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부모 및 학생 관련 요인과 사교육비 지출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노현경(Ro Hyun-kyoung) 한국교육행정학회 2006 敎育行政學硏究 Vol.2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학부모 관련 요인(학부모의 교육열, 사회경제적 지위)과 학생관련 요인(자기조절 효능감, 학업성취도, 학교만족도), 및 사교육비 지출간의 인과관계를 파악하여 사교육관련 정책의 기초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변인들 간의 영향관계를 구조적으로 분석하고, 측정변인과 잠재변인을 동시에 다루기 위하여 구조방정식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ing)방법을 활용하였다.<br/> 분석 결과에 의하면, 사교육비의 절대적 지출규모에 가장 큰 효과를 미친 것은 학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였으며, 모형에 투입된 다른 변인들의 효과는 거의 없었다. 그리고 학생의 자기조절 효능감은 학업성취도와 학교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이 세변인은 학부모의 교육열과 사회경제적 지위가 사교육비 지출에 영향을 미칠 때에 매개 효과로는 나타나지 않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parent factors, student factors, and private tutoring expense. Specifically, it was designed to analyze the effect of parent factors consisted of 'education fever' and 'social economic status(S.E.S)' and that of student factors such as 'self-regulatory efficacy', 'academic achievement', and 'school satisfaction' on private tutoring expense.<br/> The sample used in this study was 2,529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and their parents. Both SPSS and AMOS statistical software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Using the structuring equation modeling, the relationship among six variables was investigated.<br/>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br/> There is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f parents' S.E.S on private tutoring expense. In other words, only parents' S.E.S is an important predictor in determining private tutoring expense.<br/> Regardless of their S.E.S, most of Korean parents have a high degree of education fever. However, parents' education fever does not have a strong direct influence on private tutoring expense.<br/> Among student factors, self-regulatory efficacy has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and school satisfaction. However, these three kinds of student factors do not play a significant role in medi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 factors and private tutoring expense.

      • KCI등재

        U.S.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Since COVID-19

        노현경(Ro, Hyun Kyoung),Ramon, Elizabeth 한국비교교육학회 2021 比較敎育硏究 Vol.31 No.5

        [연구목적] 이 연구는 코비드 19 펜데믹 상황이 미국 고등교육기관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다루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코비드 펜데믹 상황 속에서 미국 고등교육기관이 직면한 문제들을 발견하고 동시에 코비드 종료이후 활용 가능한 여러 가지 방안들을 논의하는데 있다. [연구방법] 이 연구는 세 가지 주제를 다루고 있다. 첫째, 코비드 상황 이후 2년제 대학의 대처방안을 살펴보았다. 둘째, 코비드 상황 이후 4년제 대학들의 변화 움직임을 살펴보았다. 셋째, 코비드 상황과 더불어 광범위하게 일어나고 있는 인종차별에 관한 사회운동이 미국 고등교육기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를 다루었다. [연구결과] 미국의 고등교육기관은 전반적으로 재학생 수의 감소와 더불어 정부의 재정지원 감축이라는 이중고를 겪고 있는데, 이러한 현상은 2년제 대학에서 더욱 확연하게 나타나고 있다. 전문대학에 다니고 있는 많은 유색인종과 저소득층 학생들은 자신의 학업의 계속성 여부를 가장 심각한 문제로 받아들이고 있다. 대학교수들도 단기간에 대면수업을 비대면 수업으로 전환해야 하는 급격한 상황변화에 따른 여러 가지 어려움과 압박감을 토로해 왔다. 이러한 압박감 속에서 특히 2년제 대학교수들의 이직률이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4년제 대학의 경우는 많은 대학들이 입학시험성적을 요구하지 않는 방향으로 학부나 대학원 입시정책을 수정하고 있다. 펜데믹 기간 동안 아시안 아메리칸 학생들에 대한 인종차별 문제가 야기되었고, 유색인종과 저소득층 학생문제가 해결해야 할 시급한 과제로 제기되고 있다. 인종차별 해소, 교육의 형평성 확보, 건강과 안전 보장 등은 펜데믹 기간 중에, 더 나아가 펜데믹 종료 이후까지 중대한 과제로 남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 [결론] 미국의 고등교육기관은 장기적 관점에서 자신의 역할을 새롭게 재 설정하고, 지역사회의 소중한 지적 자원으로 자리매김하며, 지속적인 교육의 형평성 제공을 위한 구조적 변화를 모색해 나가야 할 것이다. [Purpose]This paper reflects on ways that U.S. higher education has been affected by COVID-19.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better understand both the challenges faced by U.S. higher education and the opportunities that may become available in a post-COVID world. [Methods]We addressed three themes: COVID-19 and community colleges; COVID-19 and four-year institutions; and social movements as a broader context within the United States. [Results]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in the United States saw a decrease in funding and enrollments, with community colleges experiencing the most loss. Community college students, who are often racially minoritized and low-income, therefore experienced the most challenges regarding access and persistence. Faculty felt pressure to switch to online learning and to play multiple roles, with many leaving higher education under these pressures, more often leaving community colleges. Four-year institutions changed their admissions policies for both undergraduates and graduates in a move that is likely to remain post-COVID. The pandemic inflamed racism against Asian Americans across the United States as many followed the former president’s lead and scapegoated Asian Americans for spreading the virus. Students and faculty have protested against racism towards Asian Americans and the Black community. Minoritized and low-income students remain the most vulnerable within higher education and U.S. society. Working to dismantle oppression against people of color and for equity for people of color through education, health, policies, and law are crucial responses to the societal problems in the United States during the COVID-19 period and will remain vital post-COVID. [Conclusion]U.S.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need to reimagine their role and make long-term, structural changes to become resources within their communities and provide educational equ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