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하공간통합지도의 체계적인 관리를 위한 제도 개선 방향 연구

        류지송 ( Jisong Ryu ),장용구 ( Yonggu Jang ),박동현 ( Donghyun Park ) 한국지리정보학회 2023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26 No.4

        지하공간통합지도는 7종의 지하시설물, 6종의 지하구조물, 3종의 지반을 포함한 16종이 하나로 통합된 3차원의 지도이다. 지하공간통합지도의 체계적인 구축·관리·활용을 위해「지하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으로 제도화 되었다. 그러나 지하공간통합지도 갱신 자동화 기술 등 새로운 기술의 개발과 지하공간통합지도 활용성 확대를 위한 제도적 장치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하공간통합지도의 현황을 살펴보고「지하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의 개정방안과 세부 운영관리규정(안)을 통해 현행 제도의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했다. 개선방향은 크게 3가지로 지하공간통합지도의 제출 창구를 명시화 하고 운영관리규정을 통해 절차를 세분화함으로써 업무의 혼란을 줄일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지하공간통합지도 활용 의무대상 사업의 공간적 제약에 대한 내용을 삭제함으로써 모든 굴착공사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 이와 같은 개선 사항이 제도적으로 반영된다면 디지털트윈 국토의 핵심정보로 지속적인 활용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integrated underground space map is a three-dimensional map that integrates 16 types, including 7 types of underground facilities, 6 types of underground structures, and 3 types of ground. In order to systematically construct, manage, and utilize the integrated underground space map, it was institutionalized as the “Special Act on Underground Safety Management,” and the “Underground Space Integrated Map Production Work Regulations” was prepared as detailed work regulations. However, there is a lack of institutional mechanisms to develop new technologies such as the completed book submission system for submitting change information and automation technology for updating the integrated underground spatial map and to expand the usability of the integrated underground spatial map. Accordingly, this study examined the current status of the integrated underground space map and attempted to suggest a direction for improving the current system through a revision plan and detailed operation management regulations (draft) of the Special Act on Underground Safety Management.

      • SCOPUSKCI등재

        국가 데이터 표준모델 기반 지하시설물 정보 품질확보 방안 연구

        류지송(Ryu, Ji Song),장용구(Jang Yong Gu) 한국측량학회 2023 한국측량학회지 Vol.41 No.6

        2023년부터 지하시설물 정보를 수집하던 방식이 지하시설물 관리기관이 제출하는 방식에서 활성화 되었다. 제출방식은 정보의 변동이 발생한 시점부터 30일 이내에 지하정보통합체계의 준공도서제출시스템을 통해 국가 표준모델로 제출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업무환경의 변화에 따라 지하시설물 관리기관이 국가 표준모델로 변환하여 제출하는 업무프로세스를 정립하고 이를 기반으로 신속한 제출이 가능한 기술을 개발하여 품질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했다. 국가 데이터 표준모델에 대하여 조사 및 분석을 수행하였고, 지하시설물 관리기관의 데이터 모델을 분석하였다. 이후 지하시설물 관리기관의 자체 데이터베이스 형식을 국가 데이터 표준모델로 변환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은 연구 당시 지하시설물 관리기관의 데이터 모델을 토대로 만들어졌다. 따라서 실제로 현장에서 활용하기 위해서는 최신 데이터모델을 지속적으로 반영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여야 한다. From 2023, the method of collecting information on underground facilities was replaced by the method of submission by underground facility management agencies. Accordingly, in this study, in response to changes in the work environment, an underground facility management agency establishes a work process to convert and submit a national standard model, and based on this, presents a plan to secure quality by developing technology that enables rapid submission. We conducted research and analysis on the national data standard model, and analyzed the data model of the underground facility management agency. Afterwards, a program was developed to convert the underground facilities management agencys own database format into a national data standard model. The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was created based on the data model of the underground facility management agency at the time of the study. Therefore, in order to actually utilize it in the field, a plan must be prepared to continuously reflect the latest data model.

      • KCI등재

        3차원 정밀탐사 지하시설물 정보 수집 기술 개발

        류지송 ( Jisong Ryu ),장용구 ( Yonggu Jang ) 한국지리정보학회 2023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26 No.4

        지상공간의 확보를 위해 도시정비사업, 재개발사업, 고속도로 지하화 등의 굴착공사가 수반된 건설공사가 증가하고 있다. 더불어 이런 건설공사 또는 자연의 영향으로 인해 지하수위가 변동되거나, 노후 상하수도 관로로 인한 토사유출이 원인이 되어 지반함몰이 발생하는 등의 안전사고가 증가하고 있다. 지하시설물 관리기관은 강화된 지하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지속적인 조사와 탐사를 통해 지하정보의 정확도 향상을 위한 노력을 수행해야 하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하시설물의 정확도 확보를 할 수 있도록 3차원 정밀탐사 지하시설물 정보 수집을 위해 장비의 구성과 데이터 처리방식을 정의한다. 그리고 3차원 지하시설물 정보 수집 기술을 개발한다. 이후 개발된 기술을 검증한 결과 수평정확도가 기존 방식 대비 오차를 평균 6㎝ 가량 향상시켜 공공측량작업규정의 오차범위 이내의 3차원 지하시설물 정보를 취득할 수 있었고, 수직정확도는 기존과 동일한 수준을 확인한다. 향후 본 연구에서 제안한 차량형 3차원 지하시설물 정보수집기술을 활용한다면, 공공측량 성과심사를 득할 수 있는 수준의 지하시설물 정보를 신속하게 대량으로 취득할 수 있는 수집체계 구축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Safety accidents are increasing, such as changes in groundwater levels due to construction work or natural influences, or ground cave-ins caused by soil runoff from old water supply and sewage pipes. In addition, underground facility management agencies must make efforts to improve the accuracy of underground information through continuous investigation and exploration in accordance with the Special Act on Enhanced Underground Safety Management. Accordingly, in this study, we defined the configuration of equipment and data processing method to collect 3D precise exploration underground facility information and developed 3D underground facility information collection technology to ensure accuracy of underground facilities.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developed technology, the horizontal accuracy improved by an average of 6cm compared to the existing method, making it possible to acquire 3D underground facility information within the error range of the public survey work regulations.

      • KCI등재

        지하정보 정밀탐사를 위한 GPR 데이터 위치정확도 개선 방안

        류지송 ( Jisong Ryu ),장용구 ( Yonggu Jang ),박동현 ( Donghyun Park ) 한국지리정보학회 2021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24 No.3

        지하정보는 육안으로 확인이 어려워 안전사고가 발생할 경우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최근 국토교통부는「지하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재정을 통해 지하매설물의 노후화 또는 파손으로 인해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줄이고자 한다. GPR은 육안으로 확인이 어려운 지하공간의 정보를 습득하는 기술로 활용이 많아지고 있다. 그러나 GPR의 위치정보는 탐사 중 습득된 GPS 정보와 영상을 확인하여 보정한다. 이 방식은 평균 오차가 2m 정도 발생한다. 따라서 평면오차를 감소시킬 방안으로 LiDAR를 통한 보정법을 제시했다. 또한 제시된 방법을 활용하여 GPR정보를 보정하였다. 그 결과 오차가 최소 7㎝에서 최대 40㎝ 수준으로 감소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향후 수집된 정확도 높은 GPR 정보를 AI 등을 활용하여 신속하게 분석한다면 현재보다 더 빠르게 지하정보를 수집하고 활용하여 안전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Underground information is difficult to visually check, which can lead to a huge accident in the event of a safety accident. Recently,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intends to reduce safety accidents caused by the aging or damage of underground facilities through the Special Act on Underground Safety Management. GPR is increasingly being used as a technology to acquire information in underground spaces that are difficult to see with the naked eye. However, GPR's location information is corrected by checking images of CCTV and GPS information acquired during exploration. This method has an average error of about 2 meters. In this works, We used LiDAR to calibrate the GPR information and found that the error was reduced from at least 7㎝ to up to 40㎝. If accurate GPR information collected in the future is analyzed quickly using AI, etc., it will be able to collect and utilize underground information faster than it is now to secure safety.

      • KCI등재

        3차원 공간정보 관리를 위한 십사면체 기반 가상지구 모형

        류지송(Ryu, Ji Song),신동빈(Shin, Dong Bin) 대한공간정보학회 2021 대한공간정보학회지 Vol.29 No.1

        현실정보를 가상공간에 구축 할 때 연속성을 가지면서 정확하고 정밀하게 저장 및 관리하기 위한 목적으로 최근, 정육면체, 십이면체 등 입체도형을 활용하는 연구들이 수행되어 왔다. 그러나 타원형인 지구와 정보를 정확하고 정밀하게 저장, 관리하기 위해서는 정육면체와 십이면체의 특성으로 부족하다. 따라서 정육면체와 십사면체의 한계를 극복하고 가상지구의 공간을 균등하게 분할하여 위치를 참조할 수 있는 모형을 제시하고자 했다. 가상지구를 균등하게 분할하기 위한 다면체로 십사면체가 사용되어야 하는 이유를 정육면체, 십이면체와 비교를 통해 제시했다. 비교결과 십사면체는 통로구조의 직선적인 표현과 곡선의 표현이 모두 가능하고, 동일한 부피의 공간을 더 세밀하게 분할할 수 있었다. 이러한 십사면체의 특성을 바탕으로 십사면체 기반 가상지구 모형을 제시했다. 이 가상지구 모형은 공간을 균등하게 분할하고 3차원 공간정보를 저장, 관리하기 위한 위치참조체계로써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Recently, research in the field of spatial information was conducted on ways to utilize stereoscopic shapes such as cubes and dodecahedrons to have continuity and use them precisely when real-world information was built in virtual space. However, to store and manage the ellipsoid earth and its information accurately and precisely, the properties of cubes and dodecahedrons are not enough. In this study, show how discrete to 3D the space of a virtual earth representing real-world information and refer to its location. First of all, presented a model for dividing the virtual earth using tetradecahedrons and a reason why it should be used to divide equally. Through comparison of cubes, dodecahedrons, tetradecahedrons suggests a reason for the use of tetradecahedrons. Results of comparisons show that tetradecahedron can represent linear continuity and curves, and can segment the same space more precisely and detail than a cube.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etradecahedrons, suggested the Tetradecahedrons Virtual Earth(TVE). This model will feasible utilized as georeference system for managing, storing 3D spatial dat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