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pigenin과 대사물 isovitexin에 의한 인체 대장암세포의 세포활성 억제효과에 있어서의 EGR-1의 역할 연구

        문유석,최뢰광,양현,Moon, Yu-Seok,Cui, Lei-Guang,Yang, Hyun 한국생명과학회 2007 생명과학회지 Vol.17 No.1

        Tumor suppressor 유전자로알려진 early growth response gene 1 (EGR-1)에 있어 항산화 천연물인 apigenin과 그대사물인 isovitexin에 의한 장관 상피성 종양세포에 대하여 항종양 역할을 규명하였다. Apigenin 과 isovitexin은 대장암세포에서의 EGR-1 단백질의 발현을 9-12시간의 노출에 의해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신호전달측면에서 이런 apigenin에 의한 EGR-1 유전자의 유도가 U0126 화합물에 의해 완벽하게 저해 받는 것으로 보아 ERK1/2 MAP kinase pathway의 이 신호전달계에서의 관여를 보여주었다. 본 연구에서 apigenin에 의해 농도 의존적으로 대장암세포의 세포활성의 저해를 MTT assay를 통해 보였고, 또한 EGR-1 siRNA를 transfectien한 세포의 경우 이런 apigenin에 의한 세포활성의 저해효과를 완화하였다. 따라서 apigenin에 의한 항종암세포 세포활성 억제에 있어 EGR-1의 중요성을 보여 준다. 이런 EGR-1에 의해 유도되는 유전자중 대표적으로 NAG-1 유전자의 경우 apigenin과 isovitexin에 의해 24-48시간에 발현이 증가하였다. 결론적으로 암세포 증식억제활성이 있고 apoptosis 유도효과가 있는 NAG-1의 유도에 의해 대장암 세포의 세포활성이 억제된 것으로 의미되고 향후 apigenin 유도의 NAG-1유전자에 의한 암세포증식의 억제기전에 대한 명확한 연구가 요구된다. It has been previously described that transcription factor early growth response gene product 1 (EGR-1) functions as a tumor suppressor gen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monstrate that EGR-1 induction by phytochemical apigenin and its derivative isovitexin can mediate the growth suppression of the intestinal epithelial tumor cells. Apigenin and isovitexin induced EGR-1 gene expression both in the dose and time-dependent manners. Moreover the induction was relatively late around 9-12 hr after treatment of HCT-116 cells, while several anti-inflammatory agent such as NSAIDS and catechins elicit the ECR-1 gene expression at much earlier time about 1-3 hr after treatment. In terms of signal transduction, ERK1/2 was critical for apigenin-induced EGR-1 gene expression and its promoter activation. When EGR-1 gene expression was blocked with EGR-1 small interference RNA, the cytotoxicity of apigenin in the human epithelial cells was attenuated, suggesting the involvement of EGR-1 in the anti-tumoric activity of apigenin. To link the EGR-1 induction to EGR-1-regulated gene products in colon cancer, NSAID-Activated Gene 1 (NAG-1) was demonstrated to be elevated by apigenin and isovitexin at 24-48 hr after treatment. Taken together, apigenin-activated ERK1/2 mediated EGR-1 gene induction, which was associated with suppression of the cellular viability by apigenin compound.

      • KCI등재

        소방공무원의 스트레스 수준과 직무환경적 유발요인

        문유석(Moon, Yu-Seok)(文維錫) 한국지방정부학회 2011 지방정부연구 Vol.15 No.1

        과도하고 만성화된 스트레스는 조직구성원 개개인에게 각종 질환과 좋지 않은 행태를 유발하여 삶의 질에 심각한 손상을 줄뿐만 아니라 직무만족과 조직몰입 수준을 강하시킴으로써 조직의 목표달성을 어렵게 한다고 알려지고 있다. 소방공무원들은 수행하는 직무자체가 위험하고 고도의 긴장감이 요구될 뿐만 아니라 직무환경 또한 다양한 스트레스 유발요인들을 보유하고 있으므로 그들의 스트레스 수준은 일반인이나 다른 직렬의 공무원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그 수준이 실제 어느 정도인지를 실증적으로 규명한 국내 연구는 극히 미미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부산지역에 근무하는 392명의 소방공무원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소방공무원들의 스트레스 수준을 측정하고, 어떠한 직무환경적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를 조사하였다. 사회심리적 건강측정도구(PWI)를 사용하여 표본의 스트레스 수준을 측정한 결과 18.1%가 고위험스트레스 집단, 67.8%가 잠재적 스트레스 집단, 14.1%가 건강 집단으로 분류되었으며, 소방공무원들은 일반인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의 스트레스를 겪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다중회귀분석을 통해서는 소방공무원들의 스트레스에 업무부하도와 역할모호성이 정(+)의, 그리고 직무안전성, 대인관계, 보상적절성 등이 부(-)의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소방공무원의 스트레스 수준을 줄이기 위한 몇 가지 정책방안들을 제시하였다. Firefighters are known to suffer from high level of stress caused by their high-risk job itself and other job-related factors. This study aims to measure the level of firefighters’ stress and to find out factors influencing it by analyzing the data collected through conducting surveys on 392 firefighters serving Busan Metropolitan City areas. By using the Psychological Well-being Index (PWI), this study found that 18.1% of the sample was classified in the group of high-risk stress, 67% of the sample was classified into the group of potential stress, and 14.1% of the sample was classified in the group of healthy, which altogether shows that firefighters are experiencing a higher level of stress than average citizens do. The multiple regression results showed that job-overload and role ambiguity are positively related to the stress, while job safety, a healthy relationship with supervisors and colleagues, and proper reward are negatively related to it.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proposed a number of policy alternatives which may contribute to reducing firefighters’ stress level.

      • KCI등재

        조직의 의사소통과 직무만족이 혁신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분석 : 산림청 조직을 중심으로

        문유석(Moon, Yuseok),장임숙(Jang, ImSook),주효진(Ju, Hyojin) 한국지방정부학회 2020 지방정부연구 Vol.24 No.2

        본 연구는 산림청을 대상으로 조직의 의사소통, 직무만족과 혁신능력의 수준을 파악하고, 조직의 의사소통과 직무만족이 혁신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목적을 둔다. 특히 의사소통과 혁신능력의 관계에서 직무만족의 조절효과와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분석 결과에 의하면, 측정변수의 평균은 ‘직무만족’이 가장 높고, 그 다음으로 ‘소통만족도’, ‘조직혁신능력’, ‘개방적인 소통문화’, ‘협업 및 정보공유’의 순이었고, ‘소통만족도’를 제외한 변수들은 모두 조사대상자의 개인적 특성에 따라 집단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조직 혁신능력에 대한 의사소통과 직무만족의 영향은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고, 의사소통과 혁신능력의 관계에서 직무만족의 조절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지만 매개변수로서 부분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his study aims to measure the levels of communication, job satisfaction, and innovation capacity of Korea Forest Service and analyze the influence of communication and job satisfaction on innovation capacity. Through the analyses, this study also examines the mediating and intervening effects of job satisfaction in the relation between communication and innovation capacity. As a result, among the variables included, job satisfaction has the highest mean(3.567) followed by communication satisfaction(3.477), organizational innovation capacity(3.205), open communication culture(3.179), and collaboration and information sharing(3.162) and it is found that all the variables but communication satisfaction have significant group mean differences according to personal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dents. It is also found that both communication and job satisfaction have positive influence on innovation capacity and job satisfaction has a partial intervening effect in the relation between communication and organizational innovation capacity even though it has no significant mediating effects in the relation.

      • KCI등재

        문제지향적 경찰활동의 실제와 도입 방향

        문유석(Moon, Yuseok) 한국지방정부학회 2022 지방정부연구 Vol.25 No.4

        본 연구는 미국과 영국 등에서 대안적 경찰활동 방식으로 실시되고 있고 한국 경찰에서 도입에 관심을 기울이기시작한 문제지향적 경찰활동(Problem-Oriented Policing)에 대한 이론적 논의를 살펴보고 이에 대한 실증연구들을 바탕으로 한국 경찰에의 도입가능성을 타진하였다. 미국과 영국에서 이루어진 실증연구들의 연구결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해본 결과 문제지향적 경찰활동은 해당 지역의 강도, 폭력, 가정폭력, 빈집털이, 주거침입, 불법총기거래 등을 포함한 각종 범죄와 무질서를 줄이는 데 효과적이었으며, 이로 인해 경찰의 출동요청신고에 대응하고 사건을 해결하는 데 드는 비용을 줄이고, 인접 지역의 범죄가 줄어드는 확산효과를 창출함을 발견하였다. 문제지향적 경찰활동에 관한 장애 및 촉진요인들에 관한 연구들을 통해서는 문제지향적 경찰활동을 경찰관들에 대한 훈련, 문제해결을 위한 인력, 예산 등 자원의 지원, 양질의 지침, 지도자의 보증과 지지 등과 함께 문제지향적 경찰활동을 경찰의 핵심업무가 아니라 사치품으로 보는 경찰문화가 바뀌어야만 함을 밝혔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우리 경찰에 문제지향적 경찰활동을 도입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였으며, 문제지향적 경찰활동의 성공적인 시행을 위해서는 우선 경찰 내의 학습모임을 통한 문제지향적 경찰활동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의 제고와 도입에 대한합의수준을 높일 것과, 그 다음으로 정책실험(시범실시)을 통한 효과의 검증과 경험 및 자료의 축적의 필요성을 주장하고 이를 위한 방안들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plores possibility of institutionalization of Problem-Oriented Policing(POP) that has been widely implemented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nd United Kingdom so that the Korean police is recently considering its adoption by examining both theoretical background and empirical evidence of effectiveness of POP. Most of empirical research on POP done in the U.S,A. and U.K. provided considerable amount of quantitative or descriptive evidence that POP could successfully reduce crimes and disorder problems so that it contributed to substantial amount of savings of the police cost. Much research also revealed such factors as training for police officers, provision of resources including staffing and budget, quality guide, strong commitment of leader as facilitators leading to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POP. Based on these findings, for the successful institutionalization of POP, this study suggests efforts for profound understanding on POP and consensus building on its adoption through active learning among police officers as the first step. This study also stresses the need for accumulation of experiences and knowledge through carefully designed policy experiments on POP as the next step.

      • KCI등재

        기초자치단체 농정 거버넌스에 대한 진단과 처방

        문유석(Moon Yu seok),최상한(Choi Sang han) 한국지방정부학회 2016 지방정부연구 Vol.19 No.4

        본 연구는 농업과 농촌 문제 관련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조사를 통해 중앙·광역·기초 단위의 수직적 거버넌스와 기초자치단체 수준에서의 수평적 거버넌스 전반에 대한 진단을 실시하였다. 전문가들은 우리나라 농정 거버넌스의 각 정부단위 간의 관계를 중심으로 본 수직적 거버넌스나 기초자치단체 내의 각 이해당사자들 간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 수평적 거버넌스 모두 초보적인 단계에 그치고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 이러한 진단결과에 기초해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정책 방향을 제시하였다. 우선 수직적 거버넌스 체제 구축을 위해서는 전국적인 농정사무는 지방농업청이나 지방농정국을 신설하여 담당하도록 하고 자치단체 농정기관은 자체 농정업무에 전담토록 지역 실정에 맞는 농정을 구현하도록 하며, 자치단체가 중앙 농정에 참여할 수 있는 통로를 확대해야 한다. 다음으로 수평적 거버넌스 체제 구축을 위해서는 첫째, 지역의 농업 및 농촌 전문가의 적극적인 초빙을 통해 농정심의회의 전문성을 보강하는 한편 농민단체나 지방의회의 추천과 공개모집 등 위원 구성방안 개선을 통해 위원의 대표성과 책임감을 제고해야 한다. 둘째, 기초자치단체 수준에서 거버넌스의 환경적 성숙을 위해서는 자치단체장의 거버넌스에 대한 인식의 개선과 롤 모델의 개발 및 이의 전국적인 확산방안이 강구돼야 한다. 또한, 지역 농정에 대한 적극적인 정보공개를 통해 농민들의 농정에 대한 관심을 유도해야 한다. 동시에 참여 통로의 확대를 통해 농민 개개인의 참여의식을 고양시켜야 하며, 농민단체 활동의 활성화로 농민의 전반적인 역량배양과 참여의 조직화가 이루질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모색돼야 한다. 마지막으로 농업회의소의 정착을 위해서는 정착 시까지 중앙정부가 재정적 지원과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 제공하여 관련 실무자들의 역량을 제고해야 한다. Being the frontier of agricultural administration with the presence of strong sense of community, local governments are believed to be the right places where governance can be effectively operated among relevant stake-holders. When local agricultural governance is properly operated, both responsiveness and democracy in agricultural administration can be substantially improved. Local governance can also play a role of educational incubator for direct democracy, which will help farmers explore their own future for themselves through enlightenment and training. Under these recognitions, this study attempts to diagnose the current state of local agricultural governance through conducting surveys on 30 experts. The experts evaluated that the fundamentals of local governance in the field of agricultural administration. Based upon these evaluations, this study suggests policy alternatives for strengthening the governance system. Concerted efforts from governments and farmers are expected to construct sound fundamentals of local agricultural governance. Paradoxically, strong independence of local farmers, which is essential in local governance, can be stored when mayors and public officials recognize the necessity of local governance and support farmers. The whole processes of agricultural administration need to be open to farmers to secure their participation, which is the very first step to build up trust as a coner-stone for local governance.

      • KCI등재

        경찰관의 업무적 자아효능감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문유석(Moon, Yu-Seok) 한국지방정부학회 2010 지방정부연구 Vol.13 No.4

        자아효능감은 주어진 상황 속에서 자신이 얼마나 능력을 발휘활 것인가에 대한 스스로의 판단인 동시에 목적달성에 필요한 행동을 지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가에 대한 신념이라고 볼 수 있다. 자아효능감에 대한 연구는 교육심리학 분야를 필두로 인사관리나 조직관리 분야에서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나 경찰 행정분야에서는 본격적인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 않다. 본 연구는 복잡성, 난해성, 위험성, 돌발성이 두드러지고 있는 경찰 업무환경에서 경찰관이 성공적으로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갖추어야 할 자질 중의 하나라고 인식하고, 실증연구를 통해 경찰관의 업무와 관련한 자아효능감 수준을 측정해 보고 이 변수가 경찰관들의 직무 및 조직에 대한 태도라고 볼 수 있는 변수인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부산광역시에 근무하는 경찰관 314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자료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사실을 발견하였다. 첫째, 평균값 분석을 통해 경찰관들은 상당히 높은 수준의 자아효능감을 유지하고 있으나 수사·형사 부서 소속 경찰관들의 자아효능감이 타부서 소속 경찰관들의 자아효능감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으며, 상위직에 비해 하위직 경찰관들의 자아효능감이 낮음을 발견하였다. 둘째, 다중회귀분석을 통해서는 자아효능감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결과들을 바탕으로 경찰 조직관리에 있어서도 경찰관들의 자아효능감에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음을 강조하였고, 특히 수사·형사 부서 소속 경찰관들과 하위직 경찰관들의 자아효능ㅇ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이 강구되어야 함을 지적하였다. Self-efficacy is defined as self-confidence on how consistently an individual can continue his/her efforts necessary to achieve goals in a given situation. Starting from the field of educational psychology, studies on self-efficacy have been actively researched n the fields of personnel and organizational management. The study on self-erricacy in the field of police administration, however, this is stioll in the beginning stage. This study recognizes self-efficacy as one of essential qualifications that police officers are to be equipped with in order to conduct their duties successfully in their task environments of which characteristics of complexity, difficulty, riskiness, and abruptness become more and more evident. through empirical research, this study measures the level of police officers' self-efficacy and examines the influence of self-efficacy on job-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data for this study was collected through surveys conducted on 314 police officers serving in Busan Metropolitan City.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rough mean analyses, this study found that even though police officers maintain considerably high level of self-efficacy overall, police officers working for the detective departments have lower level of self-efficacy than those who are working for the other departments, and lower-level police officers have lower level of self-efficacy than their counterparts. Second,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es reveal that self-efficacy has a positive influence on job-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Based up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tresses the importance of self-efficacy in police management and proposes several policy means to increase the self-efficacy level of police officers.

      • KCI등재

        소방공무원의 조직신뢰가 자아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문유석(Moon, Yuseok),허철행(Heu, ChulHang)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1 社會科學硏究 Vol.27 No.4

        본 연구는 소방공무원의 조직신뢰와 자아효능감을 소방조직의 효과성을 결정하는 주요 변수로 보고 부산시 소방본부 산하에 소방서에 근무하는 소방공무원 392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소방공무원의 조직신뢰수준을 측정해 보고, 조직신뢰가 자아효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신뢰의 경우 동료신뢰의 평균값은 5점 만점에 3.70으로 상당한 수준에 이르고 있으나 조직 및 상사신뢰 3.36에 머무르고 있으며, 자신감 및 자아조절 효능감의 평균값은 3.81이고, 과제난이도 선호의 평균값은 이보다 낮은 3.59에 이르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둘째, 배경적 변수에 따른 조직 및 상사신뢰의 평균값 차이 분석에서는 미혼자보다는 기혼자, 계급으로는 소방교나 소방장 계급의 수준이 다른 계급에 비해 낮게 나타났으며, 배경적 변수에 따른 자신감 및 자아조절효능감의 평균값 차이분석에서는 연령과 계급이 높아질수록 평균값이 높아짐을 발견하였다. 셋째, 조직신뢰가 자아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실시한 다중회귀분석결과는 조직신뢰의 하위변수인 조직 및 상사신뢰와 동료신뢰 모두가 자아효능감의 하위변수인 자신감 및 자아조절효능감과 과제난이도 선호 모두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가 시사하는 이론적인 함의들을 논의함과 동시에 분석결과를 토대로 소방공무원의 조직신뢰와 자아효능감 수준을 제고할 수 있는 몇 가지 대안들을 제시하였다. Considering organizational trust and self-efficacy as key variables determining the effectiveness of fire organizations, this study measures the levels of firefighter’s organizational trust and self-efficacy, and examines the nature of their relationship by analyzing the data collected through conducting surveys on 392 fire-fighters serving in the Busan Metropolitan Area.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of vertical organizational trust (trust on organization and manager as a whole)was found to be 3.36, while lateral organizational trust (trust on colleagues) was 3.70 on a five-point scale. The average of self-confidence/self control efficacy was found to be 3.81, while the average of task-difficulty preference was 3.59. Second, through a serious of mean difference analysis (ANOVA), this study found that, compared with the classes of “Sobanggyo” and “Sobangjang”, the management class as a whole (“aboveSobangwi”) has a relatively higher level of vertical organizational trust. This study also found that the level of self-confidence/self control efficacy increase as firefighter’s age and class increase. Third,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is study found that the two self-confidence/self control efficacy (vertical trust, and lateral trust) are positively related to the self-confidence/self control efficacy (self-confidence/self control efficacy, ask-difficulty preference). This study discussed theoretical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and proposed a few ways to improve firefighters levels of organizational trust and self-efficacy based on them.

      • KCI등재

        공무원노조 조합원들의 노조몰입이 자아효능감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문유석(Moon, Yuseok) 한국지방정부학회 2018 지방정부연구 Vol.21 No.4

        본 연구는 노조몰입을 노조의 성공과 생존을 좌우하는 주요한 요인으로 보고 우리나라 공무원 노조원들의 노조 몰입 수준을 측정해 보고, 노조몰입이 조직의 중요 무형자산으로 간주되고 있는 직무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와 그 과정에서 자아효능감이 매개작용을 하는지를 경상남도 도청과 5개 기초자치단체 공무원노조원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자료를 토대로 분석하였다.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노조몰입은 Gordon et al.이 제시한 4가지 하위요인 중 노조충성심, 노조책임성, 노조 주의신념 등이 하나로 묶인 ‘노조충성헌신신념’과 ‘노조책임성’ 두 하위요인으로 나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조몰입 의 수준을 측정한 결과 노조충성헌신신념의 평균값은 Likert식 5점 척도 기준으로 3.41, 노조책임성은 이보다 높은 3.71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배경적 특성에 따른 평균값 차이 분석에서는 노조충성헌신신념의 경우 남자와 간부 의 평균이 여자와 평조합원의 평균에 비해 유의하게 높으며, 노조책임성의 경우 남자의 평균이 여자의 평균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노조몰입과 직무만족과의 관계 분석에서는 노조충성헌신신념은 직무만족에 직접적인 정(+)의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자아효능감을 통해서도 간접적으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 다. 노조책임성은 직무만족에 직접적으로는 영향을 미치지는 않으나 자아효능감을 통해 간접적으로 정(+)의 영향 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노조몰입이 노조원들의 직무만족을 개선시키는데도 기여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Recognizing union commitment as a key factor determining success and survival of the union, this study measured the levels of union commitment of the Korean civil service union. This study also examined how union commitment affects job satisfaction and whether self-efficacy plays mediating roles between the two variables. The data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through conducting surveys on union members currently working for Kyungnam Provincial Government Office and 5 primary local governments in Kyungnam Province. This study measured the levels of union commitment by using two sub-factors. The means of the first sub-factor(union loyalty, willingness to work for the union, and belief in unionism were categorized into this factor: ULWB) and the second sub-factor(responsibility to the union:UR) were 3.41 and 3.71 on the 5-point Likert-type scale. Compared with female and rank-and-file members, male members and union leaders showed higher levels of ULWB. Male members also had higher level of UR than female members had. By using PROCESS macro, this study found ULWB has both direct effects and indirect positive effects on job satisfaction via self-efficacy, while UR has only indirect positive effects via self-efficacy.

      • KCI등재

        방범용CCTV 설치 방안에 관한 연구

        문유석(Moon Yu seok) 한국지방정부학회 2017 지방정부연구 Vol.20 No.4

        본 연구는 방범용CCTV가 그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범죄예방과 해결에 효과적으로 활용되기 위해서는 그 입지선정이 합리적인 기준에 의해 결정돼야 한다고 보았다. 방범용CCTV 설치 근거 이론과 선행연구를 검토한 후 이를 기초로 상위 기준으로 6개 항목 과, 각 항목별로 3개에서 5개씩 총 23개 세부항목을 설정한 후 부산지역 대학교수 및 연구원, 경찰관, 공무원 등 관련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AHP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32명의 전문가들의 응답자료를 분석한 결과 상위요소인 6개 항목의 우선순위는 범죄 및 불법행위의 발생정도 > 범죄취약성 정도 > 대체감시수단의 존재 유무 > 시야확보 용이 여부 > 기술적 가능 여부 및 운영상의 편리성 > 주민편익과 비용 정도 순으로 나타났다. 23개의 세부항목 들 중 상위 10개의 우선순위 순위는 5대 강력범죄 발생 정도 > 범죄발생지역 > 범죄신고다발지역 > 이미 설치된 CCTV와의 중복 여부> 우범·취약지역 > 청소년 탈선행위 발생 정도 > 기초질서위반행위 발생 정도 > 설치장애요인 유무 > 예상도주로 > 관리상의 장애요인 유무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들을 바탕으로 방범용CCTV 설치입지 결정 시에는 범죄관련 요인들이 우선적으로 고려돼야 하며 그 외 공적감시 정도, 감시가능 여부, 주민의 편익과 비용, 설치장애요인이나 점검·교체 등에 있어서의 편리성 등이 종합적으로 고려돼야 한다는 점을 한다고 주장하였다. 아울러 방범용CCTV의 효과성 제고를 위해서는 입지선정 결정과정에서 관련된 기준들을 찾아내고 그 기준들의 중요도 등이 고려하여 합리성의 수준을 올리려는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음을 강조하였다. The effectiveness of the CCTV can be secured when its installation sites are selected with reasonable criteria. Under this recognition, after review of related theories and previous studies, this study suggested 6 upper level criteria and 23 lower level criteria and then conducted AHP surveys on the experts on the issu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HP analysis conducted with the responses of 32 experts, the relative importance of 6 upper level criteria was found in order of the level of crime and illegal activities, the level of vulnerability to crime, availability of alternative surveillance instrument, the scope of surveillance, technical feasibility and operational convenience, benefits and costs for residents. Based upon these results, this study stressed more attention needs to be given to the factors related to crimes with serious efforts to make rational decision-making in the installation process of CCTV for crime prevention.

      • KCI등재

        경찰관 직무스트레스 수준과 영향요인

        문유석(Moon, Yu-seok) 한국지방정부학회 2011 지방정부연구 Vol.14 No.4

        경찰관은 수행하는 업무와 조직구조 상의 특성으로 인해 많은 직무스트레스를 경험한다. 경찰관들의 과도한 스트레스는 개인적으로는 각종 질병과 알콜중독 등 바람직하지 못한 행태를 유발하고, 조직적으로는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을 감소시켜 종국적으로는 경찰조직의 목표인 범죄에의 효과적인 대처를 어렵게 하고, 사회적으로는 자신들이 보호해야할 시민들을 무시하고 적대시하게 만든다. 직무스트레스의 이러한 부정적인 영향 때문에 선진국에서는 경찰관들을 대상으로 하는 스트레스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나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미미한 수준에 그치고 있다. 본 연구는 부산시에 근무하는 경찰관 314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경찰관들의 직무스트레스 수준을 측정하고, 이를 유발하는 직무환경적 요인들을 추출하였다. 분석결과 경찰관들의 직무스트레스 수준은 상당한 정도에 이르고 있으며, 업무부담, 역할모호성, 권위주의, 성차별 등이 직무스트레스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반면, 대인관계, 조직지원, 인사관리적정성 등이 부(-)의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직무스트레스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몇 가지 정책방안을 제시하였다. Police officers are experiencing job stress because of unique nature of their jobs and hierarchial organizational structure. Excessive job stress is known to result in various disease and deviant behaviors including alcohol addiction to police officers, decreas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by reducing levels of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despise civilians who are supposed to be served by police officer themselves. Because of these harmful effects of police job stress, much research on police stress has been done in advanced countries. However, in Korea, the research on police job stress is still in the beginning stage. By using data collected through conducting surveys on 314 police officers serving Busan Mertropolitan City, this study measured the level of job stress and examined what factors contribute to job stress. The results of analyses show that police officers are experiencing a considerable level of job stress and several factors including job -overload, job ambiguity, authoritarianism, and discrimination by sex contribute to police officers' job str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