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최정호의 "동아출판사체"에 대한 연구

        노은유(Eun You Noh)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1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7 No.3

        ‘활자’에서 ‘사진식자’를 지나 ‘디지털 인쇄’에 이르기까지 인쇄 기술은 눈부신 발전을 이루었고 한글 서체는 많은 장인들의 손을 거쳐서 지금에 이르렀다. 오늘날 디지털 본문 서체는 대체로 비슷한 형태를 띠고 있는데 이는 대부분 최정호의 원도를 바탕으로 했기 때문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그 구체적인 정황에 대해서 분명히 밝히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오늘날 디지털 서체의 뿌리인 ‘최정호 서체’ 중 ‘동아출판사체’(1957)의 특징을 정리하고 그 의의를 밝혀서 최정호 원도의 실체를 분명히 하기 위함이다. 나아가 최정호의 그늘에서 벗어나지 못한 오늘날의 한글 ‘명조체’가 조금 더 나은 모습으로 발전해 나가기 위한 발판을 마련하고자 한다. 1장에서는 연구의 배경과 목적, 연구 범위와 방법을 설명했고, 2장에서는 최정호의 생애와 최정호 서체에 대해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동아출판사체’를 자소의 형태, 받침의 균형, 글자의 공간 구성, 글줄의 흐름을 중심으로 비교 분석했다. 결론에서는 최정호 동아출판사체의 특징에 대해 정리하고 그 의의를 밝혔으며 앞으로 연구 과제를 짚어 보았다. 이 연구를 통해서 밝혀진 최정호의 ‘동아출판사체’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이전의 활자체가 가로줄기보다 세로줄기가 상당히 두꺼웠던 것이 비해 1)서체의 세로줄기가 가늘어져서 가로-세로 줄기의 굵기 차이가 줄어들었다. 자음을 살펴보면 2) ‘가, 사’의 ‘ㄱ, ㅅ’에서 삐침(사선)의 곡선이 더 동그랗게 구부러졌고, 3) ‘나, 다, 라, 타, 파’에 ‘ㄴ, ㄷ, ㄹ, ㅌ, ㅍ’ 마지막 가로획과 모음이 연결되는 이음줄기의 기울기가 완만해졌고 4) ‘ㅇ’에서 상투(serif)의 크기가 작아졌다. 모음을 살펴보면 5) ‘ㅏ, ㅑ, ㅓ, ㅕ, ㅣ’ 등에서 기둥(세로줄기)이 시작하는 부분의 부리가 커졌고 6) ‘ㅏ’의 가로 곁줄기가 이전보다 위로 올라갔고 7) ‘ㅗ, ㅛ, ㅜ, ㅠ, ㅡ’ 등에서 보(가로줄기)의 시작과 맺음이 절제되었으며 8) ‘ㅛ’에서 짧은 기둥의 기울기 변화도 줄어들었다. 받침을 살펴보면 9) 위치가 중간에서 약간 오른쪽으로 치우쳤고, 10) 획의 맺음이 오른쪽으로 길게 뻗어있다. 글자의 공간 구성을 살펴보면 11) 이전의 활자꼴에 비해 속공간이 커졌다. 12) 글자 외곽 형태는 윤명조120과 같은 네모틀 본문 서체와 비교했을 때 요철이 많은 편이다. 13) 글자사이와 단어사이는 촘촘하게 좁아지고 글자간격이 고르게 정리되었다. 글줄은 14)세로쓰기에 맞도록 고르게 정렬되었다. 그러므로 최정호 ‘동아출판사체’는 그 이전의 활자체와 비교했을 때 서체의 정밀도와 균형미가 높아졌으며, 공간 구성을 조밀하게 하여 판면의 완성도도 높아졌다. 또한 세로쓰기에 적합한 균형을 이루어 그 결과 활판 인쇄 시대 ‘명조체’의 완성도를 한 단계 끌어올리게 된 것에 의의가 있다. The printing technology from ‘hot type’ and ‘photo type’ to ‘digital type’ has made spectacular progress and Korean typeface has passed through superb craftsmanship`s hands up to now. Today`s digital typeface for text takes similar form because it is based on Choi, Jung-ho`s original drawing. However, we have not clarified about its definite situa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rganize the characteristics of one of Dong-A Publisher (1957) among Choi, Jung-ho`s typefaces which are the root of today`s digital typefaces and to clarify the substance of Choi, Jung-ho`s original drawing by making its meanings clear as well as to prepare for a foothold so that Today`s Hanguel ‘Mining style font’ still in Choi, Jung-ho`s shadow can make growth into a little better picture. The Chapter 1 describes the background and purpose, and the scope and method of the study, and the Chapter 2 shows the lifetime and typeface of Choi, Jung-ho. In the Chapter 3 describes the comparative study of typeface of Dong-A Publisher based on initial type, balance of final consonant, space composition of letter, and flow of writing line. In the conclusion, the characteristics of Choi, Jung-ho`s typeface of Dong-A Publisher is organized and its meaning clarified, and future study subject is shown. The characteristics of Choi, Jung-ho`s typeface of Dong-A Publisher turned out by this study is as follows;In contrast to previous print type which vertical strokes are significantly thicker than horizontal strokes, 1) the thickness difference between horizontal strokes and vertical strokes have been decreased as the vertical strokes of typeface had been thin. Considering the consonant, 2) in the ‘ㄱ, ㅅ’ of ‘가, 사’, the curve of diagonal line has been bended more in a circle, 3) in the ‘나, 다, 라, 타, 파’, the inclination of joint stalk where the last has been slacken, and horizontal stroke of ‘ㄴ, ㄷ, ㄹ, ㅌ, ㅍ’ is connected to vowel, and 4) in the ‘ㅇ’, the size of serif has been smaller. Considering vowel, 5) in the ‘ㅏ, ㅑ, ㅓ, ㅕ, ㅣ’, the serif section which pillar (vertical strokes ) starts has been bigger, 6) the horizontal side stalk of ‘ㅏ’ has been went up, 7) in the ‘ㅗ, ㅛ, ㅜ, ㅠ, ㅡ’, the starting and ending of beam (horizontal stalk) has been controlled, and 8) in the ‘ㅛ’, the changes of inclination in shot pillar has been decreased. Considering the final consonant, 9) the location has been inclined from center to slightly right side, and 10) the ending of stroke rambles over right side. Considering the space composition of letter, 11) the inbound space has been increased compared to previous typeset. 12) The outer form of letter has many rugged sections compared to square text typeface such as Contour Ming Style Font 120. 13) The distance between letter and word has been narrow densely and the gap between letters organized uniformly. The writing line 14) has been arranged to fit for vertical writing evenly. Therefore, in comparison with previous printing type, the precision and symmetry of Choi, Jung-ho`s has been much higher and the integrity of plate side also increased by making the space composition densely. In addition, it has been well balanced to fit for vertical writing therefore it is meaningful that it has pulled up the integrity of Ming Style Font to a higher level in the era of type printing.

      • KCI등재

        국내 자동차 번호판의 타이포그래피에 대한 연구

        노은유 ( Noh Eun-you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1 한국디자인포럼 Vol.32 No.-

        우리의 공공 시각 환경을 구성하는 요소 중 하나인 자동차 번호판의 타이포그래피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서 현행 자동차 번호판 중 `1973-2003년형(지역명이 표기된 번호판, 녹색 바탕에 흰색 글자, 2열)`, `2004년형(지역명을 뺀 번호판, 녹색 바탕에 흰색 글자, 2열)`, `2006년형(지역명을 뺀 번호판, 흰색 바탕에 검은색 글자, 1열)` 번호판을 중심으로 논의해보았다. 첫 번째로 번호판의 배열 방식과 공간 구성을 살펴보고 두 번째로 한글과 숫자의 형태를 분석해 보았으며, 마지막으로 글자 사이 공간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2004년형 번호판은 1973-2003년형의 글자 속공간을 변형시킨 것에 그쳤으며 글자의 심미성이 오히려 떨어졌다. 또한, `등록번호`의 여백이 좁아져서 판독성이 떨어졌으며, 숫자가 한글로 읽히는 오독(誤讀) 현상이 일어나는 등 가독성에도 문제를 보였다. 2006년형 번호판은 `등록번호`의 여백이 적당히 확보되어 판독성을 높였고, `숫자 1`에 세리프를 넣어서 `한글 ㅣ`와 헷갈리지 않도록 했다. 그러나 네모틀에 꽉 찬 한글 지역명 표기는 변별력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등록번호의 글자 사이 공간이 일정하지 않아서 이를 세밀하게 맞추어 나갈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국내 자동차 번호판의 타이포그래피 완성도 향상을 위해서는 1) 글자의 공간과 여백이 조화를 이루어야 하고, 2) 한글 외곽 형태의 변별력이 개선되어야 하며 3) 숫자는 글자 사이 공간이 일정하고 오독의 여지가 없고 위·변조가 쉽지 않도록 고려해서 만들어야 한다. 앞으로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자동차 번호판 전용 한글과 숫자 글꼴의 개발과 같은 적극적인 타이포그래피 개선안이 필요하다. To develop the perfection of typography of vehicle license plate which is one of the factor to construct our visual public environment, among the current license plates, `1973-2003 year`s license plate(the province name is written, white on green, two lines)`, `2004 year`s license plate(the province name is omitted, white on green, two lines)`, `2006 year`s license plate(the province name is omitted, black on white, one line)` have examined centrally. Firstly, arranging pattern and space composition of license plate have examined. Secondly, shapes of Korean and number have examined. Lastly, space between the word letters. As a result, `2004 year`s license plate` has transformed the space in word letter, and aesthetic aspect of word letter has rather declined. Since a margin of the `registered number` has narrowed, the plate becomes difficult to decode and has error in decode. The `2004 year`s license plate` has poorly readable typography. The `2006 year`s license plate` has made sure to have a margin of the `registered number` to higher decode, and has added serif in `number 1` to prevent the confusion with `Korean ㅣ`. However, compacted writing of Korean region in rectangular frame has declined assessment. Lastly, the space of word letter between the `registered number` has discovered to be inconstant which is in need of detailed adjustment. Thus, to develop the perfection of typography of license plate, 1) the space and the margin of the word letter should be in harmony with each other, 2) the distinction for shape of Korean needs to be improved, and 3) the number should be made based on constant space between word letter, no way to misleading, and difficulty of falsification. Furthermore, continuous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ypography to develop of number and Korean fonts used for the license plate is inevitab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