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체성분 구성의 차이에 따른 프로포폴과 로큐로니움의 약리학적 효과 비교

        두아람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655

        배 경: 본 연구는 체성분 구성에 따라서 마취약제 중 가장 대표적인 지용성 약물과 수용성 약물인 프로포폴과 로큐로니움의 약리학적 효과가 어떻게 변화 하는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모든 연구대상자는 생체전기저항분석법을 이용하여 체성분을 정량적으로 측정하도록 하였다. 프로포폴 연구의 대상자는 18–75세, 부위 마취 상태에서 정형외과적 수술이 예정된 62명의 환자를 등록하였다. 성공적인 부위 마취가 이루어졌음을 확인한 후, 수술 중 환자의 진정을 위해 프로포폴 투여를 시작하였다. 모든 연구대상자에서 동일한 방법으로 프로포폴을 목표농도조절주입 펌프를 이용하여, 최초 목표 혈장 농도 1.5 µg/ml 으로부터 시작하여 4분 간격으로 0.5 µg/ml 씩 단계적으로 증량하면서 지속주입하였으며, 환자의 의식소실이 발생하는 시점의 효과처 농도 (CeLOC) 를 기록하였다. 또한, 의식소실에 이르기까지 투여된 총 프로포폴의 체중 당 환산 용량 (mg/kg) 및 의식소실 발생 시점의 이중분광계수 (BISLOC) 를 기록하였다. 수술 종료 직후 프로포폴의 지속 주입을 중단하였으며, 주입 중단으로부터 의식이 회복되기까지 걸린 시간 (TROC), 의식회복 시 프로포폴의 효과처 농도 (CeROC) 및 이중분광계수 (BISROC) 를 기록하였다. 연구대상자를 체성분 분석으로 도출된 체지방률 (%) 에 따라 fatty group 과 non-fatty group 으로 분류하여, 두 군간에 프로포폴의 약리학적 지표에 차이가 있는지 비교 분석을 시행하였다. 로큐로니움의 연구는 18–75세의 정규 수술이 예정된 11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표준화된 마취 방법으로 마취 유도 중 총 체중 당 1.0 mg 의 로큐로니움을 빠르게 주입한 후, 신경근기능 감시를 위해 15초 간격으로 사연속자극 (train-of-four; TOF) 을 가하면서 근이완의 발현과 회복에 대한 특성을 측정하고 기록하였다. 로큐로니움의 발현시간은 로큐로니움 주입 직후로부터 사연속자극의 첫번째 연축의 높이가 95%까지 감소하는 시간 (Tdep95) 및 사연속자극에 연축반응이 전혀 발생하지 않을 때 (TOF 0) 까지 걸린 시간 (TTOF0), 지속시간은 사연속자극의 첫 연축의 높이가 기준치의 25% 까지 회복하는데 걸린 시간 (TDUR25), 최초로 첫번째 또는 네번째 연축이 발생 (TOF 1 또는 4) 하기까지 걸린 시간 (TTOF1, TTOF4) 으로 정의하였다. 대상자를 muscular group 과 non-muscular group 으로 나누었고, 두 군간에 로큐로니움의 약리학적 지표를 비교하였다. 결 과: 프로포폴의 CeLOC (µg/ml) 는 남녀 모두에서 fatty group 이 non-fatty group 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 (남성: 3.4 ± 0.4 vs. 3.8 ± 0.4, P = 0.034, 여성: 3.1 ± 0.4 vs. 3.9 ± 0.7, P < 0.001). 또한, 의식소실에 이르기까지 투여된 총 프로포폴의 체중당 환산 용량 (mg/kg) 도 남녀 모두에서 fatty group 이 non-fatty group 에 비해 유의하게 적었다. 의식회복과 관련한 지표는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로큐로니움의 발현시간 (Tdep95, TTOF0) 은 남녀 모두에서 두 군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근이완의 회복과 관련하여서는, 로큐로니움의 지속시간은 남녀 모두에서 muscular group 과 non-muscular group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TDUR25 (min) 은 남녀 모두에서 muscular group 이 non-muscular group 에 비해 유의하게 짧았다 (남성: 61.8 ± 11.9 vs. 71.0 ± 14.8, P = 0.032, 여성: 65.3 ± 9.3 vs. 78.3 ± 19.9, P = 0.007). 또한, TTOF1 및 TTOF4 (min) 도 각각 남녀 모두에서 muscular group 이 non-muscular group 에 비해 유의하게 짧았다. 결 론: 프로포폴과 로큐로니움의 약리학적 효과는 환자의 체성분 구성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생각된다. 체지방률이 높은 환자는 진정을 위한 프로포폴의 목표농도조절주입 시 목표농도가 감소될 수 있다. 로큐로니움을 총 체중에 기준하여 투여할 때, 골격근량이 상대적으로 적은 경우 신경근 이완 효과가 연장될 수 있다. Background: This prospective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body composition on the pharmacologic effects of propofol and rocuronium, as representative anesthetics with high lipid and water solubility, respectively. Materials and Methods: All participants underwent bioelectrical impedance analysis for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body components. In propofol study, 62 patients aged 18–75 years who were scheduled to undergo orthopedic surgery under regional block were enrolled. Following successful regional block, propofol was infused for sedation, with a target-controlled infusion (TCI) pump, and the target plasma concentration was increased stepwise by 0.5 µg/ml to reach loss of consciousness (LOC) from the initial concentration of 1.5 µg/ml. The effect-site concentration of propofol at LOC (CeLOC), BIS value at LOC (BISLOC), and the total infused dose of propofol per TBW (mg/kg) until LOC were recorded. At the end of the surgery, the infusion of propofol was stopped. The elapsed time to recovery of consciousness (TROC), the effect-site concentration of propofol at ROC (CeROC) and BIS value at ROC (BISROC) were recorded. These pharmacologic data were compared between fatty and non-fatty groups allocated by the patients’ percent body fat (%). In rocuronium study, 115 patients aged 18–75 years were enrolled. During anesthesia induction, rocuronium 1.0 mg/kg of TBW was injected followed by neuromuscular monitoring using TOF stimulation every 15 seconds. The onset time of rocuronium included the elapsed time from the rocuronium injection until 95% depression of T1 (Tdep95) and the time to no response to TOF stimulation (TTOF0). The duration of rocuronium was evaluated as the elapsed time from the rocuronium injection to 25% recovery of the final T1 value (TDUR25), and the time to the reappearance of T1 (TTOF1) and T4 (TTOF4). Pharmacologic data were compared between muscular and non-muscular groups. Results: CeLOC (g/ml) of propofol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fatty group than in the non-fatty group in both sexes (3.4 ± 0.4 vs. 3.8 ± 0.4, P = 0.034 in males, and 3.1 ± 0.4 vs. 3.9 ± 0.7, P < 0.001 in females). The total infused doses of propofol per TBW until LOC (mg/kg) were also significantly lower in the fatty group than in the non-fatty group in both sexe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ata related to ROC.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onset time of rocuronium (Tdep95 and TTOF0) between the two groups for both sexes. However, the duration of rocuronium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TDUR25 (min) was significantly shorter in the muscular group than in the non-muscular group (61.8 ± 11.9 vs. 71.0 ± 14.8, P = 0.032 in males, 65.3 ± 9.3 vs. 78.3 ± 19.9, P = 0.007 in females). In addition, TTOF1 and TTOF4 were significantly shorter in the muscular group than in the non-muscular group. Conclusions: The pharmacologic effects of both propofol and rocuronium may be affected by the composition of body components. The concentration of propofol using a TCI system may be diminished in patients with a high proportion of body fat, even in non-obese populations. TBW-based dosing of rocuronium might prolong the neuromuscular relaxation effect in patients with a small amount of skeletal muscle.

      • 마취 중 사용한 마약성 진통제가 술 후 오심 및 구토에 미치는 영향

        두아람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39

        PURPOSE : Postoperative nausea and vomiting (PONV) is distressing adverse effect that follows general anesthesia and surgery. The incidence of PONV ranges from 22-52% despite advance in anesthetics and anesthesia techniques. The etiology of PONV remains unclear but the contributing factors are complex including gender, smoking, a history of motion sickness or previous PONV, anesthetic technique, type of surgery, and use of opioids. Although a number of clinical reports have identified that the use of postoperative opioids is one of the major risk factors for PONV, few studies were performed that the effects of intraoperative opioids use on the incidence and severity of PONV. We conducted a prospective, randomized, double-blinded study to compare the incidence and severity of PONV received bolus intravenous administration of fentanyl during anesthesia induction or infusion of remifentanil during the operation in the female patients undergoing thyroidectomy. MATERIALS AND METHODS : The 137 female patients, aged 20&#8211;65 years and ASA PS I or II, undergoing thyroidectomy were enrolled in this prospective study. Patients were allocated randomly to one of the three groups, control (Group 1), 2 &micro;g/kg bolus administration of fentanyl during anesthesia induction (Group 2), or 2 ng/ml effect site concentration of remifentanil with target controlled infusion (Group 3), using computer generated random number. The assessment of PONV was done at postoperative 2, 6 and 24 hour by an anesthesiologist. The severity of nausea was recorded using a Visual Analog Scale (nausea-VAS; where 0 cm = no nausea and 10 cm = worst possible nausea). Rescue antiemetics were administered in response to nausea, vomiting, or at the patient’s request. First line rescue antiemetic was ondansetron 4 mg and metoclopramide 10 mg followed as second line treatments. RESULTS : The 130 female patients, 47 in Group 1, 42 in Group 2, and 41 in Group 3, were completed the stud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3 groups in terms of patient characteristics, anesthesia time, and administered fluid volum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incidences of PONV and use of rescue antiemetics during first postoperative 24 hours. The overall incidences of PONV for postoperative 24 h were 53%, 67%, and 49% in the group 1, 2, and 3, respectively (P = 0.228). CONCLUSION : There are no signigicant effects of intraoperative fentanyl or remifentail on postoperative nausea and vomiting. 연구 배경 : 수술 후 오심 및 구토는 전신 마취 후 발생하는 가장 흔한 부작용 중의 하나로 재출혈, 봉합부위 벌어짐, 폐흡인, 수액 및 전해질 불균형, 재원기간 연장, 환자 불만족 등을 유발 할 수 있다. 전신 마취 후 오심 및 구토의 발생 빈도는 현재 마취제와 마취 기법의 발달에도 불구하고 22~52%로 다양하게 보고되고 있으며, 환자의 특성과 수술 종류뿐만 아니라 마취 방법에 따라 차이를 보이고 있다. 술 후 오심 및 구토의 위험요인으로 여성, 비흡연, 멀미나 이전의 술 후 오심 및 구토의 기왕력, 수술 종류, 마약성 진통제의 사용 등이 알려져 있다. Society of Ambulatory Anesthesia Guideline에서는 술 중과 후 마약성 진통제의 사용을 최소화하는 것이 술 후 오심 및 구토의 발생을 줄일 수 있다고 보고하고 있으나 이전의 연구는 술 후 진통목적의 아편유사제의 효과에 치중하고 있으며, 수술 중 일시적으로 사용한 단기간 아편유사제의 효과에 대한 표준화된 연구는 드물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술 중 일시적으로 사용한 단기간 아편유사제가 술 후 오심 및 구토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본원에서 갑상선 절제술이 예정된 20에서 65세 까지의 여자 환자 중 미국마취과학회 신체등급분류 1,2 에 해당하는 여성 13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는 무작위로 3군으로 분류하였으며, 제1군은 아편유사제를 투여하지 않는 대조군, 제2군은 마취 유도 시 2μg/kg 의 fentanyl 을 일회 정맥 투여한 군, 제3군은 수술 동안 2ng/mL 의 target controlled infusion으로 remifentanil을 지속 정주한 군으로 하였다. 마취 방법은 모든 군에서 표준화 하였으며 (thiopental sodium 4~6mg/Kg, rocuronium 1.0mg/Kg, sevoflurane 1.5L/min, O2 1.5L/min 으로 유지) 마취 중 사용한 sevoflurane의 농도를 5분 간격으로 기록하였다. 수술 종료 후 오심과 구토의 발생을 수술 후 2시간, 6시간, 24시간에 평가하였으며, 각각 시간대에 발생 여부와 횟수를 기록하고, 정도를 VAS(visual analog scale)로 표시하게 하였고, 증상이 발생하였거나 환자가 원할 시에 구조약으로써 ondansetrone 4mg, 이차약으로 metoclopramide 10mg을 투여하였다. 결과 : 137명의 환자 중 7명의 환자는 결과 분석에서 제외하였으며, 수술 중 수술 계획이 변경, 술 후 자가 통증치료기를 원한 경우, 술 후 예방적 항구토제가 투여된 경우, 술 중 약물 알레르기 의심되어 dexamethasone 을 투여한 경우, 술 후 출혈로 재수술이 시행된 경우 등이 있었다. 총 제1군 47명, 제2군 42명, 제3군 41명의 환자가 결과 분석에 참여하였다. 세 군간에 환자 특성, 마취 시간, 주입된 수액량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수술 후 전체 24시간 동안 오심 및 구토의 발생은 제 1군은 53%, 제 2군은 67%, 제 3군은 49%로 군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P = 0.228). 술 후 24시간 동안 구조약의 투여 횟수, 오심 및 구토의 정도(VAS), 통증의 정도 또한 세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 수술 중 fentanyl 의 일회 투여와 remifentanil의 지속 정주는 술 후 오심 및 구토의 발생 빈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여겨진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