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수학능력시험 및 모의평가의 듣기와 읽기 영역 난이도 비교·분석

        두송이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55

        국 문 초 록 본 연구의 목적은 2016학년도에서 2020학년도까지 시행된 6월 수능 모의평가(모평), 9월 수능 모의평가(모평) 및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의 영어시험의 듣기 영역과 읽기 영역의 난이도를 직접 비교·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첫째, 듣기와 읽기 영역의 소재를 2009 개정 교육과정의 19가지 소재와 비교하여 영역 간 소재 분포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둘째, 자체 제작한 성취기준을 기준으로 영역 간 성취기준의 차이를 분석해 보았다. 셋째, 영역 간 외형적 어휘 규모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WordSmith를 활용하여 토큰, 타입, TTR 및 STTR을 분석하였다. 넷째, 영역 간 GSL(The General Service List), AWL(The Academic Word List) 및 2009 개정 교육과정 어휘목록의 반영률 차이와,초등·중등·예외어휘 반영양상의 차이를 비교해 보았다. 다섯째, LCA(The Lexical Complexity Analyzer)의 19가지 지표를 활용하여 영역 간 어휘 복잡도 차이를 분석하였다. 여섯째, 영역 간 통사적 복잡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Coh-Metrix의 10가지 지표와 L2 SCA(The L2 Syntactic Complexity Analyzer)의 14가지 지표를 활용하여 분석했다. 일곱째, 듣기의 발화속도를 측정하여 분당 단어 수(wpm)로 계산하고 이를 Pimsleur, Hancock와 Furey(1977)의 표준발화속도 및 Tauroza와 Allison(1990)의 상황별 발화속도와 비교해 보았다. 여덟째, 실제 고등학교 3학년 학습자를 대상으로 2020학년도 6월 모평과 9월 모평을 풀게 하는 실험을 통해 듣기와 읽기 영역 간의 정답률 차이를 알아보고 상관관계를 분석했다. 아홉째, 동일 학습자를 대상으로 영어 학습 실태 및 수능에 대한 의견을 묻는 설문 조사를 했다. 마지막으로 고등학교 영어교사를 대상으로 영어 교수실태 및 수능에 대한 의견을 묻는 설문 조사를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듣기와 읽기 영역 간 비교·분석 외에도 듣기 영역을 대화와 담화로 나누어 문체별 차이를 비교·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영역별 소재의 편중과 소재 분포의 불균형이 확연하게 드러났다. 듣기 영역은 일상생활 의사소통능력과 관련된 소재, 읽기 영역은 학문적 소양 배양 관련 소재 비율이 매우 높아서 듣기 영역은 BICS(Basic Interpersonal Communicative Skills), 읽기 영역은 CALP(Cognitive/Academic Language Proficiency) 위주로 측정하고 있었다. 둘째, 성취기준 분석 결과 읽기 영역의 비율이 가장 높았다. 평가영역 성취기준 분석 결과, 듣기 영역은 ‘세부능력파악’이 가장 많았고 읽기 영역은 3점짜리 문항이 많이 포함된 ‘논리적 관계파악’이 가장 많았다. 읽기 영역의 성취기준 하위요소가 더 많고 다양하였으며, 동일 평가영역 성취기준을 평가하더라도 읽기에 더 다양하고 배점이 높은 성취기준 하위요소가 출제되고 있었다. 아울러 소재와 성취기준 하위요소 모두 번호별 고정 현상이 나타났다. 셋째, 외형적 어휘 규모 분석 결과, 읽기 영역의 토큰, 타입, TTR 및 STTR이 듣기 영역보다 높게 나타났다. 넷째, 어휘 반영률 분석 결과, GSL 반영률은 듣기 영역이 더 높았고, AWL 반영률은 읽기 영역이 더 높았다. 교육과정 어휘 반영률은 두 영역 모두 매우 높았으나 듣기 영역은 초등어휘 반영률이 중등어휘 반영률보다 높았고 읽기 영역은 그 반대였다. 이는 듣기 영역은 BICS, 읽기 영역은 CALP 위주로 측정되고 있기 때문이었다. 다섯째, 어휘 복잡도 분석 결과, 어휘 밀도, 어휘 정교도, 어휘 변화도 세 가지 척도 항목의 총 16가지 지표 수치에서 읽기 영역이 듣기 영역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특히 읽기 영역에서 더 섬세하고 전문적인 동사가 더 많이 사용되고 있었다. 여섯째, 통사적 복잡도 분석 결과, Coh-Metrix의 동사 앞 단어 수, 명사구 수식어 밀도, 명사구 밀도, 전치사구 밀도와 행위자가 없는 수동태 밀도의 다섯 가지 지표에서 읽기 영역의 통사적 복잡도가 훨씬 더 높게 나타났다. L2 SCA 분석 결과, 표현 단위 길이, 문장 당 복잡도, 종속접속, 병렬접속 및 특정 구조 척도 항목의 14가지 하위지표 모두에서 읽기 영역의 통사적 복잡도 지수가 뚜렷한 차이를 보이며 듣기 영역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종합하면 듣기 영역은 CALP 측정을 위한 문항 비율이 매우 적고 BICS 측정 위주의 문항들로 구성되어 있어서 어휘 복잡도와 통사 복잡도가 읽기 영역보다 낮게 나타났다. 일곱째, 듣기 시험의 발화속도 분석 결과, 세 종류 시험 모두 두 가지 표준발화속도의 Average 이하에 해당하여 발화속도의 진정성이 부족했다. 세 종류 시험의 발화속도는 해마다 일정한 기준 없이 변동하고 있었다. 여덟째, 학습자를 대상으로 영역 간 정답률 차이를 분석한 결과에서 전체, 상위권 및 중위권 집단의 듣기 정답률이 읽기 정답률보다 높았다. 듣기와 읽기 정답률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그러나 상위권에서는 듣기 시험이 쉬워서 영역 간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고 이는 상위권에서 듣기 영역의 변별력이 매우 낮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아홉째, 동일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에서 정규 영어 수업시간과 정규 수업 외 영어 학습은 대부분 읽기학습 위주로 이루어졌는데, 이는 수능과 모평의 듣기 영역은 쉽고 읽기 영역은 어렵다고 느꼈기 때문이었다. 열 번째, 영어교사를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 결과, 정규 영어 수업은 읽기 위주로 이루어지고 있었고 응답자 대부분이 수능과 모평의 듣기 영역보다 읽기 영역이 어렵다고 답했으며, 수능의 개선점에 대해 수능 영어의 출제 목표가 충분히 반영되지 않는 점을 가장 많이 꼽았다. 본 연구에서는 듣기 시험의 난이도 개선방안을 연구하기 위해 추가로 대화와 담화의 차이를 분석했다. 그 결과, 담화의 CALP 측정 관련 학문 소재 비율이 대화의 20배 이상으로 더 많았고, 이로 인해 담화의 TTR과 STTR, AWL 반영률, 어휘 복잡도 및 통사적 복잡도가 대화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발화속도는 대화가 담화보다 분당 15단어 정도 더 빨랐으나, Tauroza와 Allison(1990)의 상황별 표준발화속도를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 Average 이상의 문항은 담화가 10배 정도 더 많았다. 본 연구 결과, 수능은 대규모 평가로서 영어의 네 가지 기능을 고르게 평가해야 함에도 읽기 능력 측정에 치우쳐 있었고, 표준화 시험임에도 불구하고 영역 간 난이도 차이가 발생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아울러 고부담 시험으로서 환류 효과가 매우 큼에도 불구하고 교육과정과 출제의 불일치 및 발화속도 진정성 결여의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향후 수능 출제를 위해 다음의 개선방안을 제시한다. 첫째, 대규모 평가로서 수능은 읽기 능력에 지나친 비중을 두어서는 안 되고 네 가지 기능을 고르게 평가해야 한다. 둘째, 담화 비율을 높여 전체 듣기 영역의 비율과 난이도를 높여야 한다. 셋째, 듣기와 읽기 영역 모두에서 신유형을 개발해야 한다. 넷째, 수능의 환류 효과를 고려하여 교육과정의 성취기준과 수능 출제의 일원화가 필요하고, 수능 듣기의 발화속도를 Average 이상으로 높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수능은 표준화 시험으로서 영역별 출제 목표의 고른 반영과 일관된 출제 기준 적용, 그리고 듣기 영역의 CALP 비율 증가를 통한 영역 간 난이도 균형 확보가 필요하다. 이러한 개선을 통해 수능은 수험자들의 다양한 영어 능력을 정확하게 측정해야 할 것이다. Abstract A Comparative Analysis on Difficulty of LC and RC on the KCSAT and the mock KCSAT English Tests The present study aims to compare the difficulty of LC(Listening Comprehension) and RC(Reading Comprehension) in the KCSAT(Korean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and the two mock KCSAT English tests administered from 2016 to 2020. The difficulty were investigated in six different variables: 1)the frequencies of the 2009 RNC(Revised National Curriculum) topical content, 2)the distributions of achievement criteria, 3)the lexical scales analyzed by WordSmith Tools, 4)the application rates of GSL(The General Service List), AWL(The Academic Word List), and the 2009 RNC word list, and the lexical compositions of the 2009 RNC elementary/secondary/exceptional word list, 5)the lexical complexity analyzed by LCA(The Lexical Complexity Analyzer), and 6)the syntactic complexity analyzed by Coh-Metrix and L2 SCA(The L2 Syntactic Complexity Analyzer). Four additional measurements were also carried out: 1)the speech rate analysis of the three kinds of LC tests, 2)the experiments on percentages of correct answers on LC and RC conducted with 122 high school senior subjects, 3)the questionnaire surveys of the same high school seniors and 4)the questionnaire surveys of Korean English teachers used to find out what they think about the KCAST English test.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 First, the difficulty of RC was far higher than that of LC in the analyses of topical contents, achievement criteria, lexical scales, application rates of the three representative word lists, lexical compositions, lexical complexity and syntactic complexity. Ultimately, these difficulty differences between LC and RC were caused by the relatively higher rate of BICS(Basic Interpersonal Communicative Skills) and the relatively lower rate of CALP(Cognitive/Academic Language Proficiency) in LC. Second, the average speech rates of the three LC tests were 159.40 wpm, which corresponded to moderately slow or below average of the two representative standard speech rates. Third, the percentages of correct answers of LC were higher than those of RC by over 20%. The LC scores had little effect on the entire English scores particularly in the advanced group since the LC tests had very low difficulty. Last, over the 90% of both senior students and teachers thought RC was much more difficult than LC in the KCSAT and the mock KCSAT English tests. In this study, the difficulty of conversations and monologues in LC was additionally examined. The result was that monologues were more difficult than conversations in the analyses of the application rate of AWL, lexical complexity, and syntactic complexity due to a higher rate of BICS in conversations and a higher rate of CALP in monologues. The speech rates of conversations were faster than that of monologues by average 15 words per minute. For the upcoming KCSAT English tests, four language skills should be equally well measured since the KCSAT is large-scale assessment. The proportion and importance of LC should be raised by increasing monologues in LC. New test items should be developed in both LC and RC. Not only the consistency between the national curriculum and the KCSAT but the increase of LC speech delivery to the average speech rate are required, considering the washback of the KCSAT as a high-stake test on teaching and learning. The equal reflection of the evaluation objectives, the consistent application of criteria, and the LC difficulty increase by raising CALP in LC should be applied, taking KCSAT as a standardized test into consideration.

      • 급속소결에 의한 나노구조 Fe-Cr-Al-X 합금의 제조 및 기계적 성질

        두송이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39

        Many industrial applications, such as heating elements, high-tensile components in heat exchangers, substrates for catalysts applied in catalytic converters and filter systems in automobiles require long-term resistance to oxidation. Iron-aluminium-chromium alloys are applicable as structural materials and coatings for high-temperature applications. However, the alloy exhibits a low frictional resistance due to its low hardness. One of ways to improve the hardness of the metal by the addition of Al2O3 and Si3N4 is to create composite materials and this structure of the composite material should be made as nanostructure. Nanostructured materials have been widely investigated, because they have wide functional diversities and enhanced or different properties compared with their bulk counterparts. Particularly, in the case of nanostructured materials, the presence of a large fraction of grain boundaries can lead to better mechanical, electrical, optical, sensing, magnetic, and biomedical properties. Recently, nanocrystalline powders have been developed by co-precipitation method, spray conversion process (SCP), and high energy mechanical milling (HEMM). In the conventional sintering process, the grain size of the sintered materials becomes larger than the powders due to the fast grain growth. Even though the initial particle size is less than 100nm, the grain size increase rapidly to 500nm during the conventional sintering process. Therefore, controlling grain growth during sintering is the key to the commercial success of nanostructured material. In this regard, the pulsed current activated sintering method (PCAS) and high frequency induction heated sintering (HFIHS) have been adopted, which can make dense materials within 2 minutes. They have been shown to be effective in achieving not only rapid densification to near theoretical density but also the prohibition of grain growth in nanostructured material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sintering processes of FeCrAlSi-Al2O3 and FeCrAl-Si3N4 composite from mechanically activated powder by the PCAS and HFIHS method and investigated the structure and mechanical propteries of FeCrAlSi-Al2O3 and FeCrAl-Si3N4 composit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