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高麗 木塔址 基壇部의 構成과 特性

        류형균 동악미술사학회 2013 東岳美術史學 Vol.0 No.15

        목탑은 삼국시대부터 조영되기 시작하여 고려시대에도 다수의 목탑이 건립되었음을 ..高麗史.., ..陽村集.. 등의 문헌기록에서 찾아볼 수 있다. 고려 목탑은 현존하는 예가 없고 모두 터만 남아 있어 이에 대한 연구도상대적으로 미진한 실정이다. 그나마 발굴조사를 통해 그 양상을 파악할 수 있는 것은 7개소에 이른다. 고려목탑지 기단부는 평면 . 기단 . 계단 . 심초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각 구성요소와 특성을 살펴보았다. 고려 목탑지의 평면 규모가 가장 큰 것은 실상사 목탑지로 7×7칸이며, 만복사지 목탑지는 5×5칸이다. 원향사지 목탑지는 5×5칸으로 추정되고, 사자사지 목탑지는 3×3칸이다. 중방리사지 목탑지는 3×3칸으로 추정할수 있다. 평면형태는 정방형과 팔각형으로 대별되는데, 정방형 평면은 만복사지 . 사자사지 . 실상사 . 중방리사지 . 원향사지 목탑지가 해당되고, 흥왕사지 목탑지는 팔각형이다. 초석은 만복사지 목탑지만 다듬돌 원형초석이고, 사자사지 . 실상사 . 천왕사지 목탑지는 자연석을 사용하였다. 기단토 구축방법은 굴광성토형 . 지상성토형 . 지상판축형으로 구분된다. 굴광성토형은 실상사 . 중방리사지 . 천왕사지 . 원향사지 목탑지가 있다. 만복사지 목탑지는 지상성토형으로 파악하였고, 사자사지 목탑지는 지상판축형으로 확인되었다. 외장축조기법에서 가구식 석조기단의 예는 만복사지 . 실상사 . 흥왕사지목탑지가 해당되며, 사자사지 목탑지는 축단식 기단이고, 천왕사지 목탑지는 가구식 석전병용기단으로 보았다. 중방리사지 목탑지는 전축기단의 사례로 주목된다. 계단이 2개소에 설치된 것은 만복사지 . 실상사 . 흥왕사지 목탑지가 있고, 1개소만 마련된 경우는 사자사지 . 중방리사지 목탑지가 있다. 만복사지 목탑지 계단은 디딤돌과 소맷돌까지 정연하게 다듬었고, 사자사지. 중방리사지 목탑지 계단석은 장대석으로 시설하였다. 만복사지 . 사자사지 . 중방리사지 목탑지 심초석은 중앙에 위치했을 것으로 판단되고, 실상사 목탑지 심초석은 중앙에 놓여 있다. 심초 설치방법은 대부분 지상식의 특성을 보이며, 심초의 형태는 실상사 . 천왕사지 목탑지의 경우 방형이고, 정방형은 사자사지 심초석이 있다. 중방리사지 심초석은 장방형 평면에 원형 사리공이 있어 특이하다. According to Goryeo History, Yangchonjip Collection, and other literature, wood pagoda began to be constructed in the Three Kingdoms period, and a number of wood pagodas were constructed in the Goryeo period as well. No Goryeo wood pagodas have survived to the present day; instead, only their sites remained, making studying them difficult. Note, however, that seven such sites were excavated to be able to identify the styles of wood pagodas. The Goryeo wood pagoda site's stylobate unit consists of the ground, stylobate, staircase, and base stone,so their components and characteristics were examined. Among the Goryeo wood pagoda sites, the Silsangsa Temple wood pagoda site area is the biggest with 7×7 kan,and the Manboksa Temple wood pagoda site measures 5×5 kan. The Wonghyangsa Temple wood pagoda site was presumed to be 5×5 kan, whereas the Sajasa Temple wood pagoda site measures 3×3 kan. The Jungbangrisa Temple wood pagoda site was presumed to measure 3×3 kan. The ground types are classified into a square and an octagon;the square type includes wood pagoda sites in the Manboksa Temple, Sajasa Temple, Silsangsa Temple, Jungbangsa Temple, and Wonhyangsa Temple sites, whereas the Heungwangsa Temple wood pagoda site is an octagon. For foundation stones, only the Manboksa Temple wood pagoda site used a trimmed circle foundation stone, whereas wood pagoda sites in the Sajasa Temple, Silsangsa Temple, and Cheonwangsa Temple sites utilized natural stones. Stylobate soil construction methods are classified into the excavated soil creation type, ground soil creation type,and ground plate creation type. The excavated soil creation type includes wood pagoda sites in the Silsangsa Temple, Jungbangrisa Temple, Cheonwangsa Temple, and Wonhyangsa Temple sites. While the Manboksa Temple wood pagoda site is of the ground soil creation type, the Sajasa Temple wood pagoda site is of the ground plate creation type. For the external construction method, furniture-type stone foundation examples include wood pagoda sites in the Manboksa Temple, Silsangsa Temple, and Heungwangsa Temple sites; the Sajasa Temple wood pagoda site has a piled staircase-type stylobate, whereas the Cheonwangsa Temple wood pagoda site has a furniture-type, offering table-combined stylobate. The Jungbangrisa Temple wood pagoda site draws attention as an example of brick stylobate. Wood pagoda sites with two staircases installed include those in the Manboksa Temple, Silsangsa Temple, and Heungwangsa Temple sites, whereas wood pagoda sites with one staircase installed include those in the Sajasa 高麗 木塔址 基壇部의 構成과 特性/ 류형균 57Temple and Jungbangrisa Temple sites. The Manboksa Temple wood pagoda's staircase features well-trimmed stepping stones and railings, whereas staircases in the Sajasa Temple and Jungbangrisa Temple wood pagoda sites were made of large and long stones. Base stones in the Manboksa Temple, Sajasa Temple, and Jungbangrisa Temple wood pagoda sites were presumed to be located at the center, whereas the base stone in the Silsangsa Temple wood pagoda site is centered. The base stone installation method is characterized mostly by the ground-type method. For the base stone shape,wood pagoda sites in the Silsangsa Temple and Cheonwangsa Temple sites resemble a rectangle, with the Sajasa Temple wood pagoda site having a square base stone. The base stone in the Jungbangrisa Temple site has rectangle and circular sarira spaces.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위암 검출에서 혈중 Pepsinogen검사의 의의

        류형균,박전우,이건호,전창호,이호준,채현동 대한위암학회 2009 Journal of gastric cancer Vol.9 No.4

        목적: 정상인과 위암 환자의 혈중 Pepsinogen (PG)농도를 비교 분석하여 선별검사로서 이용가능성 및 위암의 임상 조직학적 요소와의 상관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8년 11월부터 2009년 5월까지 대구가톨릭대학병원에서 내시경상 특이소견이 없는 정상인과 위선암 환자의 수술 전 혈중 PG농도를 측정하였다. 위암진단의 선별검사로서의 이용가능성을 알아 보기 위해 receiver operator characteristics (ROC) curves를 이용하여 가장 유용한 검사법을 선별하였고, 위암 조직과의 상관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특정 기준치에 따라 임상 조직학적 요소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선별검사로서 혈중 PG I/II 비율이 가장 유용하였고, 기준치에 따른 민감도, 특이도는 81.8%, 82%로 나타났다. 임상 조직학적 요소 중 Lauren분류에 따른 종양의 아형(P=0.003), TNM 병기의 T 병기(P=0.001), 및 종양주위의 만성 위축성 위염(P=0.036)을 동반한 위선암이 특정 기준치(cut off point)값에 의미 있는 관련을 보였다. 결론: 본 연구는 정상 대조군의 수가 적어 선별검사로서 혈중 PG측정의 유용성을 논하기에는 부족하나, 위암의 선별검사로서 이용 가능성 및 임상 조직학적 요소와 의미 있는 관련을 보여 차후 추가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 위암 검출에서 혈중 Pepsinogen검사의 의의

        류형균,박전우,이건호,전창호,이호준,채현동,Ryu, Hyong-Kyun,Park, Jeon-Woo,Lee, Keon-Ho,Jeon, Chang-Ho,Lee, Ho-Joon,Chae, Hyun-Dong 대한위암학회 2009 대한위암학회지 Vol.9 No.4

        목적: 정상인과 위암 환자의 혈중 Pepsinogen (PG)농도를 비교 분석하여 선별검사로서 이용가능성 및 위암의 임상 조직학적 요소와의 상관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8년 11월부터 2009년 5월까지 대구가톨릭대학병원에서 내시경상 특이소견이 없는 정상인과 위선암 환자의 수술 전 혈중 PG농도를 측정하였다. 위암진단의 선별검사로서의 이용가능성을 알아 보기 위해 receiver operator characteristics (ROC) curves를 이용하여 가장 유용한 검사법을 선별하였고, 위암 조직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특정 기준치에 따라 임상 조직학적 요소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선별검사로서 혈중 PG I/II 비율이 가장 유용하였고, 기준치에 따른 민감도, 특이도는 81.8%, 82%로 나타났다. 임상 조직학적 요소 중 Lauren분류에 따른 종양의 아형(P=0.003), TNM 병기의 T 병기(P=0.001), 및 종양주위의 만성 위축성 위염(P=0.036)을 동반한 위선암이 특정기준치(cut off point)값에 의미 있는 관련을 보였다. 결론: 본 연구는 정상 대조군의 수가 적어 선별검사로서 혈중 PG측정의 유용성을 논하기에는 부족하나, 위암의 선별검사로서 이용 가능성 및 임상 조직학적 요소와 의미 있는 관련을 보여 차후 추가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determine the usefulness of serum pepsinogen (PG) levels as a screening method for gastric cancer, and to assess the relationships between serum PG and clinicopathologic factors of gastric adenocarcinoma. Materials and Methods: Serum PG concentrations were measured in 94 subjects who were classified into (a) a control group (50 subjects) without abnormal endoscopic finding on a health checkup, or (b) a gastric cancer group (44 subjects) who had surgery at Daegu Catholic University Hospital between Nov. 2008 and May 2009. Receiver operator characteristic curves were utilized to select the most suitable test. Using different cutoff points, sensitivity and specificity were calculated. We compared preoperative serum PG levels with several clinicopathologic findings for patients with gastric adenocarcinoma. Results: The Serum PG I:II ratio was the most useful as a screening test.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PG screening for gastric cancer were, respectively, 81.8% and 82%. The cut off point correlated with the type of intestinal cancer (Lauren classification; P=0.003), tumor stage (P=0.001), and gastric adenocarcinoma with peritumoral chronic atrophic gastritis (P=0.036). Conclusion: Serum PG levels were found to be a potentially useful screening test and to correlate with clinicopathologic factors in gastric cancer patients. But, in order to use serum PG found in a health checkup for gastric cancer as a clinical application a large scale study is recommended.

      • KCI등재

        고려 사원의 영건배경

        류형균 중앙문화재연구원 2007 중앙고고연구 Vol.0 No.3

        고려의 국교는 불교였으므로 전국에 많은 사원이 건립되었다. 최근 고려 사원유적에 대한 발굴조사가 상당히 진행되고 있는데, 이를 체계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사원의 영건배경을 여러 측면에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역사적으로 고려 전기에는 왕권강화를 위해 교종과 선종의 통합정책을 추진하였고, 국사·왕사제도를 마련하여 왕권의 신성화도 모색되었다. 후기에 사원은 대규모 농장을 경영하거나 대부업에도 관여하여 많은 문제를 야기하였다. 사회·경제사적 측면에서 영선조직은 공부와 장작감이 중심이었고, 임시기구로 도감이 있었다. 공부는 장적을 근거로 장인들을 동원하였으며, 장인은 일정 기간 의무적으로 복무하였다. 사원경제는 토지를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사원전은 주로 사원에 예속된 수원승도들에 의해 경작되었다. 국가 주도로 영건된 사원은 호국과 원찰의 기능이 중요시 되었고, 개인에 의해 영건된 사원은 재산을 희사한 경우가 많으며 통과의례 등의 기능을 수행하였다. 사상사적으로 선종과 풍수지리설의 영향하에 사원이 건립되었다. 고려시대에는 다양한 종파가 형성되었고, 국가적 행사는 교종계 사원에서 주관하였다. 후기에 기존 불교계의 자각과 반성에서 신앙결사가 이루어졌고, 고려 말에 성리학이 도입되면서 불교는 사상계의 주도적 지위를 넘겨주게 되었다. The state religion of Koryo dynasty was the Buddhism and innumerable Buddhist temples, as a result, had been constructed. Recently, many excavations of Buddhisttemples sites of Koryo dynasty are underway and it would be necessary to recognize the construction background of temples in various aspects for systematic understanding. Historically, the monarch promoted the integrating policy of Zen Buddhism and Non-Zen Buddhism for strengthening royal authority during the first part of the Koryo dynasty: there was the system for monks to nominate as the most Reverend priests or as advisors of kings and it was utilized also in order to enhance the royal holiness. Buddhist temples engaged in management of large farms or involved into loaning during the later period of the dynasty and it caused many social problems. Social and Economic point of view, Gongbu and Jangjakgam were responsible of temple construction and there was Dogam as a temporary organization. Gongbu mobilized artisans based on the register book and artisans have obliged to serve during certain term. Temple's finance was mainly related to the land and Buddhist monks, who were dependant to each temple, cultivated the land. The chief function of royal temples was to protect the nation(hoguk) and prays. By the way, private temples were built by the donation of individual fortune and they fulfilled initiation ceremonies. Philosophically, the construction of temples was influenced by Zen Buddhism and the geomancy. During the Koryo dynasty, various religious sects have been created but the Non-Zen Buddhism supervised the national ceremonies. Later Buddhist monks had self-awakening and the reconsideration and it originated many religious societies and the Sung Confucianism has been introduced in the end of the Koryo dynasty and the Buddhism lost the leading ideological status and turned it over the Sung Confucianism.

      • KCI등재

        고대와 고려 목탑지의 비교 연구

        류형균 한국고고학회 2012 한국고고학보 Vol.85 No.-

        Wooden pagodas, a form of symbolic Buddhist architecture, represent the level of civil engineering and construction of the time. This paper attempts to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wooden pagoda sites dating to the ancient period (prior to the Goryeo period) and the Goryeo period, based on detailed observation and analysis. Goguryeo temples equipped with a wooden pagoda were located, without exception, on flatland and many Baekje and Silla temples were also situated on flatland locations. Wooden pagoda sites have been also reported on flatland, rather than hilly land, locations. While all Goguryeo temples have an arrangement pattern consisting of a single pagoda and three main halls, most of Baekje temples consist of a single pagoda and a single main hall. Buddhist temples of the Unified Silla period equipped with wooden pagodas, as with those equipped with stone pagodas, evidence a dual pagoda and main hall arrangement. As Goryeo temples equipped with a wooden pagoda mostly demonstrate a single pagoda and single main hall arrangement, it is possible consider that there was some influence from Baekje temples. The base structure of the wooden pagodas have been found to be either octagonal or square in floor plan. With the exception of a few cases with octagon-shaped base structures, the majority of pagodas reported from Goguryeo, Silla, and Goryeo temple sites had square-shaped base structures. As the methods of preparing the pagoda platforms varied from temple to temple, it is difficult to clearly distinguish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ountry. During the ancient period, the main foundation of the wooden pagoda was largely prepared under the ground; it is only in a few cases that above-ground foundations were used. A similar pattern can also be observed for the Goryeo period.

      • KCI등재

        湖南地域 高麗 木塔址 硏究

        류형균 호서고고학회 2011 호서고고학 Vol.0 No.25

        A wooden pagoda site has been archaeologically reported from three temple sites, Saja-sa temple site in Yeongam, Manbok-sa temple site in Namwon, and Silsang-sa temple site in Namwon. These wooden pagoda sites were analyzed in terms of ground plan, stereobate, staircase, and main foundation. Attributes such as size, cornerstone, packed stones for putting cornerstone, and shape were considered in the examination of the ground plan. The sizes of the wooden pagoda sites were as follows: Silsang-sa temple(7kan by 7kan), Manbok-sa temple(5kan by 5kan), and Saja-sa temple(3kan by 3kan). The stereobate was examined in terms of its location and size, and building methods of its exterior and earth. Assembled stone stereobate type(Manbok-sa, Silsang-sa temple sites), building platform type(Saja-sa temple site). Characteristics of wooden pagoda site of Goryeo temple was analyzed examined in terms of location, arrangement, structure. The other temples adopted one pagoda and one Hall type placement. The wooden pagoda consists of three parts: lower (base), middle (body), and upper (head) parts. Along with a bronze piece, possibly a fragment of a flame-shaped decoration,stone materials of upper part were unearthed at Saja-sa temple site. The earliest wooden pagoda of Goryeo was that of Saja-sa temple site built in the 10th century and abandoned in the early Joseon, about 14th century. Wooden pagodas at Manboksa temple sites were built in the 11th century, and they seemed to have been maintained until the 13th or 14th century. Wooden pagodas at Silsang-sa temple sites were built in 12th century. A wooden pagoda at Silsang-sa temple site has been understood to be destroyed by Japanese invasion in the end of the 14th century. 호남지역에서 목탑지가 확인된 유적은 靈巖 師子寺址·南原 萬福寺址·實相寺등 3개소로 이들을 대상으로 平面·基壇·階段·心礎등으로 구분하여 樣相을 살펴보았다. 호남지역 고려 목탑지의 特性은 입지유형과 배치형식, 구조를 통해 검토해 보았다. 사자사지·만복사지·실상사 목탑지는 1탑1금당식이며, 만복사지는 목탑외에 석탑을 둔 별도의 구역이 존재하고 있어 二院竝列式또는 別院式배치였던 것으로 파악하였다. 목탑의 구조는 기단부·탑신부·상륜부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基壇部평면은 3×3칸, 5×5칸, 7×7칸의 규모로 다양하게 확인되었고, 평면형태는 정방형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塔身部는 기존의 복원연구를 통해 검토하였으며, 사자사지 목탑지에서 상륜부재가 확인되어 고려 목탑 相輪部의 형태를 유추할 수 있었다. 師子寺址목탑은 10세기경에 건립되어 14세기까지 존속하다 조선 전기 이전에 廢塔된 것으로 추정하였다. 11세기 무렵에 건립된 것으로 萬福寺址목탑을 들 수 있으며, 16세기 후반 丁酉再亂때 사원이 폐사되면서 목탑도 함께 폐탑된 것으로 추정되었다. 實相寺목탑은 12세기경에 건립되었다가 14세기말 倭寇의 침입으로 폐탑된 것으로 보았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