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녹비를 시용한 벼논에서 토양과 벼를 통한 메탄 배출 특성 및 기여도 평가

        모하마드모자멜하끄 ( Mozammel Haque ),김상윤 ( Sang Yoon Kim ),타토바R와그모드 ( Tatoba R Weghmode ),김필주 ( Pil Joo Kim ) 한국환경농학회 2013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13 No.-

        Many researchers have documented that rice-mediated transport is the major pathway potentially accounting for more than 90% of the total CH4 emitted from soils over the growing season. However, characterization of the individual CH4 transport like ebullition as gas bubbles and rice plant has not been well elucidated in green-manure amended mono-rice paddy soil. A mixture of barley (75% of the recommended dose, RD), and hairy vetch (hereafter, vetch, 25% of the RD) seeds were broadcasted after riceharvesting in the experimental farm of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36o 50` N and 128o 26` E), Jinju, South Korea, and the above-ground biomass (34-36 Mg ha-1 with 67-69 % moisture content) were harvested before rice transplanting in 2011 and 2012. The fresh biomass was chopped in a 5-10 cm length and incorporated with different ratios (0-100%) one week before ricetransplanting under the same chemical fertilization (N-P2O5-K2O= 90-45-58 kg ha-1). The combination of cover crop biomass was applied at the rate of 0, 9, 18, 27 and 36 Mg ha-1 on fresh weight basis to investigate their effect on CH4 emission through direct ebullition from the soil and rice-mediated transport during rice cultivation. With increasing biomass application, the plant-mediated CH4 transport sharply increased until the vegetative stage of the plant, while CH4 emission through direct ebullition from soil was higher at the reproductive stage of the plant than plant-mediated transportation. Our result predicts that ca. 9 and 91% of CH4 emitted through plant-mediated transport and direct ebullition, respectively in paddy soil applied with green manure applications. Incorporation of cover crop biomass at 9 Mg ha-1 was optimum for the reduction of CH4 emissions in soil and its increased application can significantly increases CH4 emission during rice cultivation.

      • DNDC Model을 이용한 논토양에서 간단관개의 온실가스 배출량 저감효과 평가

        김길원 ( Gil Won Kim ),모하마드모자멜하끄 ( Mozammel Haque ),김필주 ( Pil Joo Kim ) 한국환경농학회 2013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13 No.-

        우리나라에서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겨울철 녹비 작물에는 보리, 호밀, 헤어리베치, 자운영 등이 있으며 녹비 작물의 재배는 겨울철 토양의 침식을 방지하며 토양의 물리성 및 화학성을 개선시키 는 효과가 있으며 녹비 작물 환원 시 토양의 유기물 함량을 증진시키는 효과 있어 화학비료 대체 제로 녹비 작물 시용이 추천되고 있다. 하지만 녹비 작물의 환원으로 인해 증가된 토양의 유기물 함량은 논토양의 담수 특성상 벼 재배 기간 중 메탄(CH4)의 배출량을 크게 증가시켜 온난화를 가 속화 시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자는 DNDC 모델을 이용하여 녹비 작물 환 원 논토양에서 CH4 발생량 저감 방법에 대해서 연구를 실시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포장은 경상대 학교 내에 위치하고 있으며, 녹비 작물로는 보리와 헤어리베치를 혼파하여 사용하였고 혼파 비율 은 각각 75%, 25%였으며, 녹비작물의 환원 비율은 0, 25, 50 75, 100%로 설정 하였다. DNDC 모 델을 활용하여 벼 재배 기간 중 CH4을 발생량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중간 낙수를 선택 하였다. 낙수 시기는 메탄이 가장 많이 발생하는 이앙 후 30일과 관행적으로 흔히 사용되 고 있는 이앙 후 45일과 60일로 선택 하였으며, 낙수 기간은 3일, 5일, 10일로 선택 하였다. CH4의 발생량은 녹비 작물의 환원 비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 하였으며 DNDC 모델을 이용한 예측량 역시 이와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DNDC 모델을 이용하여 중간 낙수를 적용한 결과 이앙 후 30일경 중간 낙수를 실시하는 것이 CH4 발생량을 저감하는데 가장 효과 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낙수 시기가 3일에서 10일로 점차 증가함에 따라 CH4 발생량은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 내었다. 하지만 낙수 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아산화질소(N2O)의 발생량이 증가 하는 경향을 나타내 어 온실 가스 측면에서는 적절한 낙수 기간 설정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녹비 작 물 시용 논토양에서 벼 재배 기간 중 온실 가스를 저감 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이앙 후 30일경 5 일간 중간 낙수를 실시하는 것이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때 벼 생육 반응 검토 및 수량 도 함께 조사 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