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통적인 효의식과 아들선호사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윤현숙(Yoon, Hyun-Sook),류삼희(Ryu, Sam-Hee) 한국노년학회 2005 한국노년학 Vol.25 No.3

        본 연구는 노인의 전통적인 효의식과 아들선호사상의 정도를 파악하고, 65세 이상의 노인과 45-64세 장년층의 효의식과 아들선호사상을 비교하여 세대간 차이를 파악하며, 그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가정방문을 통한 면접조사를 통해 서울 및 춘천 지역 45세-64세 장년층 성인 703명(평균연령: 55.8세)과 65세 이상 노인 1,826명(평균연령: 74.6세)을 대상으로 조사가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첫째, 현세대 노인은 전통적인 효의식과 아들선호사상을 여전히 강하게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두 집단간에 효의식과 아들선호사상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명확히 알 수 있었다. 둘째, 노인의 전통적인 효의식은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가 나쁠수록, 배우자와의 관계가 좋을수록 전통적인 효의식이 높아지고 자녀로부터의 부양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노인의 연령이 높을수록 전통적인 자녀부양기대가 높은 반면, 노인의 교육정도가 높을수록, 자녀수가 많을수록 자녀로부터의 부양기대는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노인의 아들선호사상은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가 나쁠수록, 자녀와의 관계가 좋을수록, 동거 가족수가 많을수록, 연령이 높을수록, 노인의 교육정도가 낮을수록, 노인이 직업을 가지고 있는 경우, 노인이 아들을 둔 경우, 유의미하게 높아지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xtent to which the Korean elderly view their children as desired sources of support-filial responsibility expection, to compare filial responsibility expectation and preference for son of the elderly with those of middle aged 45 to 64, and to examine the factors associated with filial responsibility expectation and preference for son of the elderly. The date for this study came from the Survey on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in Korea, conducted by the Institute for Aging Studies at Hallym University. Through stratified multi-stage random sampling, 1,826 non-institutionalized individuals aged 65 and over, and 703 aged 45 to 64 who lived in Seoul and Chunchon were selected. The data was analyzed using multiple regression to examine the factors associated with filial responsibility expectation of elderly. The results show that the elderly more expect filial responsibility and higher prefer son than the middle-aged. If the elderly have worse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better relationships with their spouses, they expect more filial responsibility. This study suggests some important implications on policy for the elderly.

      • KCI등재

        장기요양보호노인 가족수발자의 수발부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윤현숙(Yoon, Hyun-Sook),류삼희(Ryu, Sam-Hee) 한국노년학회 2007 한국노년학 Vol.27 No.1

        본 연구는 장기요양보호노인의 가족수발자를 배우자와 자녀로 나누어 수발부담의 정도와 영향요인을 비교분석하여 그 차이를 파악하고, 부담을 줄여 줄 수 있는 구체적인 개입방법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서울시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요 보호노인을 주로 돌보는 배우자나 자녀 404사례를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연구분석틀은 Pearlin과 그의 동료들에 의해 제시된 스트레스과정 모델에 기반 하였고 분석방법은 공분산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배우자가 수발부담의 모든 영역에서 유의미하게 자녀보다 더 부정적인 경험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수발부담에 영향을 주는 변수들을 통제한 후에는 배우자와 자녀의 수발부담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그리고 배우자 수발자는 노인의 신체기능과 인지기능의 손상정도, 수발기간 그리고 사회적 지원이 수발부담의 전 영역에서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않았으나, 자녀는 노인의 인지기능 손상정도가 사회적, 그리고 정서적 부담에, 수발기간은 재정적 부담에, 사회적 지원은 재정적, 사회적 그리고 정서적 부담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주고 있었다. 본 연구는 노인수발 정책에 중요한 함의를 제시하고 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magnitude and the predictors of caregiving burden among spouse and adult child caregivers of frail elders to understand the differences of them between two groups(spouse and adult child caregivers), and to show the detail interventions to alleviate the burden. We analyzed the data which obtained from 404 primary family caregivers(spouse or adult children) caring the frail elders aged 65 and over who lived in Seoul. This research is utilizing the stress process framework(Pearlin et al., 1990) specialized for the caregiving experience based on the stress and coping model's focus on the stress process. The results show that spouse caregivers experienced worse in all the areas of caregiving burden than adult child caregivers did. After controlling the variables affecting the burden, there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evel of caregiving burden between spouse and adult child caregivers. And the findings show that the predictors of caregiver burden were different for two groups. The factors were not significant in all the areas of burden for the spouse caregivers, such as elder's physical disorders, elder's cognitive impairments, caregiving duration, and social supports, but for the adult children, significant was elder's cognitive impairments in social and emotional burden, caregiving duration in financial burden, and social supports in financial, social, and emotional burden. This study suggests some important implications on policy for the elder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