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예비교사가 생각하는 좋은 체육수업의 교육적 의미 탐색

        김철민(Chul-Min Kim),문희수(Hee-Su M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4

        본 연구는 예비체육교사가 생각하는 좋은 체육수업의 교육적 의미를 분석하고 해석하여, 예비교사교육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실현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참여자는 00대학교에 재학 중인 예비교사 5명(남:3, 여:2)을 선정하였다. 좋은 체육수업에 관한 예비교사의 다양한 생각을 탐색하기 위해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면담 자료는 Spradley(1980)의 영역 분석과 분류 분석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예비교사들이 생각하는 좋은 체육수업은, 첫째, 학생들의 균형 잡힌 학습을 위한 교육과정과 연계성을 갖춘 수업, 둘째, 기본적인 운동기능을 학습할 수 있는 체계적인 지도가 이루어지는 수업, 셋째, 양적ㆍ질적 방법을 활용하여 신체활동의 가치를 평가할 수 있는 수업, 넷째, 교사와 학생 모두가 소통할 수 있는 수업, 다섯째, 학습내용을 일상생활에서 실천할 수 있도록 독려해주는 수업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연구결과와 기존의 좋은 체육수업 연구를 비교하여 공통점과 새로운 교육적 의미를 탐색하고 실천중심 예비교사교육 방안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educational meaning through the recognition of good physical education classes that pre-service teachers think, and to present a new direction for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5 pre-service teachers(male:3, female:2) receiving education at 00 University.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explore the various thoughts of pre-service teachers about physical education classes. The analysis of this study applied the domain analysis and taxonomic analysis of Spradley(1980). There are five directions for good physical education classes that pre-service teachers think. First, classes that are connected with the curriculum for balanced learning of students, second, classes that provide systematic teaching to learn basic motor skills, third, classes that can evaluate the value of physical activity using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thods, fourth, classes that both teachers and students can communicate, fifth, classes that encourages students to put their learning content into practice in everyday life. In the discussion and conclusion, the similarities and new educational implications were interpreted through the comparison between the results of this study and the existing studies. And it suggested the practice-oriented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 KCI등재

        고등학생들이 경험한 중·고등학교 체육수업 간의 차이와 흥미 분석

        배민우(Bae Min-Woo),곽은창(Kwak Eun-Chang),문희수(Mun Hee-Su)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7

        본 연구는 고등학생들이 경험한 중·고등학교 체육수업 간의 차이와 체육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흥미를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A시와 Y시에 소재하고 있는 4개 고등학교의 2학년 학생 1138명(남학생: n=579, 50.88%; 여학생: n=559, 49.12%)이 선정되었다. 연구도구는 중·고등학교 체육수업 간의 차이와 흥미에 대하여 개방형과 폐쇄형 질문이 복합적으로 구성된 7개 문항을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PASW Statistics 18.0을 사용하여 폐쇄형 문항에 대한 빈도분석과 x2검증을 실시하였으며, 개방형 문항은 각 질문과 성별로 구분하여 귀납적 범주화를 실시하였다. 자료분석 결과, 첫째, 32.4%(n=369)의 학생들은 중·고등학교 체육수업 간의 차이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습활동 및 내용’, ‘수업환경’, ‘교수방법’, ‘기타’ 순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67.6%(n=769)의 학생들은 중·고등학교 체육수업 간의 차이를 경험하지 못하였으며, ‘반복되는 학습활동 및 내용’, ‘차이 없는 교수방법 및 운영’, ‘비슷한 수업환경’, ‘기타’ 순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체육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흥미 여부를 파악한 결과, 66.1%(n=752)의 학생들이 흥미를 느낀 반면에 33.9%(n=386)의 학생들은 흥미를 느끼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체육수업에서 흥미를 느낀 이유는 ‘신체활동을 통한 흥미’, ‘배움과 성취를 통한 흥미’, ‘함께하는 활동을 통한 흥미’ 순으로 나타났으며, 흥미를 느끼지 않은 이유는 ‘반복된 학습내용과 수준’, ‘관심 없는 신체활동과 부족’, ‘하나되지 않는 수업’, ‘기타’ 순으로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중·고등학교에서 배우는 체육교과의 학습내용은 점진적이며, 체계적인 학습위계를 갖추어야 하며, 다양한 신체활동의 경험과 배움이 있는 체육수업을 통해 학생들이 흥미와 성취감을 가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differences and interests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betwee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experienc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138 second grade students(n=579, 50.88%; girls: n=559, 49.12%) of four high schools in A and Y cities in Gyeonggi province. The questionnaire were consisted of several open and closed questions regarding the differences and interests between middle and high school physical education classes. For data collection, frequency analysis and chi-squared test of closed questions were conducted using PASW Statistics 18.0, and open questions were categorized by each question and gender. The result of study shows that 32.4%(n=369) of students who have the different experience indicated the most significant difference was ‘learning activities and contents . ‘class environment , ‘teaching method , and ‘the others’ were the followings. 67.6%(n=769) of the students who did not have the different experience between middle and high school p. e. classes complained the most ‘repeated learning activities and contents’. And ‘teaching method and operation without difference , ‘similar class environment , and ‘the others were reported as the followings. An analysis of students’ interest in p. e. classes indicated that 66.1%(n=752) students were interested in p. e. classes, and 33.9%(n=386) students were not interested in p. e. classes. The most reason of interest in p. e. class was ‘interest through physical activity , ‘interest through learning and achievement , and ‘interest through activity together in order. The most reason of non interest in p. e. class was ‘repeated learning contents and level , ‘no interest in physical activity, lack of physical activity , ‘not unified class , and ‘the others in order. In conclusion, the content of p. e. classes in middle and high school should have systematic hierarchy of learning experiences, and students should have proper and successful learning leaning opportun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