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프로아나(proana): 몸 정치성의 교란

        류지현(Jihyeon Ryu),조윤희(Yunhee Cho),원용진(Yong-jin Won)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2021 미디어, 젠더 & 문화 Vol.36 No.4

        이 연구는 거식을 삶의 방식으로 실천하는 프로아나를 보다 중층적으로 읽어내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는 기존 담론 질서가 프로아나를 치료가 필요한 ‘미성숙한’ 질환자로만 평평하게 재현하고 있다는 문제의식으로부터 출발한다. 연구자들은 프로아나를 가부장제 규범을 재생산하는 수동적 대상으로 단정 짓거나 추상적 차원에서의 저항적 주체로 상정하는 대신, 실제 이들이 내는 목소리를 가시화함으로써 가부장제 질서와 적극적으로 교섭하는 주체적인 존재로 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권력이 의도한 바대로 작동하지 않고, 그 내부에 거부와 저항, 전복의 가능성이 존재한다는 점을 지적한 버틀러의 수행성 개념을 경유했다. 연구는 2021년 1월부터 약 10개월 간 프로아나 트위터 계정과 카카오톡 오픈채팅방을 관찰‧기록하고, 오프라인에서 프로아나를 직접 만나 심층 인터뷰를 하는 과정을 거쳤다. 분석 결과, 프로아나는 크게 세 가지 범주에서 양가적인(응답/저항) 수행을 실천하고 있었다. 첫째, 프로아나는 미용산업이 주조한 욕망에 충실하면서도 자본주의적 자아실현을 비틀어 수용함으로써 자본이 호명한 ‘유연한 주체되기’로부터 미끄러지고 있었다. 둘째, 프로아나는 가부장제가 공인한 여성 이미지를 재생산하면서도 섹슈얼리티의 흔적을 삭제함으로써 비생산적 수행을 실천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프로아나들은 신체를 강박적으로 계량함으로써 가부장제 논리를 따라가는 한편 고통과 욕망을 가시화하거나 스스로를 질환자, 퀴어로 정체화하면서 반가부장적 수행을 실천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프로아나 거식 수행의 정치성에 주목하며 ‘몸’에 관한 기존 담론 질서를 확장하고자 시도했고, 고정된 의미들의 위치를 변경하는 프로아나의 전복적 수행성을 읽어낼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ad Proana, which understands anorexia as a way of life, more in layers. It starts from the recognition that the existing discourse order represents Proana flatly only as ‘immature’ patients who need treatment. The researchers wanted to see Proana as a subjective who actively negotiates with the structure by visualizing their voices, rather than defining proana as a passive object who reproduces patriarchal norms or discussing the meaning of the resistance at the abstract level. Therefore, Proana in this study was read via Butler"s concept of performativity, which points out that power does not always work as intended and implies the possibility of resistance and subversion inside. The study was conducted by observing and recording Proana Twitter accounts and Kakao Talk open chat rooms for about 10 months from January 2021, and meeting Proana offline for in-depth interview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Proana turned out to be practicing performative subversion in three main categories. First, Proana was faithful to the desires cast by the beauty industry, but at the same time accepted the capitalist self in distorted ways, slipping away from being a ‘flexible subject’ that capital called for. Second, Proana was practicing unproductive performance by deleting traces of sexuality while reproducing the female image recognized by the patriarchal system. Finally, Proana followed the logic of patriarchy by obsessively weighing the body, but also visualized pain and sexuality desire or anti-patriarchal practices by identifying themselves as patients and queers. This study attempted to expand the existing discourse order on the body by paying attention to the politics of Proana’s performativity, and was able to read the subversive performativity of proana, which changes the position of existing fixed meanings.

      • KCI등재

        지하철 공간의 여성 경험, 근대화에 던지는 하나의 의심

        방희경(Huikyong Pang),류지현(Jihyeon Ryu) 한국언론정보학회 2017 한국언론정보학보 Vol.83 No.3

        본 연구는 서울 지하철 공간을 경험해 온 한국 국적, 2∼40대, 서울 거주 여성의 자기기술지(autoethnography)를 통해 해당 공간이 여성에게 어떠한 ‘장소(place)’로 인식되는가를 밝힌다. 지하철 공간은 산업화·도시화·근대화 과정에서 국가 기획에 의해 탄생하여, 노동력을 수송하고 소비의 욕망을 자극하는 체제 기능적인 공간이다. 연구자들의 경험은 해당 공간이 안전과 효율성이라는 근대화의 논리를 확대하기 위해 ‘특성 없는 인간’ 주체를 요구하고 생산하는 ‘특성 없는 공간’이라는 점을 보여준다. 동시에 지하철 공간은 ‘가부장제’라는 전근대적 사회 질서와 연동하면서 공간 논리를 구축하고 있었다. 지하철 공간은 안전과 효율성이 달성될 수 있도록 우리의 신체를 규율화하는 수많은 규칙과 규율들을 제시하면서도, 젠더 평등 원리를 강조하는 교육에도 관심을 두지 않았고, 성범죄 예방 캠페인이나 처벌 문제에도 적극적인 태도를 보이지 않았다. 지하철 공간에서 여성은 남성중심질서와 맥을 같이 하는 성추행, 남성적 응시(gaze)의 대상화 등 억압을 일상적으로 경험하면서도, ‘정숙(貞淑)’과 ‘바른 행실’ 등과 같은 전통적인 관습이 신체에 내재되어 있는 탓에 자신의 주체성을 확장하는 데에 어려움을 보이고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하철 공간이 여성의 신체를 확장하기보다는 압축하고 축소시키는 ‘여성 억압적 장소’라고 해석하였고, 이를 통해 한국 사회의 근대화 원리에 의심을 던지고 있다. This study examines how women experience the space of the subway, the most representative transportation system in Seoul, to discover what meanings they attach to the space. The meanings formulate the space into a certain ‘place.’ This study uses auto-ethnography (suitable for disclosing women’s experiences) written by the two researchers-South Korean women in their 40s and 20s, who reside in Seoul. The researchers’ experiences reveal that the subway space demands and produces ‘men without quality’ by emphasizing safety and efficiency, the virtues of modernization. At the same time, it has constructed women oppressive space logics by not recognizing patriarchism and male-centrism, the premodern social norms, as problematic, and neglects to suggest issues like sexual assault and male gaze. Ironically, however, women in the subway space, constantly drawing from internalized patriarchal orders and traditional gender roles, tend to react in passive ways. Taking these rules and norms into consideration, this study understands the subway space, the function-oriented ‘non-place,’ as a women oppressive place, which raises doubts about modernization.

      • KCI등재

        신자유주의 시대의 도덕(적 해이) 담론 : 개인주의적 논리, 국가주의적 전략

        방희경(Huikyong Pang),류지현(Jihyeon Ryu) 한국언론정보학회 2021 한국언론정보학보 Vol.110 No.-

        ‘도덕적 해이’라는 경제학 용어는 신자유주의 도입과 함께 신문지면 전면에 배치되기 시작했다. 본 연구는 대중용어로 자리 잡은 ‘도덕적 해이’가 어떤 사안들과 접합되어 어떤 도덕적 인식을 확장해왔는지, 또 담론적 헤게모니를 쟁취하기 위해 어떤 전략을 활용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한국의 대표 보수 일간지 〈조선일보〉의 칼럼과 사설을 대상으로 비판적 담론 분석을 실시했다. 김대중 정권기부터 박근혜 정권기에 이르기까지 시장의 원리가 강화되는 동시에 사회복지 패러다임이 확장되고 있던 시기, 해당 언론은 ‘도덕적 해이’를 ‘복지정책’과 ‘공공서비스’ 관련 사안에 접합시키며 국가 역할의 축소를 주장하고 있었다. 이를 통해 능력에 따른 자원의 차별적 분배가 도덕적으로 정당하다고 보는 ‘능력주의(meritocracy)’ 이데올로기를 강조하고 있었으며, 개인이 모든 실패의 책임을 감당해야 한다는 ‘개인주의’ 논리를 도덕 지침으로 제시하고 있었다. 그런데 아이러니하게도, 도덕적 해이 담론은 능력주의와 개인주의라는 신자유주의 논리를 제시하면서도, 산업화시대의 잔재인 ‘발전주의’와 ‘국가주의’를 담론적 헤게모니 전략으로 활용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도덕적 해이 담론의 모순적 면모를 드러내며, ‘도덕’이란 사실상 ‘정치’임을 보여준다. Along with the introduction of neoliberalism to Korea, the economic term ‘moral hazard’ began to be placed on the front page of newspapers.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what moral perception the ‘moral hazard’ discourse has expanded, articulating other issues, and what strategies the discourse has used to achieve discursive hegemony. To this end, Critical Discourse Analysis was conducted for columns and editorials of Korea’s leading conservative daily newspaper, 〈Chosun Ilbo〉. As a result, it has been found that from the Kim Dae-jung administration to the Park Geun-hye administration, when market principles were strengthened and the social welfare paradigm was expanded, the media insisted on reducing the role of the state by articulating ‘moral hazard’ with ‘welfare policy’ and ‘public service’. By doing so, it emphasizes ‘meritocracy’ which sees discriminatory distribution of resources based on capacity as morally justified, and presents ‘individualism’ which sees that individuals should bear their responsibility for any failures as moral guidelines. Ironically, the moral hazard discourse presents the neoliberal logic of meritocracy and individualism, while using ‘developmentalism’ and ‘nationalism’, the legacies of the industrial era of Korea as discoursive hegemonic strategies. This study reveals such a contradictory aspect of the moral hazard discourse as well as shows that ‘moral’ is indeed ‘politics’.

      • KCI등재

        고령자가 경험하는 취업 준비 어려움에 대한 질적연구

        이아라(Lee, Ara),현지수(Hyun, Jisoo),류지현(Ryu, Jihyeon),이주영(Lee, Jooyoung) 한국열린교육학회 2019 열린교육연구 Vol.2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만65세 이상의 고령자들이 취업을 준비하면서 경험하는 어려움을 구체적으로 밝히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만65세 이상의 현재 취업을 준비하고 있는 고령자 14명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고, 수집된 자료를 현상학적 연구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분석 결과, 고령자들이 취업과정에서 경험하는 어려움은 총 8개 영역으로 나타났다. 고령자들은 취업시장에서 나이 때문에 취업기회가 제한되고, 주변 사람들과의 관계에서 도움이나 지지를 받고 있지 못하다고 지각하고 있었다. 또한 고령자 들은 실질적인 경제적 어려움을 경험할 뿐 아니라, 자신의 노력이 환경을 나아지게 하는데 아무 소용이 없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이에 더해 고령자들은 자신의 취업 역량이 부족하다고 생각하지만 새로운 것을 배우는 것이 두려움을 느끼고, 소극적으로 취업 준비를 하게 된다고 보고하였다. 마지막으로 고령자들은 취업과 관련하여 체면을 내려놓는 것과 관련된 어려움을 호소하였으며, 우울과 소외감, 수치심과 분노 등의 다양한 부정적 정서를 경험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고령자의 취업 관련 어려움의 현상을 드러내고자 하였고, 이에 기반하여 고령자 심리교육과 취업지원에서의 개입 시사점과 후속 연구의 방향성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eply understand the difficulties associated with the preparation of employment for seniors who are over sixty-five years old. In order to achieve this aim, the study interviewed fourteen participants who were over sixty-five years old, and then analyzed collecting script by phenomenological method. As a result, there were eight domains in the difficulties which participants experienced on the process of employment. They were confronted with opportunity restrictions because of the age restriction, the perceived lack of support from everyone around them, or the difficulties of asking for help from others. They reported real financial hardship, the uselessness of their own efforts, and the loss of control on environmental change. Also, they thought that their competencies for employment were lacking, and they prepared for employment passively. Lastly, they complained of the difficulties related with compromising themselves or ruining their image during the job search process. Many experienced a variety of negative emotions including depression, a sense of alienation, humiliation, and anger.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demonstrated the phenomenon of difficulties associated with job searching by graphics, discussed the implications for psychological intervention to help seniors, and the possible direction for future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