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떡차의 성분학적 특성

        문제학,조정용,김선재,박근형 한국차학회 2015 한국차학회지 Vol.21 No.1

        This review provides details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in chemical constituents of ddeok-cha, which is one of Korean traditional teas, according to maker, storage period, manufacturing method, and manufacturing procedure as well as the problems on the orthodox manufacturing procedure and classification of ddeok-cha with the microbial diversity using DNA sequence analysis and history of ddeok-cha. Based on the results, ddeok-chas manufactured using current method is difficult to classify as a microbial fermented tea because it does not show the characteristics of a microbial fermented tea. In addition, the accumulation procedure with control of humidity in tea is necessary to manufacture ddeok-cha as a microbial fermented tea. Moreover, a general name was given to “ddeok-cha” for specially shaped Korean teas, such as a rice cake (ddeok) or coin, even though their manufacturing methods are somewhat different. 본 총설에서는 우리의 전통차 중의 하나인 떡차를 중심으로 행해진 과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내용들을 정리하였다. 먼저, 떡차의 역사를 살펴보고, 떡차에 관련되어 논란이 되고 있는 정통성있는 떡차 제조법과 떡차의 분류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였다. 그리고 떡차의 제조과정, 제조원, 저장기간 및 제조방법에 따른 성분학적 특성에 더하여DNA 염기서열 분석법을 이용한 떡차의 미생물 다양성에대한 연구 내용들을 소개하였다. 이러한 연구내용들을 기초로 현행의 제법에 의해 제조된 떡차들은 미생물발효차의 특성을 (거의) 지니고 있지 않아 미생물발효차로 분류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있음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떡차를미생물발효차화 하기 위해서는 살수 및 퇴적을 행한 후 성형하는 방법이 도입되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茶의 香氣發現機構

        문제학(Jae-Hak Moon),박근형(Keun-hyung Park),坂田完三(Kanzo Sakata) 한국차학회 1996 한국차학회지 Vol.2 No.2

        In the course of our study on aroma formation mechanism of oolong tea, we have isolated and identified geranyl, (S)-linalyl salicylate, benzyl, 2-phenylethyl, trans- and cis-linalool 3,6-oxide 6-O-β-D-xylopyranosyl-β-D-glucopyranosides (β-prim- everoside) from the leaves for oolong tea (Camellia sinensis war. sinensis cvs Shuixian and Maoxie) by means of a crude enzyme assay. Aroma precursors of trans- and cis-linalool 3,7-oxides, and (Z)-3-hexenol were exceptionally isolated as 6-O-β-apiofuranosyl-β-D-glucopyranosides and β-D-glucopy-ranoside, respectively. And, in order to know the molacular basis of tea aroma formation mechanism, we measured changes of alcoholic aroma precursor amounts and glycosidase activity in each part of tea shoot (cv Yabykita). Amounts of aroma precursors were abundant in young leaves and decreased as leaf aged. Glycosidase activity also decreased as leaf aged, but was high in stem. We also purified and characterized a new glycosidase (β-primeverosidase) from fresh leaves of cvs Yavukita and Shuixian for green tea and oolong tea, respectively. This enzyme was found to be one of the main glycosidase concerned with the alcoholic aroma formation in tea leaves.

      • KCI등재

        茶의 機能性 成分과 生理活性

        문제학(Jae-Hak Moon),박근형(Keun-Hyung Park) 한국차학회 1995 한국차학회지 Vol.1 No.1

        茶는 기호식품으로 세계 각국에서 널리 음용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新羅시대부터 茶를 즐겨왔을 뿐아니라 훌륭한 茶文化를 간직하여 왔다. 先人들과 現代人이 茶를 즐기는 이유는 茶는 단순히 기호음료만이 아니고 건강에 유이하기 때문이라 하겠다. 이와같이 茶는 예로부터 특유의 맛과 효능을 갖는 신비의 음료로 알려져왔으나 최근 茶의 성분과 기능성에 관한 많은 연구의 결과 차의 효능이 해명되고 있어 저자들은 이에 관한 최근의 연구들을 모아 인간의 건강과 관련된 “차의 기능성분과 생리활성”에 대해서, 차의 품질에 가장 큰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차의 향기”를, 그리고 차음료와 製茶 및 향료산업에 응용 가능성이 시사되고 있는 “차의 향기발현 기구”에 관한 내용의 순으로 나누어 소개하고자 한다.

      • KCI등재

        茶의 香氣

        문제학(Jae-Hak Moon),이재근(Jae-Keun Lee),송보현(Bo-Hyeon Song),박근형(Keun-Hyung Park) 한국차학회 1996 한국차학회지 Vol.2 No.1

        Tea is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its manufacturing process: nonfermented tea (green tea), semifermented tea (Oolong tea) and fermented tea (black tea). Tea aroma is formed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after plucking tea shoots and its characteristics are different among three groups of tea. Furthermore, tea aroma is largely influenced by the variety of tea plant and climate and geographical location where tea plants are cultivate, Aroma components in tea have been investigated by distillation, column chromatography and gas chromatography. This review made mention of aroma characterization in each tea.

      • KCI등재

        유기 및 관행재배 고추의 품질특성 비교

        이유석,문제학,오봉윤,남승희,이선경,이진우,정경주,강정화 한국유기농업학회 2014 韓國有機農業學會誌 Vol.22 No.4

        본 연구에서는 우리 식생활과 가장 밀접한 관계가 있는 고추(청고추, 홍고추)를 유기 및 관행으로 재배하여 품질특성과 기능성성분 함량을 비교 분석하였다. 유기 및 관행재배 고추의 품질특성은 pH, 가용성고형물 함량, 경도 및 색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유기 및 관행재배 고추의 가용성고형물이 유기재배에서 2.6~10%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경도는 관행재배에서 높게 나타났다. 기능성 성분은 클로로필 함량, ASTA 값, 총페놀성화합물 함량 및 SEM을 통한 세포조직을 검토하여 비교분석 하였다. 청고추의 경우 유기재배에서 관행재배에 비해 녹색도(-a value)값이 더 높게 나타났으며 chlorophyll 함량 또한 a, b, total 값이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홍고추의 경우 유기재배에서 붉은색의 정도를 나타내는 ASTA 값이 28%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항산화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총페놀성화합물 함량은 청고추와 홍고추에서 모두 유기재배가 관행재배 보다 더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고추 유기재배의 경우 고추 색깔에 관계없이 품질특성 측면에서 색택이 더 우수하고 기능성 측면에서 또한 더 우수한 것으로 사료된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product quality and function properties of hot pepper (green and red) fruits cultivated by organic and conventional agricultural practices. Organic and conventional hot peppers were analyzed their product quality with respect to pH, soluble solid, hardness, and color values. The soluble solid contents of organic hot peppers were 2.6~10% higher but their hardness was slightly lower than those of conventional hot peppers. Hot peppers were further analyzed their functional properties on chlorophyll contents, ASTA (American Spice Trade Association) value, total phenolics, and SEM ultrastructure. In case of green pepper, organic hot pepper showed higher (-)a value and the significantly (p<0.001) higher amounts of chlorophyll a and b than conventional hot pepper. Interestingly, organic red hot pepper showed higher (+)a value than that of conventional one. The ASTA value of organic red hot pepper was 28% higher than that of conventional one. Regardless of the fruits color, total phenolics content of organic hot peppers was more enriched than those of conventional on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organic hot peppers exhibited more excellent color quality and functional properties than conventional hot peppers regardless of fruit col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