자 15인을 대상으로 초점집단면담(FGI)을 실시하였고, 이를 통해 고학력 외국인 유학생들의 고용가능성을 알아보고, 이들의 국내 노동시장 고용가능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고학력 외국인 유학생의 개인 차원의 고용가능성 수준은 조직적, 사회적 차원에서의 고용가능성 수준과 밀접하게 연관된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적 차원에서 산업체의 고용가능성은 대체로 낮은 편으로, 인력난과 채용 루트부족으로 인한 인재유치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외국인 고용을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 차원에서는 정책적 규제와 비자 제도의 행정적 비용이 고학력 외국인 유학생의 고용에 장애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학력 외국인 유학생의 국내 노동시장 고용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요인으로는 직무역량과 한국어 능력, 문화 적응력과 같은 고용가능성 스킬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외부적 요인에는 고학력 외국인 유학생에 대한 산업체의 인식, 기업의 외국인 인력관리 및 개발 시스템 부재와 동화주의 조직문화가 도출되었다. 이들은 외국인 유학생의 고용가능성을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타 상황적 요인으로는 가족 거취와 코로나 문제가 있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고학력 외국인 유학생의 국내 노동시장 고용가능성 증진을 위한 실천적 시사점을 제안하고 고용가능성 이론에 대한 이해를 확장할 수 있는 이론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mployability of international graduate students in the Korean labor market through the perceptions of personnel managers. For this study, we conducted focus group interviews(FGIs) with 15 personnel managers who had experienced in hiring international graduate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individual levels of the employability of international graduate students are associated with the employability at the organizational and social levels. The levels of the employability of the Korean companies that we interviewed were generally low at the organizational level, and those companies tended to hire international graduate students instead of Korean students due to the shortage of manpower and the lack of recruitment routes. In addition, at the social level, we found that policy regulations and the administrative cost of processing a visa were considered as obstacles for Korean companies. In addition, employability skills, such as job-related skills, Korean language skills, and culturally adaptive skills, are important factors affecting the employability of international graduate students in the Korean labor market. Also, we found that the absence of the human resource management system for foreigners in Korean companies and assimilation are important external factors that low the levels of the employability of international graduate students. Finally, our results also show that family-related factors and COVID-19 worked as the situational factors for international graduate students’ emploability.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e practical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employability levels of international graduate students and also provide the theoretical implications of the employability for international graduate students.

      • KCI등재

        전문대 입학생의 일반대학 진학 여부에 따른 장기적 노동시장 성과 차이에 대한 연구

        민숙원(Sookweon Min),이세웅(Se Woong Lee)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20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8 No.1

        본 연구는 한국교육고용패널조사(KEEP) 데이터를 활용하여 전문대학 진학 경험이 있는 학생 중 전문대학 최종 졸업생과 편입 또는 신입학을 통해 일반대학을 최종적으로 졸업한 학생들의 장기적 노동시장 성과를 비교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본 연구는 전문대학에 입학한 적이 있는 KEEP의 고등학교 3학년 코호트 805명, 중학교 3학년 코호트 669명을 합친 1,474명을 분석에 포함하였으며, 일반최소자승모형(Ordinary Least Square)과 로지스틱 회귀분석방법, 경향점수매칭법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12차년도 시점에서의 전문대학 진학 후 일반대학 최종 졸업자 집단과 전문대학 졸업자 집단의 취업여부에는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으나, 월평균 임금에 있어서는 일반대학을 최종 졸업을 한 사람일수록 전문대학만을 졸업한 사람보다 높게 나타났다. 일-전공 일치도에 있어서도 일반대학 최종 졸업자가 전문대학 졸업자보다 더 높은 수준을 보였다. 하지만 직업 만족도로 살펴본 일자리의 질은 집단 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계열별 차이 분석에서는 일반대학 진학자들의 계열 간 월평균 임금 차이가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s how the long-term labor market performance of 2-year college graduates differ from students who had entered a 2-year college, eventually graduating from a 4-year college. For this study, the KEEP(Korean Education & Employment Panel) data, collected by KRIVET(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was utilized. This study includes the 9th grade cohort and the 12th grade cohort in the KEEP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as follows: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mployment status between 2-year college graduates and their counterparts, but 4-year college graduates are shown to earn more than 2-year college graduates in the labor market. In terms of the quality of employment, measured by job & major alignment and job satisfaction, 4-year college graduates tend to show a higher level of job & major alignment compared to their counterpart.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job satisfaction between the two groups.

      • KCI등재

        청소년기 대인관계와 성인기의 사회적 신뢰 간 관계 연구

        민숙원 ( Sookweon Min ),이세웅 ( Se Woong Lee ),윤혜준 ( Hea Jun Yoon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21 중등교육연구 Vol.69 No.4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기 대인관계(또래 관계, 교사와의 관계, 부모와의 관계)가 대학 시절의 대인관계로 연결되는지 실증적으로 알아보았으며, 청소년기 대인관계가 성인기의 사회 적응에 기반이 되는 사회적 신뢰 수준과 연결되는지 검증하였다. 연구 분석을 위해서는 한국교육고용패널Ⅰ(KEEP Ⅰ)의 1차년도부터 12차년도의 고등학교 3학년과 중학교 3학년 코호트 자료가 활용되었으며, 코호트 고정효과모형이 사용되었다. 연구 결과, 청소년기에 교사와의 관계가 좋은 학생들이 대학 시절의 대인관계도 좋은 경향을 보였다. 또한 청소년기에 또래와의 우호적인 관계를 형성한 학생일수록 대학 시절의 대인관계 역시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청소년기의 부모와의 관계도 대학 시절의 대인관계를 예측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청소년기 대인관계와 성인기 사회적 신뢰 수준 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대학 시절의 대인관계를 포함하여 개인의 특성, 가정 배경 및 교육적 배경 등 다양한 요인들을 통제했을 때 청소년기 시절의 교사와의 관계와 부모와의 관계가 성인기 사회적 신뢰 수준을 예측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interpersonal relationship (i.e., teacher-student relationship, friendship, and parent-child relationship) in adolescence, interpersonal relationship in college, and social trust in adulthood. We used the Korean Education and Employment Panel(KEEP) data, collected by the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KRIVET) that tracks two nationally representative cohorts of middle and high school seniors over a decade.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students with good relationships with teachers in adolescence show goo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 college. In addition, students who maintain positive relationships with their peers in adolescence also tend to show strong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 college. Moreover, relationships with parents in adolescence were shown to predict one’s interpersonal relationship in college. This study also found that when we control for one’s interpersonal relationship in college teacher-student relationship and parent-child relationship in adolescence a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social trust in adulthood.

      • KCI등재

        국내 취업 외국인 유학생의 소프트 스킬에 대한 산업계의 인식 탐색

        박형준(Hyoung Joon Park),민숙원(Sookweon Min) 한국핵심역량교육학회 2023 핵심역량교육연구 Vol.8 No.1

        본 연구는 우리나라 산업계가 요구하는 소프트 스킬과 외국인 유학생들의 역량 수준에 대해 알아보고자 국내 대학원 외국인 유학생들을 채용한 경험이 있는 산업계 인사담당자들을 대상으로 초점집단면담(FGI)을 수행하였다. 국내 산업계 인사담당자들로부터 수집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들이 국내에서 대학원 과정을 마친 외국인 유학생에게 요구하는 소프트 스킬과 관련하여 ‘의사를 정확히 이해하고 표현하기’, ‘지식과 정보를 공유하며 타인과 협력하기’, ‘문화적 차이에 유연하게 대응하기’, ‘직무 열의를 갖고 적극적으로 행동하기’ 등의 네 가지 핵심 주제를 도출할 수 있었다. 이들은 실제 직무 현장에서 상호 밀접하게 연계되어 하드 스킬을 지지하는 양상을 보이는데 이를 토대로 국내 취업 외국인 유학생의 소프트 스킬에 대한 산업계의 인식 모형을 제시하였다. 또한, 국내 산업계는 외국인 유학생들이 갖춘 소프트 스킬 수준에 대하여 개인차가 있음을 인정하지만, 내국인 또는 국내 대학원에서 유학하지 않고 외국에서 바로 국내 산업계에 취업한 외국인들의 역량과 비교하였을 때 외국인의 국내 대학원 과정에서의 학업이 이러한 역량 개발에 미치는 효과가 전반적으로 산업계가 기대하는 수준에 이르지는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soft skills Korean industries demand and to evaluate international students’ level of competence in such skills. We conducted focus group interviews (FGIs) with industry human resource managers who have experience in hiring international graduate students. After analyzing the data collected from the personnel managers, we identified four key themes regarding the soft skills they require from international students who have completed graduate programs in Korea: “Understanding and expressing intentions accurately,” “Collaborating with others by sharing knowledge and information,” “Responding flexibly to cultural differences,” and “Acting enthusiastically with job engagement.” These four themes are closely linked to each other in the real workplace, while solidly supporting hard skills employers require. Based on these findings, we derived a model of employers’ perceptions of international students’ soft skills while working in Korea: the 3Cs (Communication, Collaboration, and Cultural flexibility) Model. Findings also indicate that there exists a gap between the actual level of competence in soft skills of foreign workers who completed graduate studies in Korea and the average level of such skills expected by Korean industr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