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1980년대 이후 대만 음식(cuisine)의 형성

        마이클 사오(Hsin-Huang Michael Hsiao),메이창(May Yu-Hsin Chang),메이-후이첸(Mei-Hui Chen),권정화(번역자)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2015 아시아리뷰 Vol.5 No.1

        대만 음식의 출현은 대만의 민주화 과정과 1980년대 이래 국가 정체성의 성장과 관련이 깊다. 어떠한 측면에서 대만 음식의 형성은 중국 본토의 장저(江浙) 음식, 쓰촨(四川) 음식, 광둥(廣東) 음식 체계가 우세한 가운데 대만 내 두 개의 주요 민족음식, 즉 민난과 학카 음식이 자유화된 것으로 볼 수도 있다. 한족의 음식으로 알려진 민난과 학카 음식이 대만을 대표하는 요리로 급부상하게 된 것이다. 그러나 한족이 아닌 원주민 음식은 여전히 대만 음식으로 통합되지 않고 있는 점 또한 주목해야 한다. 이 글은 대만 음식의 부상이 정치적 변환과 문화적 변화를 뛰어넘는 사회적 산물이라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민난과 학카 민족 음식의 소비는 가정의 범주를 넘어 레스토랑에서 볼 수 있는 상품화된 ‘요리’로서 빠르게 자리잡고 있다. 이 글은 민난과 학카 민족 음식의 ‘요리화’와 ‘대중화’의 특징과 변화를 설명하고자 한다. 또한 민난, 학카 음식이 어떻게 ‘표현’되고, 어떠한 ‘위치’에 있고, 대만 국가 음식으로써 ‘어느 정도’ 역할을 하는지도 주목한다. 결론에서는 민주주의, 민족성, 국가정체성이 어떻게 연관되어 있고, 이들의 관계가 대만의 현대 음식에 어떻게 반영되어 있는지를 살펴본다. The emergence of Taiwanese cuisine has much to do with the democratization process and the growth of Taiwan national identity since the 1980s. In one way, the making of Taiwanese cuisine can be seen as the liberalization of two major ethnic foods, Mainan and Hakka, from the dominance of Mainland China’s provincial food customs such as that of Jiang-Zhe, Szechuan, and Guandong. The two ethnic Han food of Minnan and Hakka have thus been ungraded to constitute the new core components of the rising Taiwan’s national cuisine. It is equally important to note that, however, the non-Han aborigine food has not been considered as an integral part of Taiwanese cuisine. This paper intends to argue that the rise of Taiwanese cuisine is the direct social product of the above political transformation and cultural change. The Minnan and Hakka ethnic foods have since then been rapidly commercialized to become the recognized “cuisine” popularly served in restaurants beyond household consumption. The rise of “cuisinization” as well as “popularization” of ethnic Mainnan and Hakka foods will then be discussed in this paper by identifying the main features and changes of each of the ethnic food. Special attention is also paid to how Minnan and Hakka food are being “presented,” “positioned” and “weighted” in the constitution of “Taiwanese national cuisine.”Finally, in the conclusion, the interplay of democracy, ethnicity and national identity and its impact on Taiwan’s contemporary foodscape will be highligh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