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학생의 부모애착과 또래관계의 질의 관계 : 감사성향과 인지적 정서조절의 매개효과

        마한나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중학생의 또래관계는 심리사회적 발달과 적응을 예측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이 시기의 또래관계에 영향을 주는 환경적, 개인 내적 요인들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부모애착이 초기 청소년기에 해당하는 중학생의 또래관계의 질을 예측하는데 있어 중요한 변인이라는 기존 연구들을 바탕으로, 부모애착과 또래관계의 질의 관계를 살펴보고, 그 관계에서 감사성향과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이 매개역할을 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경기, 충청에 위치한 중학교 4곳에 재학 중인 중학교 1, 2, 3학년 40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기반으로 먼저 각 변인들의 기술통계분석과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각 변인들의 구조적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부모애착과 또래관계의 질의 관계에서 감사성향과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의 매개효과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관분석을 실시하여 변인들 간의 상호관련성을 확인한 결과 부모애착, 또래관계의 질, 감사성향,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모든 변인들 간 상관이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애착, 또래관계의 질, 감사성향,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간에는 정적인 상관이 나타났으며,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은 부모애착, 또래관계의 질, 감사성향과 부적인 상관을 보였다. 둘째, 부모애착과 또래관계의 질의 관계를 감사성향과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이 매개하는 연구모형을 설정하여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한 결과, 모든 경로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부모애착에서 감사성향으로 가는 경로가 가장 강력하게 나타났다. 셋째, 부모애착과 또래관계의 질의 관계에서 감사성향과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의 매개효과를 검정하기 위해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을 이용한 매개효과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부모애착과 또래관계의 질의 관계에서 감사성향,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각각의 단순매개효과가 유의할 뿐 아니라, 감사성향과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감사성향과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을 순차적으로 거쳐 또래관계의 질에 이르는 이중매개효과 또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종합해보면, 부모애착은 중학생의 시기에도 안전기지의 역할을 하여 또래와의 관계를 탐색하고 갈등을 해결하는 데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자기와 타인, 타인과의 관계에 대한 내적작동 모델을 형성하여 감사의 대상을 인식하고, 도움의 의도를 파악하며, 감사를 느낄 수 있는 역치를 형성하는 기반으로 작용하여 중학생의 감사성향을 발달시키는데 영향을 주었다. 또한, 감사성향은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을 촉진하고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을 억제시켜 또래관계의 질을 증진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중학생 시기에도 부모와의 애착이 또래관계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기제임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부모 애착이 또래관계의 질에 미치는 영향과 감사성향 및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의 이중매개효과를 확인함에 따라 중학생의 또래관계 증진을 위한 효과적인 개입방안을 마련하는데 본 연구를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 among Parent Attachment, Gratitude Disposition,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nd Quality of Peer Relationship. The study participants(403 middle school students) were drawn from Gyeonggi and Chungcheong regions. The data were analyzed with Pearson's correlatio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by SPSS 18.0 and M-Plus 7.0.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among parent attachment, gratitude disposition,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nd quality of peer relationship, but there were negative correlations among parent attachment, gratitude disposition,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and quality of peer relationship in middle school students. Second, the examination of structural relation among the major variables showed that all the paths were significant. Especially, the path from parent attachment to quality of peer relationship was the most powerful. Third, the result indicated that the mediating effect of gratitude disposition, adaptive emotion regulation, and also maladaptive emotion regulation between parent attachment and quality of peer relationship was respectively statistically significant, as well as the dual-mediated effect of gratitude disposition, adaptive emotion regulation, and maladaptive emotion regulation between parent attachment and quality of peer relationship was significant. These results showed that gratitude disposition, adaptive emotion regulation, and maladaptive emotion regulation should be included and examined in designed a intervention program for middle school students who had peer relationship problems. Findings in this study also exhibited the direction for future research of relation between parent attachment and quality of peer relationship.

      • 노인의료복지시설 입소 노인의 서비스 만족에 관한 연구 : 전라북도 의료복지시설을 중심으로

        마한나 한일장신대학교 아·태국제신학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오늘날 현대사회에서는 평균수명의 연장과 고령노인의 인구증가와 더불어 핵가족화 되어가는 사회현상과 부양형태의 변화에 따라 의료복지 시설의 사회적 요구는 증가하고 있다. 또한 시설 입소노인 가운데 만성질환을 동반하는 노인이 증가함에 따라 서비스의 다양성과 노인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질적인 서비스가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며 노인들은 신체적 · 정신적 · 사회적인 욕구와 건강상의 문제를 동반하고 있어 보다 다양하고 전문적인 서비스를 요구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전라북도소재 노인병원과 요양시설에 입소한 노인 중 의사소통이 가능한 163명을 유의 표집하여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직접면담을 실시하고 Spss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사항에 의하면 조사대상자의 연령은 70대 이상인 고령자가 전체의 82.2%를 차지하고 있는데, 대부분 일상생활수행능력(ADL: Activities of Daily Living) 서비스에 대해 입소 노인들은 불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신체적 건강상태에서 가장 많이 호소하고 있는 증상이 관절 통증이었고, 다음은 요통이었다. 이는 노화로 인한 생물학적 이론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보편적인 증상이며 이에 대한 서비스 욕구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시설 내에 친구가 있을 경우가 없는 경우 보다 시설 내 생활에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조사대상자의 시설 생활 불편한 점은 가족 생각이 자주 난다가 41.7%로 시설 생활의 가장 불편한 점으로 나타났다. 현재기분과 이야기할 직원 유 · 무의 상관관계는 현재 기분이 좋을수록 시설 내에 이야기할 직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개인의 성향과 건강상태 등과도 연관되어 있겠지만 나름대로 직원과의 관계 형성이 잘된 노인이 기분 상태도 좋다고 볼 수 있다. 넷째, 직원 친절도는 친절한 편에 속하지만 친절하지 못하다가 36.6%로 나타났으며 미술치료 · 음악치료 만족도를 보면, 미술치료는 아직은 시설에서 서비스 제공이 미흡하고 전문적인 미술치료사가 없는 관계로 대부분 불만족한 것으로 나타났고, 입소기간이 오래될수록 음악치료에 대한 만족도는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물리치료 만족도와 생신잔치 서비스 만족도는 대체로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기반으로 본 연구자는 다음과 같은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시설 내 직원의 역할 재정립과 간병인력의 충원으로 직원들의 일상생활수행능력(ADL)서비스에 대한 질적인 향상을 피하여 충실도를 높여야 하고, 둘째, 의료복지시설입소노인들의 서비스 만족을 위해서는 시설 내 직원의 역할 재정립으로 직원들의 질적 서비스 충실도를 높여야 하고, 사회복지사직급의 증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시설 내 입소노인의 서비스 만족을 위하여 시설 내 심리적지지 서비스인 친구관계 형성프로그램, 가족과 시설 그리고 입소노인과의 연계서비스 프로그램제공, 종교서비스 제공 등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 사회복지사의 증원이 필요하다. 넷째, 새로운 프로그램 개발 및 운용을 위한 정부의 지원과 시설들의 노력이 필요하다. 현재 의료복지시설의 실정은 질적인 프로그램을 제공할 만한 여건이 조성되어 있지를 않다. 정부의 과감한 정책적 지원과, 시설과 직원들의 질적서비스 제공을 위한 노력으로, 인생의 긴 여정 속에서 병들고 지친 몸을 편안하고 행복하게 보낼 수 있을 것이다.

      • Perceptions towards music therapy of special education staff and related service professionals in the United Arab Emirates

        마한나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1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s towards music therapy among special education staff and professionals in related services in the United Arab Emirates. A total of 160 professionals participated in the survey which examined the professional working experience, experiences with music therapy, and perception of music therapy. Out of the participants, 82.5% had previous exposure to music therapy, 41.9% observed music therapy sessions, 38.8% collaborated with music therapists, and 25.6% received music therapy consultation.Perceptions of music therapy was examined using a 4 point Likert scale.The participants indicated low understanding of therapeutic use of music (M=2.81). However, participants generally agreed on the benefits of music therapy (M=3.21), the need for music therapy in special education settings (M=3.14), the goal of addressing non-musical skills (M=3.08), and disagreed with the effectiveness of a therapy session conducted by a music teacher compared to music therapist (M=2.78). Music therapy was perceived to be effective for all the age groups of students except infants and toddlers, with various disabilities except hearing impairment. Music therapy was also seen as effective in addressing diverse goal areas of the children. Further analysi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of perception among the participants based on occupation and music therapy experiences. The findings of the study will provide a basis for establishing music therapy profession in Arabic countries and developing an effective collaborative model in the special education settings. 본 연구의 목적은 UAE 내 특수교육 및 관련 서비스 전문가들의 음악치료에 대한 경험과 인식을 조사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설문 조사에 참여한 응답자 160 명의 설문 결과를 SPSS 통계적으로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참여자 중 82.5%는 음악치료에 대하여 들어본 경험이 있었으며, 41.9%가 음악 치료 세션을 관찰하였고, 38.8%는 음악치료사와 협력한 경험이 있었다. 25.6%의 응답자가 음악치료 자문에 참여하였다고 응답하였다. 둘째, 특수 교육 내 음악치료에 대한 인식 관련하여, 참여자들이 4 점 Likert 척도로 평가한 음악의 치료적 사용에 대한 인식은 낮은 편이었다 (M=2.81). 그러나 설문 참여자들은 대체로 특수교육 세팅에서 음악치료의 유익 (M =3.21), 특수교육 환경에서의 음악치료의 필요성 (M =3.14), 비음악적 기술을 다루는 목표 (M =3.08)에 대하여 동의하였으며, 음악교사에 비해 훈련된 음악치료사에 의한 서비스가 더욱 효과적이라는 인식을 보였다. 음악치료의 효과와 관련한 항목에서 참여자들은 음악치료가 청각장애 외 다른 장애에 모두 효과적이고, 미취학 (3-5 세) 및 초등학생 연령의 아동에게 효과적일 것이라고 답하였으며, 모든 목표 영역 향상에 효과적일 것이라고 응답하였다. 셋째, 음악치료 효과에 관한 직업간 차이를 분석한 결과, 특수교육 내 음악치료의 필요에 있어 언어치료사의 인식이 물리치료사 및 작업치료사보다 유의미하게 높았으며(p<.05), 전반적으로 음악치료에 대한 언어치료사의 인식 수준이 타 영역 전문가보다 높았다. 음악치료의 효과와 관련하여, 특수교사가 물리치료사 및 작업치료사보다 지적 장애 아동을 위한 음악치료의 효과를 더 높게 인식하였다 (p<.05). 넷째, 음악치료와 관련한 경험이 있는 참여자들의 경우 경험이 없는 참여자에 비해 음악치료를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p<.05), 특히 음악치료 자문을 경험한 참여자들은 특수교육 내 음악치료 및 특수아동을 위한 음악치료의 효과를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이러한 설문 결과는 UAE 내 특수교육 및 관련 서비스 전문가들의 음악치료에 대한 인식을 이해하고, 향후 아랍 문화권 내 효과적인 음악치료 프로그램의 도입 및 특수교육 환경에서의 협력적 서비스 모델 개발을 위한 유용한 자료가 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