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본군 `위안부` 문제와 일본 언론에서의 혐한(嫌韓) 담론의 출현 연구 - 『문예춘추(文藝春秋)』1992년 3월호를 실마리로-

        노윤선 ( Roh Yoon-seon ) 한국일본근대학회 2017 일본근대학연구 Vol.0 No.56

        한·일 관계에 있어 혐한 담론은 현재진행형이다. 필자는 그동안 집중적으로 다루어지지 않은 혐한 담론이 일본 언론에서 출현한 경위를 살펴보았는데, 글로벌 시대 이후에 일본군 `위안부` 문제가 전면에 노출된 탓에 언론에서 대두되기 시작하였다. 특히, 일본의 최대 유력 종합월간지인 『문예춘추(文藝春秋)』1992년 3월호의 특집대담 기사를 혐한 담론의 도화선으로 볼 수 있으며, 이 기사는 1991년 8월 김학순 할머니가 일본군 `위안부` 피해를 증언한 이후에 일본군 `위안부` 문제가 이슈화되면서 과거의 역사적 사실에 대해 사죄할 필요성을 전혀 못 느낀다는 일본 혐한론자들의 발언을 서두로 하여 한국의 정치·경제·역사 등 한국사회 전반에 대한 반(反)과 혐(嫌) 감정을 분출시키는 내용과 비난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위와 같은 일본의 종합월간지에 실린 특집 기사가 한국 일간지에 실리게 되고, 이것이 다시 일본 일간지에 게재됨으로써 일본 언론에서 현재까지 반복 재생산되어 온 것임을 알 수 있었다. Anti-Korean sentiment discours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Japan is currently ongoing. Nevertheless, the process of emerging discontented discourse has not been intensively studie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mergence of anti-Korean sentiment discourse in the Japanese media, after the global era, the issue of the Japanese Military `Sexual Slavery` began to appear in the media as a whole. Particularly, the starting point of `Anti-Korean sentiment` was the feature story of the March issue of “Magazine Bungeishunju” in 1992, the most influential monthly magazine in Japan, which was composed of content and accusations that sparked hostility and negative feelings toward Korean society including politics, economy and history of Korea with the opening remarks of Japanese intellectuals who said they feel absolutely no need to “apologize” for the problem of Japanese Military `Sexual Slavery`. A special article published in the Japanese general monthly magazine as mentioned above was published in the Korean daily newspaper, and this was again published in the Japanese daily newspaper.

      • KCI등재

        『요코 이야기(竹林はるか遠く)』 고찰 -일본인관과 조선인관을 중심으로 -

        노윤선 ( Roh Yoon-seon ) 한국일본근대학회 2018 일본근대학연구 Vol.0 No.62

        우리나라에서 2005년에 번역 출간된 『요코 이야기』는 2007년에 관심을 불러일으킨 작품이기도 하다. 이 작품은 1986년 4월 미국에서 So far from the Bamboo Grove라는 제목으로 제일 먼저 출판되었으며, 작자의 히키아게(引揚げ) 체험을 바탕으로 쓴 자전 소설이다. 히키아게는 일본의 태평양전쟁 패전 후, 국외에 살고 있던 일본인들이 고향으로 귀환하는 역사 사실을 일컫는다. 일본어판은 2013년 7월 19일이 되어서야 『竹林はるか遠く : 日本人少女ヨ一コの戰爭體驗記』라는 제목으로 출판되었지만, 중국에서는 출판이 금지되었다. 『요코 이야기』 속에 전쟁을 비판하는 반전(反戰)적인 메시지가 극히 일부 들어있다고는 하지만, 작품의 전체적인 흐름은 평화에 대한 메시지보다는 ‘조선인에 대한 강한 편견 및 선입견’과 함께 가족애에 대한 내용에 더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요코 이야기』는 작가 자신이 겪은 고통을 강조하고 있는 나머지, 작가의 모국인 일본으로 인해 그보다 더한 고통을 겪었던 조선인들의 아픔을 전혀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보통의 일본인도 피해자’라고 작품 속에서 일관하고 있는 것만으로 당시 일본의 만행을 정당화할 수 없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작품 속에서 일방적인 조선인에 의한 박해만을 언급하고 있는 대목들은 섣불리 정치적인 판단을 내비치고 있는 모습으로 오인 받을 소지가 다분하다. 실제로 그 동안 일본에서 번역판이 나오지 않다가 2013년에 일본어 번역판이 나온 이유들 중의 하나로, 태평양전쟁 패전 후 일본의 전쟁범죄에 대한 희석과 일본의 역사왜곡의 도구로 『요코 이야기』가 활용된 것이 아닌지 의구심이 드는 부분이기도 하다. 왜냐하면 일본어판 번역과정에서 “기억에 없는 내 나라 일본은 사 년간이나 미국과 영국을 상대로 전쟁을 벌이고 있는 중이었다”라는 부분이 통째로 삭제되었기 때문이다. 작품 속의 피해자로 등장하는 요코는 가해국 국민 출신의 요코이기도 하다. 즉 작품의 의도와는 상관없을지라도 결과적으로는 현재의 요코에게 있어, 한국인과 그들의 조상들은 나쁜 피해자로 간주하고 있는 것이다. 결국 작가는 작품을 통해 한국인들을 향한 혐한으로 제2의 가해를 함으로써 편향된 한국인상을 재생산하고 있는 것이다. In 2005, Yoko Story was first published with the English title So far from the Bamboo Grove in the United States on April 1986 and this autobiographical novel is based on the writer’s direct experience of Hikiagae. Hikiagae refers to the history of returning to homeland by Japanese people living in foreign countries after its defeat in the Pacific War. The Japanese version was published on July 19, 2013 titled with 竹林はるか遠く : 日本人少女ヨ一コの戰爭體驗記, yet its publication was prohibited in China. Even if small portions of anti-war messages are applied in this novel, the main theme is primarily associated with strong prejudice against Koreans and family love rather than lessons for peace. This novel stresses the writer’s director pains, thereby being incapable of understanding the plights of Koreans who had harder times due to his motherland. The misdeeds of the imperial Japan shall not be justified as the writer constantly argues that ordinary Japanese people werer victims. Nonetheless, passages on the persecution solely committed by Koreans are likely to be misunderstood as expressing political viewpoints without discretion. It is doubted that one of major reasons of publishing the Japanese version in 2013 was used for dissolving crimes committed by the Japan after its defeats in the Pacific war and used in this novel, for a sentence “My country in oblivion was undertaking a huge war against the United States and the United Kingdom for four years” was completely wiped out. Yoko, depicted as a victim in this novel, was originated from the assaulter. In spite of not being related with the original intention, his character considers Koreans and ancestors as bad-natured victims. In the end, the writer reproduces the image of partial Koreans by attacking and hating Koreans again in this novel.

      • KCI등재

        햐쿠타 나오키(百田尚樹)의 『개구리의 낙원(カエルの楽園)』 고찰

        노윤선 ( Roh Yoon-seon ) 한국일본근대학회 2020 일본근대학연구 Vol.0 No.68

        『개구리의 낙원』은 현재 일본의 모습을 그리면서 미래의 일본을 시뮬레이션한 것이다. 작품 속에 함의되어 있는 일본의 위기상황 속에서 재일한국인에 대한 인식과 사고가 함께 극명하게 나타나고 있다는 것이 가장 특징적이다. 예를 들면 우리나라가 일본에게 ‘끊임없이(延々)’ 사죄를 요구하고 있다는 것을 비유하여, 우리나라를 ‘엔엔(エンエン)’이라는 국가이름으로 등장시키고 있다. 옴개구리(일본인) 청년인 하인츠는 단지 외지에서 온 늪개구리(재일한국인)들이 자자손손대대로 나파주(일본) 국가에 살고 있는 것을 못마땅하게 여기고 있으며 너희들의 나라로 돌아가라는 내용을 통해 일본 혐한론자들의 양상과 유사함을 보여 주고 있다. 특히 전쟁가해희석과 왜곡된 민족주의 그리고 혐한이 복합적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밝혔다. 작품 속에는 피에르(재일한국인)가 옴개구리(일본인)를 싫어함에도 피에르가 옴개구리의 나라(일본)에 살고 있는 것을 이상하게 여기는 장면들이 곳곳에 등장하고 있다. 옴개구리의 청년인 하인츠(일본의 젊은이) 또한 단지 외지에서 온 늪개구리(재일한국인)들이 자자손손대대로 나파주(일본) 국가에 살고 있는 것을 못마땅하게 여기고 있는 것이다. 게다가 전쟁을 경험하지 않은 젊은 세대인 하인츠에게 나파주 나라의 과오를 묻고 있는 말도 안 되는 장면이 등장하고 있으며, 결국 하인츠는 옛날 일이라고 반복적으로 언급하면서 마치 본인과는 전혀 상관없는 일인 듯이 설명하고 있다. 젊은 옴개구리는 끝까지 자신의 선조들이 저지른 잔인한 역사적 사실을 계속해서 부정하고 있으며, 이는 자칫 일본에게 불리한 역사사실을 부정하고 은폐하려는 것으로 오해할 여지를 줄 수가 있는 것이다. The Paradise of Frogs describes the image of Japan of today and simulates Japan of the future. The most distinctive thing about the novel is that this reveals the recognition and the thought of Koreans living in Japan in the crisis of Japan, definitely. For instance, Korea is named ‘Ang-Ang(エンエン)’, which refers to a metaphor of Korea’s ‘constant(延々)’ demand for an apology from Japan. Haintzu, a wrinkled frog man(Japanese), is displeased with that marsh frogs(Koreans living in Japan) from other areas live in Napaju(Japan)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and telling them to go back to their country, he shows similar aspects to the anti-Korea people in Japan. In particular, this novel dilutes the damage to other country during the war and contains distorted nationalism and anti-Korean sentiment, complexly. There are scenes everywhere in the novel not to understand that Pierre(a Korean man living in Japan) lives in the country of wrinkled frogs(Japan), even though he hates wrinkled frogs(Japanese people). Haintzu, a wrinkled frog(Japanese young man), is also frowned upon that march frogs(Koreans living in Japan) from other areas live in Napaju(Japan) generation after generation. Besides, there is a ridiculous scene asking Haintzu of the young generation, who did not go through the war, about the fault of Napaju and in the end, he explains, as if it is never irrelevant to him, mentioning it was a thing of the past. The young wrinkled frog keeps denying the cruel historical fact caused by his ancestors and this may leave room to misunderstand that Japan tries to deny and conceal the historical fact that is unfavorable to them.

      • KCI등재

        일본지진을 통해 바라본 혐한(Anti-Korea(n) Sentiment)과 혐오 발언(Hate Speech)에 대한 고찰 - 관동대지진과 동일본대지진을 중심으로 -

        노윤선 ( Roh Yoon-seon ) 한국일본근대학회 2018 일본근대학연구 Vol.0 No.60

        본 논문은 최근 일본에서 나타나고 있는 혐한과 혐오 발언에 대해서 관동대지진 당시 조선인 학살과 동일본대지진 이후의 혐한 시위 증가 등과 견주어 브라이언 레빈(Brian Levin)의 ‘증오의 피라미드’ 5단계로 살펴보고, 이를 통해 재일한국인 멸시에 대해 재고하고자 한다. 관동대지진 당시 중요한 것은 관헌과 일반 시민들, 즉 일본인들 내면에 조선인에 대한 편견과 멸시가 분명히 존재했었다는 것이며, 그로 인해 조선인 학살로까지 이어졌다는 것이다. 이것은 조선인에 대한 적대감 표명과 의도적 차별표현으로부터 시작하여, 즉 1ㆍ2단계인 선입견과 편견에 의하여 4단계인 폭력 행위에서 5단계인 민족 말살로 이어진 단계를 거쳤다고 볼 수 있다. 동일본대지진 이후, 혐한 시위의 현수막 가운데에서 관동대지진 때 사용된 ‘불령선인(不逞鮮人)’이라는 단어를 여전히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재일한국인에 대한 선입견과 편견이 오랜 세월이 지나도 남아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일본인의 혐한과 혐오 발언은 느닷없이 돌발적으로 일어난 현상이 아니며, 1ㆍ2단계인 선입견과 편견에 의한 행위를 바탕으로 3단계인 차별행위를 거쳐 4단계인 폭력 행위로 반복해서 나타나고 있다. 이것은 일본의 혐한과 혐오 발언에서 나타난 재일한국인에 대한 1ㆍ2단계인 선입견과 편견을 계속해서 묵인하고 내버려 둔다면 3ㆍ4단계인 차별과 폭력 행위는 과거와 같이 계속해서 발전될 것이고, 관동대지진 당시 5단계인 조선인 학살과 같이 유사한 일은 언제든지 다시 일어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In this paper, I applied the Hate Speech and the Anti-Korea(n) Sentiment on the rise to the ‘Pyramid of Hate’ of Brian Levin, comparing with the massacre of Koreans during the Great Kanto Earthquake and anti-Korean demonstrations increased after the Great East Japan Earthquake. The important thing at the time of the Great Kanto Earthquake was that there were clear prejudices and contempt for the Koreans within the government and ordinary citizens, that is, the Japanese people, which led to the genocide of the Koreans residents in Japan. It can be seen that it started from the expression of hostility toward the Joseon people and intentional discrimination, that is, through the prejudice and bias of the 1st and 2nd stage, the stage from the violence of the 4th stage to the genocide of the 5th stage. Since the Great East Japan Earthquake, it is still used in the banners of the demonstrations that were used during the Great Kanto Earthquake, the word “Futei Senjin”, which shows that prejudice and bias against the Koreans residents in Japan remained after many years have. Therefore, the Anti-Korea(n) Sentiment and Hate Speech are not unexpectedly sudden, and they are repeatedly shown as the 4th stage of acts of violence through acts of discrimination of the 3rd stage based on acts of prejudice and bias which are the 1st and 2nd stage. This is, if we continue to tolerate prejudice and bias, which are the 1st and 2nd stages of the Anti-Korea(n) Sentiment and Hate Speech in Japan, the 3rd and 4th stages of discrimination and violence will continue to develop as in the past. Similar stages such as the 5th stage of the genocide of the Joseon people during the Great Kanto Earthquake suggest that it may happen again at any time.

      • KCI등재

        일본 신문에서 나타나고 있는 혐한(嫌韓) 기사 분석과 혐한의 해소방안 -혐한 최초 기사와 최근 기사를 중심으로-

        노윤선 ( Roh Yoon-seon ) 한국일본근대학회 2016 일본근대학연구 Vol.0 No.54

        2015년 일본 내에서 실시한 <전국 미디어 접촉·평가조사>에서 77.7%의 비율로 “신문을 읽는다”라고 답할 만큼 인터넷보다 신문의 영향력이 여전히 앞서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일본의 일간신문에서 혐한(嫌韓)이라는 단어가 처음 등장한 것은 1992년 3월 4일자의 마이니치신문(每日新聞)이었으며, 날짜 순서로는 아사히신문(朝日新聞)이 1992년 4월 18일, 요미우리신문(讀?新聞)이 4월 22일, 니혼게이자이신문(日本經濟新聞)이 6월 16일, 산케이신문(産經新聞)이 10월 29일이었다. 각 신문사별로 혐한에 관해 최초 및 최근에 언급한 내용과 주제가 다르며 그에 걸맞게 다양하게 분석하였다. 일본 일간신문에서 말하고 있는 혐한의 원인에 대한 주요골자는 그 원인 제공이 한국에 있다는 것인데, 이것은 잘못된 주장이며 일본의 일반인은 물론 유력 정치인들까지도 제대로 된 역사인식의 부재(不在)로 인한 것이라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역사적 사실에 기반을 두지 않은 잘못된 편견과 선입견이 얼마나 무서운 결과로 나타나는지에 대한 이론들 중에 `헤이트 폭력의 피라미드`를 들을 수 있다. 근본적인 차원의 문제 해결 방안은 근대화 과정에서 일본인들이 한국인들에게 저지른 역사적 과오를 인정하고, 그것을 한·일 양국이 함께 만든 역사교과서를 통해 일본 국민들에게 독일의 경우처럼 사실대로 알려줘야 한다는 것이다. It can be seen that in 2015 Japan carried out in < national media contacts and Evaluation Research > at a rate of 77.7%, “reads the newspaper” said the influential newspaper Still ahead than the Internet as answer. It is the word Hyeomhan in the daily newspapers of Japan first appeared was the Mainichi Shimbun in 1992 March 4, as the date order Asahi Shimbun 1992 April 18, the Yomiuri Shimbun on April 22, the Nihon Keizai Shimbun this was on June 16, the Sankei Shimbun October 29th. A different content and themes mentioned in the first and the last on Hyeomhan each newspaper were variously analyzed accordingly. Key information on the cause of Hyeomhan speaking in Japanese daily newspapers are the reason that Korea. This is due to the false claim would be able to speak and even the absence of a proper historical recognition of the Japanese public, as well as influential politicians. This appears on the wrong theory of prejudice and preconceptions how horrible the results are not based on historical fact, it may be of the “Pyramid of Hate”. A fundamental dimension of the problem-solving ideas is to recognize the historical mistakes committed by the Japanese to Koreans in the modernization process. And that it is made with South Korea and Japan over history textbooks, as in the case of Germany, tell the truth to the Japanese people.

      • KCI등재

        한 · 일 수교 50주년, 혐한(嫌韓)에 대한 재인식

        노윤선(Roh, Yoon Seon) 동아시아일본학회 2016 일본문화연구 Vol.0 No.59

        일본의 혐한(嫌韓)은, 오랜 역사를 통해 일본인의 대한국관(對韓國觀) 중 하나의 축으로 이루어 온 반한(反韓)론적 사고를 토대로 꾸준히 논의를 전개해 왔다. 혐한 현상이 한류 상승 무드에 찬물을 끼얹을 수 있다는 우려의 시각과 반면에 일시적인 현상으로 전망하여 일본의 주된 관심사 혹은 정서로써 말할 수 있느냐는 시각이 공존하고 있으나, 국내선행 연구들에서는 문화적 역사적 측면에 치중하는 경향이 강하였다. 따라서, 일본의 혐한 현상에 대해 문화적 역사적 정치적 측면 중 하나의 측면 위주로 분석하는 것은 한 일 양국 간의 상호이해와 소통을 획책하기는 현실적으로 어렵다고 보이며, 제2장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앞으로는 일본의 혐한 현상에 대해 종합적인 이해를 통하여 다각적인 고찰이 필요함을 시사해 주고 있다고 본다. Anti-Korean sentiments in Japan have appeared at several moments throughout history. Although these anti-Korean sentiments may prevent the rise of Hallyu, or Korean pop-culture, this may simply be a temporary phenomenon. Most studies in Korea have analyzed this phenomenon from a single perspective, based on cultural, historical, and political factors.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analyze anti-Korean sentiments in Japan from a multi-dimensional perspective that supersedes previous cultural, historical, and political perspectives in order to promote mutual understanding and improve communication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