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On the Pronunciation of the English Word-final e

        Moon Do-Yeol(문도열) 신영어영문학회 2003 신영어영문학 Vol.26 No.-

        영어의 어말 e는 철자와 발음이 일치하지 않는 많은 예 중의 하나이다. 본 논문은 여러 사전을 조사하고 데이터를 분석하여 어말 e의 음가를 검토해 본다. 어말 e는 OE, 불어, 라틴어, 그리스어의 굴절어미의 흔적이며, 애매모음(schwa)로 약화되었다가 음이 탈락하게 되었다. 지금은 몇몇의 경우에 선행 모음이 긴장음(혹은 장음)임을 가리키는 기능을 하기도 한다. 어말의 e는 첫음절에 강세가 오는 영어의 경향 때문에 대부분이 묵음이다. 반면에 음가를 지닐 때에는 [i, ?, e, ?, ?] 등으로 소리난다. 하지만 강세모음 [?, ?]는 상대되는 약세모음과 통합되고, [?]는 예외적이라 할 수 있다. [i]와 [e] 사이에서 [i]는 어말 e의 영어식 발음인 반면, [e]는 라틴식 발음이다. 더욱이, [i]가 있는 단어들이 여러 언어들로부터 차용되었고, 주로 이태리에서 차용된 [e]의 3배에 달한다. 결국 발음에 관한 한, 영어 어말 e의 자연스런 음가는 [i]라고 결론지을 수 있다.

      • KCI등재

        A Study of Modern English Vowel Shift

        문도열 ( Do-yeol Moon ) 대한영어영문학회 1998 영어영문학연구 Vol.24 No.3

        영어사에서 대모음전이는 중세영어에서 근대영어로 가는 획기적인 대변화로서 현대영어에서 철자와 발음이 서로 맞지 않는 중요한 요인이다. 그러한 역사적 음운변화의 흔적이 현대영어에 형태소에 음운교체 현상으로 남아있다. 통시적인 모음전이가 장모음에 일어난 것과는 대조적으로 현대영어에는 강세를 받는 기저 긴장모음이 표면에서 이중모음이나 장모음으로 실현된다고 설정할 필요가 있는 공시적인 모음전이 현상이 있다. 통시적이든 공시적이든 간에 영어의 모음전이는 전체 모음목록에 일어나는 체계적인 변동으로서 각 모음 공간 내에서 요소들간에 일정한 지각적 거리를 유지하고자 한다는 점은 같다. 현대영어에서는 기저의 긴장모음들이 한 단계씩 높아지고 그 중에서 고모음들은 하강하여 이중모음화한다. 최적성이론에서는 그러한 전이를 야기한 최초의 동인인 자질공기제약과 대조를 보존하려는 중화회피제약 등에 의해 기저모음체계내의 각 모음이 표면음성체계 내의 각 모음과 연결된다고 설명한다. 최적성이론에 의한 설명은 근본 제약들을 직접 표현하기 때문에 규칙적용에 의해 표면형을 도출하는 방식보다 설명력이 있다. 특히 후설모음에서, /ō/는 [uw]로 상승하고, /ī/, /ū/는 각각 [aw], [ɔy]로 표면음화한다. /ī/는 후설고모음이 표면에서 비원순음으로 실현될 수 없다는 제약 때문에 하강하여 [aw]로 이중모음화하고, /ū/는 /ō/로부터 상승한 [uw]와의 중화를 피해서, 남아있는 [ɔy]로 실현된다.

      • 자질계층이론의 이해

        문도열 又石大學校 1994 論文集 Vol.16 No.-

        Recent research of phonology has been focussed on the hierarchical organization of distinctive features within a segment. The features are organized into functionally related classes, grouped under nodes of a tree structure. This article reviews basic conventions, constraints and Halle-Sagey's Articulator Model of feature organization. It also examines Clements' revised theory of place of articulation in consonants and vowe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