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근래의 상용직 비중 변화에 대한 동태적 분석 : A Dynamic Analysis

        류재우,김재홍 한국노동경제학회 2001 勞動經濟論集 Vol.24 No.1

        우리나라의 고용구조에는 근래에 몇 가지 커다란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데, 본 연구는 그 중에서 상용직 노동자 비중의 변화에 대하여 동태적인 측면에서 조명하였다. 먼저, 1990년대 중반 이후의 상용직 비중의 급격한 감소는 젊은 층의 경우는 주로 상용직으로의 진입확률의 감소에 의해, 그리고 장·노년층의 경우에는 주로 상용직으로부터의 이탈확률 증가에 의해 일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용직과 여타 노동력 상해간의 '단절' 현상이 강화되어 온 가운데, 상용직으로 가기 위한 중간 단계로서의 임시직의 역할이 감소해 온 것으로 나타났다. 노동력 상태간 이행확률의 변화가 상용직 비중의 변화에 미친 효과의 분석에서는, 1990년대 초반까지의 상용직 비중 증가는 주로 상용직 이탈확률의 감소에 의해, 그리고 그 이후의 상용직 비중 감소는 주로 상용직 이탈확률의 증가에 의한 것임이 확인되었다. This paper attempts to account for the recent decline in the share of 'regular employees' among total employees. It finds, among other things, that the decline which began in 1993 is not associated with the changes in the composition of the worker groups that have differing tendency to work as regular employees. Overall, the decline in the share of regular employment is mainly due to the workers' increased transition probability out of 'regular employment', with the exception of the younger workers for whom the decrease in the rate of entry into 'regular employment' has also been an important reason of such a decline.

      • KCI등재
      • KCI등재

        과학기술 인력의 노동시장 성과 및 근래의 변화

        류재우 한국노동경제학회 2004 勞動經濟論集 Vol.27 No.1

        근래에 우리나라에는 이공계 기피현상이 사회적 이슈로 떠오르고 있는데, 본 연구는 4년제 대학의 과학기술계열 전공 이수자들의 경제적 지위 및 그의 근래의 변화를 여타 전공 이수자와 비교 분석하여 그 같은 '기피'현상의 경제적 근원을 추론하고자 하였다. 1998년에서 2002년까지의 KLIPS 자료의 분석 결과, 과학기술 인력의 고용상의 지위는 큰 변화가 없었으며 부분적으로 상승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 측면에서는 이공계 출신은 임금프리미엄을 거의 받지 못하고 있으며 특히 자영소득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평생소득도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시간상으로는 상대소득에 있어서의 추세적인 변화는 발견되지 않았다. 다만 최상위 5% 소득계층에 있어서 이공계 출신의 상대소득이 하락해 온 것이 확인되었다. 이같은 결과는 소득 효과를 인한 이공계 직종에 대한 보상적 격차 요구수준의 증대와 이공계 출신자(특히 능력 분포상 최상위 계층)에 대한 낮은 상대소득이 이공계 기피현상의 근본 원인임을 제시한다. This paper attempts to find out the economic roots of the increasing tendency not to choose the sc ience and engineering (S&E) fields in the colleges. The analysis shows that the relative economic position of the S&E graduates measured in terms of employment quality i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the non-S&E graduates. Bu t the S&E graduates earn relatively low wage and self-employment income. Furt hermore, the relative income of the top 5% bracket of the S&E graduates h as been declining in the recent five years. The paper concludes that low relative i ncome of the average S&E graduates as well as the increasingly lower relative income of the most able S&E personnel, coupled with the increasing compensa ting differential required for the S&E jobs, is the main reason for the 'avoida nce' phenomenon of the S&E fields.

      • KCI등재

        임금수준 및 기업특성과 산업기술인력 부족률

        류재우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사회과학원 2014 사회과학연구논총 Vol.4 No.-

        산업기술인력 부족 문제는 임금이 낮은 기업일수록 심할 것으로 예측되지만 기존 연구에서는 그러한 관계가 발견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실질적이고 심각한’ 인력부족을 겪을 가능성은 임금이 낮을수록 크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나아가 임금의 내생성 문제를 고려한 추정에서 부족률 자체도 임금수준과 역관계에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산업기술 인력의 부족은 임금 및 근로조건이 열악한 중소업체에 집중되어 있는 것으로서 이공인력의 공급 증가로 해결될 문제는 아님을 제시한다. This paper analyzes the factors that determine the shortage rates of science and engineering (S&E) personnel. Economic theory predicts that the shortage rate would be negatively related to the wage level. Yet previous research has failed to establish such a relationship. This paper focuses on the firms that show high rate of shortage, and finds that the probability of experiencing such a ‘serious’ shortage is significantly higher for low paying firms.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shortage’ problem is essentially the one of small- and medium-sized firms with relatively low wage, which cannot be resolved simply by increasing the supply of S&E graduates.

      • KCI등재

        공공디자인으로서의 그래피티(Graffiti) 역할에 관한 연구

        류재우,이미정 한국일러스트레이션학회 2007 일러스트레이션 포럼 Vol.15 No.-

        화려한 뉴욕 도시 이면의 빈민가에서 젊은 흑인들의 소외감을 회화의 형식으로 표현되기 시작한 것이 그래피티(Graffiti)이다. 그래피티는 힙합문화의 회화적 요소이며, 힙합문화의 발생과 발전역사가 중요한 배경이 된다. 1990년대 힙합문화의 국내 유입과 함께 시도된 그래피티는 작품 창작의 역사가 짧지만 현대 미술의 중요한 한 장르로 인정받고 있으며, 새로운 단계로 도약하고 있다. 유럽과 미국의 유명작가들은 국가가 요구하는 장소에 그림을 그리고 개인전을 열기도 하며 그래픽 디자이너로서의 활동도 꾀하고 있다. 이에 반해 국내에서 그래피티 아트를 접할 수 있는 곳은 그리 많지 않다. 홍대 앞을 제외하고는 공식적으로 그래피티가 허용되는 곳은 많지 않다. 홍대 앞 이외의 공간에서 감상할 수 있는 그래피티 중 상당수는 이름 없는 그래피티 아티스트가 모진 비난과 처벌의 위험을 감수하고 밤을 새우며 몰래 그린 작품들이다. 황폐한 모습으로 방치된 대중공간들이 여전히 존재하는 이상 대중의 문화적 소양 확대와 관의 지혜로운 처신이 무엇보다 필요한 시점이 아닌가 생각된다. 따라서 본 논문은 최근 그래피티 작가의 활동이 활발한 뱅크시, 키스 헤링, 바스키아 등의 작품뿐만 아니라 국내 작가의 활동 및 그래피티를 접목한 이벤트 등 사례를 분석하고 공공디자인으로서의 그래피티의 역할을 모색하고자 한다. It is graffiti that young black people in the Harlem area, the seamy of the splendid image of New York, started representing their sense of alienation through the form of painting. Graffiti is a pictorial factor of Hip-hop culture, and the origin of Hip-hop culture and its history of development are the important background of graffiti. During the 1990's, in company with the inflow of Hip-hop culture, graffiti was attempted. Although it has a short history, it is recognized an important genre of modern art and is jumping to a new step. Famous artists in Europe and the United States paint on the place where their nations request, exhibit as well, and are trying to the activities as a graphic designer.On the contrary, there are not many places to access graffiti art in Korea. Except the front areas of Hongik University, graffiti is not officially allowed in many places. Considerable numbers of most graffiti artworks, which people can appreciate in space other than the front areas of Hongik University, were painted by anonymous artists, who created them stealthily while sitting up all night and taking cruel criticism and the risk of punishment. As long as neglected public space with devastative images still exist, it is thought that it is a time the cultural attainments of the general public and the wise conduct of the government are needed above all.Accordingly, this paper aims at analyzing cases, that is, the artworks of Banksy, Keith Haring, Basquiat, who are vigorously active in graffiti art activities as well as the artworks of artists in Korea, and events harmonious with graffiti, and seeking to the role of graffiti as public design.

      • KCI등재

        임금수준 및 기업특성과 산업기술인력 부족률

        류재우 이화여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4 사회과학연구논총 Vol.30 No.1

        This paper analyzes the factors that determine the shortage rates of science and engineering (S&E) personnel. Economic theory predicts that the shortage rate would be negatively related to the wage level. Yet previous research has failed to establish such a relationship. This paper focuses on the firms that show high rate of shortage, and finds that the probability of experiencing such a ‘serious’ shortage is significantly higher for low paying firms.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shortage’ problem is essentially the one of small- and medium-sized firms with relatively low wage, which cannot be resolved simply by increasing the supply of S&E graduates. 산업기술인력 부족 문제는 임금이 낮은 기업일수록 심할 것으로 예측되지만 기존 연구에서는 그러한 관계가 발견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실질적이고 심각한’ 인력부족을 겪을 가능성은 임금이 낮을수록 크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나아가 임금의 내생성 문제를 고려한 추정에서 부족률 자체도 임금수준과 역관계에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산업기술 인력의 부족은 임금 및 근로조건이 열악한 중소업체에 집중되어 있는 것으로서 이공인력의 공급 증가로 해결될 문제는 아님을 제시한다.

      • 디지털 경제의 도래와 노동시장의 변화

        류재우 국민대학교 경제연구소 2001 국민경제연구 Vol.24 No.-

        본고에서는 디지털 혁명에 따른 노동시장환경의 변화와 그에 따른 노동시장 성과의 변화를 조망한 다음 인적자원 관리와 관련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디지털 경제에서는 정보비용 및 일반적인 거래비용의 획기적인 감소에 따라 생산조직에의 연성화, 수평화가 진전되며, 노동수요의 이동성과 변동성이 확대된다. 이에 따라 비정규직 노동자 비중이 증대하고 내부노동시장이 약화되며 평생직장 개념은 퇴조하게 된다. 숙련 획득 및 향상에 있어서의 기업의 역할도 축소된다. 이 같은 새로운 환경하에서는 각 개인은 평생학습을 통해 평생고용성을 확보하는 것이 당연한 과제가 되며 국가의 인적자원 관리에 있어서 중요한 과제는 효율적인 평생교육체계 및 창조적이고 국제적인 감각을 갖춘 인적자원을 양성하는 교육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된다. This paper gives a perspective on the impact of the emergence of digital economy on the labor market. A drastic decrease in the transaction cost including information cost that has been enabled by the digital revolution provides an environment where temporary that has been enabled by the digital revolution provides an environment where temporary or fluid firms or firms with flat organization proliferate. It also greatly increase the mobility as well as volatility of labor demand. These lead to the weakening of internal take an active role in building a life-long education system through which an individual can upgrade his/her skill to maintain life-long employability.

      • 경기변동과 고용 및 임금의 변화

        류재우 국민대학교 경제연구소 1997 국민경제연구 Vol.20 No.-

        본 연구는 경기변동에 따른 노동시장의 변화 양태를 분석한다. 먼저 생산활동 수준의 변동은 임금의 경우에는 남자에게 더 큰 효과를 미치고 고용의 경우에는 여자에게 약간 더 큰 효과를 미치고 있음이 발견되었다. 또한 경기 변동은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에 유의한 양의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지만 남자의 경우 그같은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다. 이들 결과는 남자의 노동공급이 여자의 그것에 비해 비탄력적이며, 따라서 노동수요의 증가는 남자의 경우 곧바로 임금 상승 압박으로 작용을 하지만 여자의 경우는 임금 상승보다는 고용의 증대로 이어진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한편 경기변동에 따른 실업률의 변동은 여자의 경우가 더 작은데 이는 여성의 노동시장 정착도가 상대적으로 작다는 점을 보여주는 것으로 해석된다. This paper finds that economic fluctuations at the aggregate level initiate greater wage changes for the male workers than for the female workers. The converse is true for the impact of the business fluctuations on the employments an the participation rates. These indicate that the elasticity of labor supply is smaller for the male work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