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사람치아속질에 있어서 TRPV1 면역양성 신경종말의 미세구조적 특징

        김영경(Young Kyung Kim),마수경(Su Kyung Ma),진명욱(Myoung-Uk Jin),김성교(Sung Kyo Kim),배용철(Yong Chul Bae) 대한해부학회 2006 Anatomy & Cell Biology Vol.39 No.4

        Vanilloid receptor인 transient receptor potential VR1 (TRPV1)은 열자극에 의한 통각(thermal nociception)과 염증성 통각과민(inflammatory hyperalgesia)의 유발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전의 우리의 연구에서 형광 면역조직화학기법을 통하여 사람의 치아속질 내에서 TRPV1의 발현과 더불어 TRPV1과 substance P (SP), calcitonin gene related peptide (CGRP)의 공존에 관하여 밝힌 바 있으며 본 연구는 그 후속 연구로서 사람치아속질에서 TRPV1 면역양성 신경섬유의 미세구조적 특징을 밝힘으로써 이들과 치아속질동통의 전달과의 상관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치아속질에서 TRPV1 면역양성반응을 나타내는 DAB 반응산물은 대부분 민말이집신경섬유에서 검게 침착되어 나타났으며 TRPV1 면역양성 신경섬유는 2 type으로 구분할 수 있었는데, 투명한 구형의 연접소포와 다수의 큰 치밀핵소포를 포함하는 형과 큰 치밀핵소포는 포함하지 않고 투명한 둥근소포만을 함유하는 형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치아속질에서 TRPV1 면역양성 신경섬유는 중추신경계에서 보여지는 축삭종말의 형태가 관찰되지 않았으며 축삭의 특정부위의 팽창 없이, 선형태의 축삭 내에 다수의 소포가 밀집된 양상을 보였다. 소포가 밀집되어 있는 부위에서 인접부위와의 연접형태는 관찰되지 않았다. 지금까지의 많은 면역조직화학적 실험에서 일차들신경섬유종말 내의 치밀핵소포에는 SP, CGRP와 같은 신경펩타이드들이 함유되어 있으며 투명한 구형의 연접소포에는 glutamate와 같은 흥분성 신경전달물질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해 보면 치아속질에서 TRPV1 면역양성 신경섬유는 뚜렷이 구분되는 2 type의 미세구조적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이들은 각각 염증성 통각과민과 열자극에 의한 통각의 전달에 관여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The vanilloid receptor TRPV1 has been suggested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rmal nociception and inflammatory hyperalgesia. In our previous study, we examined the expression of TRPV1 and colocalization of TRPV1 with substance P (SP) and calcitonin gene related peptide (CGRP) through fluorescence immunocytochemistry. Here, we investigated ultra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RPV1 immunoreactive fibers in the human tooth pulp through preembedding immunocytochemistry. TRPV1 immunoreactivity was present in the unmyelinated nerve fibers in the tooth pulp. There were two types of TRPV1 IR nerve fibers identified in the human tooth pulp: one containing clear round vesicles and many dense-cored vesicles, the other containing clear round vesicles and few dense-cored vesicles. TRPV1 immunoreactive fibers were constant in diameter without swellings along the length. Boutons en passant and boutons terminaux usually observed in the CNS were not observed in the TRPV1 immunoreactive fibers. Many vesicles were accumulated in the TRPV1 immunoreactive fibers, however synaptic structure was not found. It is known that dense-cored vesicles contain neuropeptides such as SP and CGRP and clear round vesicles contain neurotransmitter such as glutamate. Taken together, our results suggest that TRPV1 immunoreactive fibers showing distinct ultrastructructural features may be involved in inflammatory hyperalgesia and thermal nociception in the tooth pulp.

      • KCI등재

        흰쥐의 두힘살근 운동신경세포의 발달과정에 관한 형태학적 분석

        김재현(Jae-Hyun Kim),박미화(Mi-Hwa Park),백상규(Sang-Kyoo Paik),마수경(Su-Kyung Ma),백상흠(Sang-Heum Baek),차두원(Duwon Cha)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 2005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지 Vol.31 No.2

        To analyze the developmental changes in soma diameters of digastric motoneurons, wheat-germ agglutinin conjugated horseradish peroxidase(WGA-HRP) was injected into the digastric muscle and visualized the retrogradely HRP-labeled motoneurons through tungstate/tetramethylbenzidine(TMB) and following diaminobenzidine (DAB) reactions. The results obtained from Sprague-Dawley rats at postnatal days 1 (P1), 10 (P10) and 30 (P30) indicated as follows: firstly, soma diameters of digastric motoneurons showed unimodal distribution in all postnatal days examined; secondly, the period of P1 to P10 (period 1) showed about 2 times faster growth rate than that of P10 to P30 (period 2); thirdly, the smallest soma examined in each postnatal day exhibited slower growth rate with that of the largest one (increase ratio in soma diameters from P1 to P30, smallest vs. largest = 1.62 : 1.93); Finally, relative growth rates a day showed again that period 1 had faster growth rate than that of period 2. Consequently, developmental changes in soma diameters of digastric motoneurons resulted in very different growth rates between both periods. This implies that the growth of the soma is almost completing within P10 and thereafter growing slowly. The period 1 and 2 are corresponding to sucking and sucking/masticatory period, respectively. Therefore present study providing morphological changes in soma diameters of digastric motoneurons suggests that both periods and their different growth rates of the motoneurons in each period may closely be related with each oth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