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펑크 패션 디자인 연구- 펑크 꾸띄르(Punk Couture)를 중심으로 -

        노윤선,양윤선,진연니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09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ol.9 No.1

        Young generations have a lot of effects on fashion in the 20st century and the influence is being increased gradually. Specially, punk style had a great deal of effects on fashion and its role comes to more spotlight than any times since the style is one out of high-fashion design sources. Therefor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grasp characteristics of punk couture through its analysis and to propose the possibility of new design creation applying such elements. The study analyzed theoretical background and work cases of punk couture and manufactured punk couture fashion illustration. As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fashion design of punk couture, they were as follows. First, punk was introduced to high fashion after 1980s. As the results, its inner meaning disappeared and only imitation of its style was distinguished. Second, punk couture was expressed by mix & match between cutting and textile and coordination of punk-style elements. Third, as the results of analyzing work cases of punk couture in modern fashion, the resistant element as low-class culture was changed to polished features answering modern finality by being recreated and amended. Fourth, on the basis of the above results, the study manufactured works. As the results, punk couture proposed the unlimited possibility, giving arts or fashion pursuing only beauty a fresh impact.

      • KCI등재

        알렉산더 칼더(Alexander Calder) 작품을 응용한 패션 일러스트레이션 연구-모빌(Mobile)과 스테빌(Stabile)을 중심으로-

        노윤선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7 조형미디어학 Vol.20 No.2

        Diverse methods of expression and continuous change in fashion have influenced fashion illustration and are going beyond simple hand drawing to incorporate various techniques that are used in the pure field of art. By aesthetically expressing the formative elements related to fashion design, they are developing as fashion illustration of the modern sense. Following such trends, this study aims to propose a new direction for fashion illustration that utilizes works of art, by developing fashion illustration applying mobiles and stabiles, Alexander Calder's most famous work. This study consists of theoretical consideration based on literature investigation and the production of work based on such. Alexander Calder's life and formation of his work were examined as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through analysis of Alexander Calder's mobiles and stabiles, his artistic value and world of his works were examined. For the production of work, red, yellow, blue, and black were used to maximize a light and cheerful image and to enhance visual captivation, and felt was used as the material to resemble a collage cut simply out of paper. Based on theoretical background, the geometric and simplified structure and repetitive design elements shown in Alexander Calder's mobiles and stabiles were used to produce seven fashion illustrations centered on facial and hair decoration.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fashion illustration applying Alexander Calder's work was created with an individualized image that maximizes imagination with the geometric structure of triangles, squares, and circles that are organically connected, and the image produced by primary colors and recombination of various pieces. 패션의 다양한 표현 방식과 지속적인 변화는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에도 영향을 주어 단순하게 손으로 드로잉하는 것에서 벗어나 순수 미술 분야에 사용되는 다양한 기법이 응용되고 있으며 패션 디자인과 관계된 조형적 요소를 미적으로 표현해 현대적인 감각의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으로 전개되고 있다. 이러한 경향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알렉산더 칼더(Alexander Calder)의 대표 작품 모빌과 스테빌을 응용한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을 개발하여 예술작품을 활용한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의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문헌조사에 의한 이론적 고찰과 그것을 토대로 한 작품 제작으로 구성하였다. 이론적 배경으로는 알렉산더 칼더의 삶과 작품의 형성 배경에 대해 살펴보았고, 알렉산더 칼더의 모빌과 스테빌 작품의 분석을 통해 그의 작품세계와 예술성을 살펴보았다. 작품제작은 레드, 옐로우, 블루, 블랙의 사용으로 경쾌하고 산뜻한 이미지를 극대화 시키고, 시각적으로 주목성을 높이고자 하였으며 소재는 펠트를 사용하여 종이를 단순하게 자른 듯한 꼴라주 기법으로 표현하였다.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알렉산더 칼더의 모빌과 스테빌 작품에 나타난 기하학적이고 단순화된 형태, 반복된 디자인 요소를 활용하여 얼굴과 헤어장식 중심의 패션 일러스트레이션 7점을 제작하였다. 본 연구 결과 알렉산더 칼더의 작품을 응용한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은 삼각형, 사각형, 원등의 기하학적 형태가 유기적으로 연결되고 여러 가지 조각의 재조합으로 원색이 주는 이미지와 함께 상상력이 극대화되고 개성화된 이미지로 창조되었다.

      • KCI등재

        그라피티(Graffiti) 조형성을 응용한 패션 일러스트레이션 연구

        노윤선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20 조형미디어학 Vol.23 No.2

        Contrary to the times when art was constructed as an independent field, today, it has secured its role as a new genre through mutual exchange and cooperation in various design fields. Among the art forms attracting attention in the modern age, Graffiti is approaching familiar and familiar to the public through collaborations of contemporary art and corporate brand products. This study will attempt to express various images of modern fashion creatively by developing fashion illustration applying the art Graffiti, which is freely expressing form based on individual identity. This study produced works based on theoretical considerations. For the theoretical review, the concept, background, and characteristics of Graffiti were investigated, and the previous research was analyzed to examine the art of Graffiti. Through this, we divide the art of Graffiti into symbolism, autonomy, playfulness, and intense colors. In the masterpiece, Jean Michel Basquiat and Keith Haring were chosen which left many works. The work was made using collage technique using fashion magazine, paper, and fabric, and on top of that, acrylic paintings, markers, etc. were used to produce six pieces of fashion illustrations of Graffiti images. This study tried to express the symbolism, autonomy, and playfulness of Graffiti, and intend to show it as a strong visual image with intense colors. 예술이 하나의 독립된 영역으로 구축되던 시대와는 달리 오늘날은 다양한 디자인 분야에서 상호 교류와 협력을 통해 하나의 새로운 장르로서 그 역할을 확고히 하고 있다. 현대에 주목받고 있는 미술양식 중 그라피티(Graffiti)는 현대 미술과 기업 브랜드 상품의 콜라보레이션(Collaboration)등을 통해 대중들에게 친근하고 익숙하게 다가가고 있으며 이외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개인의 정체성을 바탕으로 자유롭게 표현하는 형식인 그라피티의 조형성을 응용한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을 개발하여 현대 패션의 다양한 이미지를 독창적으로 표현해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이론적 고찰을 바탕으로 작품을 제작하였다. 이론적 고찰을 위하여 그라피티의 개념, 발생 배경 및 특징에 대해 조사하였으며 그라피티의 조형성을 살펴보기 위해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그라피티의 조형성을 상징성, 자율성, 유희성, 강렬한 색채로 나누었으며, 대표작가로는 수많은 작품을 남긴 쟝 미셀 바스키아(Jean Michel Basquiat)와 키스 해링(Keith Haring)으로 선정하여 작품 사례를 살펴보았다. 작품제작은 패션 잡지와 종이, 원단 등을 이용한 꼴라주 기법을 사용하였으며, 이 위에 아크릴 물감, 마커 등을 사용하여 그라피티 이미지의 패션 일러스트레이션 총 6점의 작품을 제작하였다. 작품은 그라피티의 조형성인 상징성, 자율성, 유희성을 살리고자 하였으며 강렬한 색채를 사용하여 시각적으로 강하고 개성 있는 이미지로 표현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추상표현주의 회화를 응용한 패션 디자인 개발 연구 -프란츠 클라인(Franz Kline)작품을 중심으로-

        노윤선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21 조형미디어학 Vol.24 No.2

        To satisfy the tastes and varying needs of consumers, the modern fashion collaborates with social cultures and diverse genres to create new cultures. The modern fashion also applies the artistic formativeness to the design or tries to combine with paintings. In response, this study seeks to develop fashion designs by applying the artworks of abstract expressionism, which was the most important and influential artistic style in the American painting history from 1940s to 1950s. Among abstract expressionism artists, this study applied the painting works of Franz Kline who adds black color, white color, or vivid colors to express the power in artworks involving a brush stroke technique used in calligraphy. With painting works of Franz Kline, this study seeks to develop creative fashion designs and expand the expression scope of modern fashion. For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 this study examined the concept, characteristics, and expression methods of abstract expressionism, background and characteristics of artworks by Franz Kline, and fashion design cases applied with abstract expressionism paintings. Based on the examination, this study developed 4 fashion design clothes by applying DTP and collage’s handcraft techniqu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Application of painting in fashion was figured out to be the effective way for developing a texture that expresses not only the form and color but also unique pattern and material surface’s fine structure states. Also, combination of fashion and pure art expanded the scope of expression with their infinite expression methods. 현대 패션은 소비자의 개성과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사회 전반에 걸친 문화와 다양한 장르와의 협업을 통해 새로운 문화를 만들기도 하며 미술양식의 조형성을 디자인에 응용하거나 회화와의 접목을 시도하기도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1940년부터 1950년대까지 미국 회화 사상 가장 중요하고 영향력 있는 미술양식인 추상표현주의 작품을 응용하여 패션 디자인을 개발해 보고자 한다. 이러한 추상표현주의 작가 중 흑과 백, 또는 강렬한 색채를 더하여 서예에서 보여 지는 일필휘지 기법으로 작품에서 강인한 힘을 느끼게 하는 프란츠 클라인의 회화 작품을 응용하여 창의적인 패션 디자인을 개발하고 현대 패션의 표현 영역을 확대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론적 고찰을 위해 추상표현주의, 프란츠 클라인 작품의 형성 배경 및 작품 특징, 추상표현주의 회화를 응용한 패션 디자인 사례를 살펴보았다. 이를 토대로 작품 제작은 DTP(Digital Textile Print)와 콜라주(College)의 수공예적인 기법을 접목 시켜 4벌의 패션 디자인으로 개발하였다. 연구 결과 회화를 패션에 접목시키는 것은 형태와 색채뿐만 아니라 독특한 패턴과 재료 표면의 미세한 조직의 상태를 나타내는 텍스처를 개발하는데 효과적인 방법임을 알 수 있었고 패션과 순수 예술과의 접목은 무한한 표현방법으로 그 표현 영역을 확대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신·고마니즘 선언(新·ゴーマニズム宣言)을 통한 왜곡된 일본군 ‘위안부’ 담론의 형성과정

        노윤선 한국일본언어문화학회 2020 일본언어문화 Vol.51 No.-

        In Japan, there is a continuos increase in the specific gravity of subcultures including the internet as well as the media, as the ground for formation of the discourse to deny the existence of Japanese Military Sexual Slavery. Especially, the emergence of subcultures regarding Japanese Military Sexual Slavery was triggered after Yoshinori Kobayashi started to draw a cartoon about the Japanese Military Sexual Slavery issue in the 1990s. Kobayashi is a Japanese famous cartoonist and a social practitioner that works for the ‘circle for making new historical textbooks’. Therefore, for Kobayashi, as a social practitioner and a cartoonist, cartoon was the ground for a knowledge discourse produced by an intellectual. Also, New Gomanism Declaration triggered the formation of ‘reader participatory discourses’. During the period of transition from this participatory culture to the ‘convergence culture’ to create discourses mutually via diverse media platforms in the 1990s, Kobayashi’s discourse on Japanese Military Sexual Slavery became a best seller and so far, this has been extensively established, as a knowledge discourse. Then why has the Japanese Military Sexual Slavery discourse formed in the 1990s been continued so far? For Kobayashi, Japanese Military Sexual Slavery from colonized countries have to be voluntary prostitutes not to make the Japanese army in the Pacific War rapists. When Japanese Military Sexual Slavery are prostitutes, the Japanese army’s sexual violence, rape and forced mobilization are not validated. He considers that in so doing, Japan can regain its honor. It is significant that the distorted patriotism and the arguments stressing epic poetry for boosting pride of Japanese people in Kobayashi’s works have been sharing the same tone of arguments with right-wing literature which emerged along with the conservative swing of Japanese political circles in the 2000s. .

      • KCI등재

        비비드(vivid) 컬러를 이용한 패션 일러스트레이션 연구

        노윤선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2 조형미디어학 Vol.15 No.4

        Colors, due to their strong visual and image effects, have significant influences in fashion illustrations and various other fields of design. Though many preceding studies in the field of fashion design focus on vivid colors, not many studies on fashion illustration have focused on colo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ress the creativity and enhance the artistic aspect of modern fashion through development of fashion illustrations using vivid colors. This study builds a theoretical backgroun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then creates illustrations based on the theory. The concept and use of fashion illustra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to the body are presented as the theoretical background. The concept and image of vivid colors, and cases of fashion illustrations using vivid colors, along with their analysis of contrasting colors are studied as well. Based on this theory, five fashion illustrations using vivid colors expressed with pastel,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found.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color contrast in fashion illustrations using vivid colors are, simplicity, attractiveness, and planar characteristics Second, by simplifying, exaggerating and malformation of the body through distorting the body thinner and longer, and by omitting parts of the body, the expression effect of the fashion illustration maximized. Third, by trying various vivid color matches, complimentary color contrast showed stronger challenging effects and concentrating effects compared to similarity colors. Fourth, vivid colors, through their strong contrasting effects, emphasizes their original color, thus are effective in fashion illustrations with strong images and high attractiveness. 컬러는 그 시각효과, 이미지 효과가 강하여 다양한 디자인 분야에서의 영향은 매우 크다고 볼 수 있다. 비비드 컬러에 관한 선행 연구들이 패션 디자인에서 다각도로 연구되어지고 있으나 패션의 영역중 비주얼 효과가 중요한 패션 일러스트레이션 분야에서는 다양한 기법이나 이미지 표현 등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을 뿐 컬러를 중심으로 연구되는 사례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비비드 컬러를 이용한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을 연구하여 이론적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을 표현함에 있어서 현대의 패션 이미지를 창조적으로 표현하고 예술적 가치를 높이는 장식목적의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을 개발 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는 문헌조사 방법에 의한 이론적 배경과 그것을 토대로 한 작품 제작으로 구성하였다. 이론적 배경으로는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의 개념 및 용도,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을 표현하는데 가장 중심이 되는 인체 표현에 있어서 다양한 인체변형에 대해 알아보았다. 또한 비비드 컬러의 개념과 이미지, 비비드 컬러를 이용한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의 사례와 색상대비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본 연구의 작품 제작은 비비드한 컬러의 파스텔을 이용하여 패션 일러스트레이션 5점으로 작품을 제작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비비드 컬러를 이용한 패션일러스트레이션의 색상대비 특성은 단순성, 주목성, 평면성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체를 가늘고 길게 왜곡시키고 부분적으로 생략 하는 등 인체를 단순화, 과장, 기형화하여 변형함으로서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의 표현효과를 극대화하고 패션 메시지 전달의 효율화로 장식효과를 높일 수 있었다. 셋째, 비비드 컬러의 매치를 다양하게 시도함으로써 유사색에 의한 대비보다 보색대비에 의한 컬러 매치가 시각적으로 도전적인 효과를 보였으며 더욱 집중되는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비비드 컬러의 색채 특성은 선명한 대비효과에 의해서 자기 본연의 색상을 더욱 강조함으로써 강렬한 이미지의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을 제작함에 있어 효과적이었고 시각적으로 주목성을 높일 수 있었다.

      • KCI등재

        유머 이미지 패션 일러스트레이션 개발에 관한 연구

        노윤선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4 조형미디어학 Vol.17 No.3

        The code 'humor', provides an escape from our mentally fatigued everyday life by adrenalizing our happy imaginations. The humor image, as an expression of the escape for the tension and suppression of reality, appears in fashion illustration as well as fashion in general. In accordance with the trend, this study intends to provide new ideas in fashion illustration expression techniques by developing humor image fashion illustrations for decorative purposes. This study builds a theoretical backgroun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then creates illustrations based on the theory. The definition of humor and the response theory of humor are presented as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humor image fashion illustrations are classified by distortion, juxtaposition, repetition, extension and contraction, and type play.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fashion illustrations, using childish collages of color paper and vivid colors, were developed for effective expression of humor images. The following results were found. First, Humor is a form inducing laughter which is not formed by the existing principles of beauty, order, proportion, balance, and harmony, but by contradiction and inhomogeneity such as distortion, juxtaposition, extension and contraction, repetition, or type play. Second, humor image fashion illustration induces unexpected fun and curiosity through unpredictability and incongruity, thus not only provides laughter but also allows the observer to approach with a sense of freedom. Third, relieve from psycological tension was seeked by using childish collages of color paper and vivid colors to create a sense of closeness. Distortion and juxtaposition are very effective ways to present humor images from a child's perspective, and through trying various formativeness and expressions, ways to show image of humor faces are infinite. ‘유머’라는 코드는 동서양을 막론하고 누구에게나 유쾌한 상상력을 자극하는 소재로 정신적으로 힘든 일상에서의 탈출을 제공한다. 또한 유머 이미지는 긴장되고 억압된 현실로부터의 탈피를 원하는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는 표현방법으로 패션 일러스트레이션 분야뿐만 아니라 패션 전반에 걸쳐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맞추어 유머 이미지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을 개발하여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의 다양한 표현 기법과 새로운 아이디어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문헌조사에 의한 이론적 배경과 그것을 토대로 한 작품 제작으로 구성하였다. 이론적 배경으로는 유머의 정의 및 효과, 유머의 반응이론에 대하여 고찰하였으며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에 표현된 유머 이미지의 작품 사례를 왜곡, 병치, 반복, 확대 및 축소, 타입 플레이 등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를 토대로 본 연구의 작품 제작은 유머 이미지의 효과적인 표현을 위해 색종이를 자른 듯한 유아(幼兒)적 표현의 꼴라주(collage) 기법을 사용하였으며 단순하고 명확한 형태와 비비드(vivid) 컬러를 응용하여 유머 이미지를 극대화 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유머는 웃음을 유발하는 형태로 그 저변에는 우월자의 입장이 내재되어 있으며 기존의 미의 원리인 질서, 비례, 균형, 조화로 구성되는 것이 아니라 왜곡, 병치, 확대와 축소, 반복, 타입 플레이 등 모순되거나 이질적인 요소가 도입 되었을 때 형성된다. 둘째, 유머 이미지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은 의외성, 부조화 등 재미와 호기심을 유발하며 유머러스한 표현은 단순히 웃음만을 주는 것이 아니라 정신의 해방감을 느끼게 하여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친근하게 다가감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작품 제작 과정을 통해 꼴라주 기법, 비비드 컬러를 이용한 유아적 표현이 대중에게 친근감과 즐거움을 주어 심리적 긴장감을 해소하는 결과를 시도해 보고자 하였다. 또한 왜곡과 변형된 형태는 유머이미지를 표현하는데 매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으며 얼굴의 조형성과 표정을 다양하게 시도함으로서 얼굴의 유머 이미지 표현은 무궁무진함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키덜트(Kidult) 이미지를 응용한 패션 일러스트레이션 연구

        노윤선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5 조형미디어학 Vol.18 No.3

        A 'kidult' means an adult who wants to keep the innocence of childhood even after growing up and it is considered as a culture derived from a desire of moderners to escape from excessive pressure and stress from the society and looking for something light and fun rather than heavy or serious. Based on the theoretical review of kidult, the present study aimed to develop fashion illustration that emphasizes joyfulness, childlikeness and simplicity of kidult by using collage among many fashion illustration techniques, all of which are intended to create a art work that can arouse pure human emotion to the public. In addition, it attempts to develop a fashion illustration designed for decoration with kidult images, creating an unique domain of kidult illustration and proposing a new direction to it. This study builds a theoretical backgroun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then creates illustrations based on the theory. For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is study, the present study reviewed the concept and emerging background of kidult through precedent studies. And it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fashion illustration applying kidult images.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fashion illustrations, using childish collages of color paper and vivid colors, were developed for effective expression of kidult images. The following results were found. First, the examination of precedent studies upon kidult in visual art revealed the categoriz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new concept into joyfulness, childlikeness, simplicity, diversity and fantasy and that such distinctions were expressed in fashion illustrations in diverse ways. Second, the fashion illustrations with kidult images aroused unexpected fun and curiosity and enabled to have free imagination and dream beyond fixed frame of idea to which adults are mostly confined. In addition, they allowed readers to feel their minds escaping from constraints and their innocence of child to newly emerge in an intimate manner. 키덜트는 어른이 된 이후에도 어린이의 동심 세계를 유지하고 싶어 하는 것을 말하며 현대인들의 과도한 중압감과 스트레스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문화로써 무겁고 진지한 것 대신 즐거움과 재미를 추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키덜트에 관한 이론적 고찰을 바탕으로 다양한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의 기법 중 꼴라주(collage)기법을 응용하여 키덜트의 유희성과 유아성, 단순성을 강조한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을 개발하여 대중들로 하여금 순수한 인간의 감성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작품을 제작하고자 한다. 또한 키덜트 이미지를 장식목적의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으로 개발하여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의 독자적인 영역을 확고히 하고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문헌조사에 의한 이론적 배경과 그것을 토대로 한 작품 제작으로 구성하였다. 이론적 배경으로는 키덜트의 개념 및 발생배경을 살펴보았으며 시각 예술에 나타난 키덜트의 선행연구와 키덜트 이미지를 응용한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본 연구의 작품 제작은 키덜트 이미지의 효과적인 표현을 위해 색종이를 자른 듯한 유아적 표현의 꼴라주 기법을 사용하였으며 단순하고 명확한 형태와 비비드(vivid) 컬러를 이용하여 키덜트 이미지를 극대화 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시각예술에 나타난 키덜트의 선행 연구를 통해 키덜트의 특성은 유희성, 유아성, 단순성, 다양성, 환상성으로 나누어 볼 수 있었으며 이런 특성들이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에도 다양한 형태로 표현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키덜트 이미지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은 예상치 못한 재미와 호기심을 유발하며 성인들의 관습적 사고의 틀을 넘어 자유로운 상상과 꿈을 갖게 한다. 또한 정신의 자유와 해방감을 느끼게 하여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내부의 동심이 새롭게 드러나고 친근하게 다가감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장 뒤뷔페(Jean Dubuffet) 작품을 응용한 패션 일러스트레이션 연구 - 우를루프(L'Hourloupe) 시기 작품을 중심으로 -

        노윤선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6 조형미디어학 Vol.19 No.3

        The fashion illustration is expanding to broad meaning of delivering the fashion image and it functions as a source of inspiration of fashion creation. A variety of experimental works are studied for the creative expression methods from simple diagrams of trimming to highly artistic expressions that show the fashion image. According to this kind of tendency,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new direction of fashion illustration using art works by developing fashion illustration that applied Jean Dubuffet's works. This study builds a theoretical backgroun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then creates illustrations based on the theory. As the theoretical background, it looked into forming background of Jean Dubuffet's life and works dividing his works into the early times, L'Hourloupe times, and later times and mainly examined the formativeness of L'Hourloupe times which was the motive of his works. To make the works, it developed with the motive of paintings and sculptures at the L'Hourloupe times. To express forms of sculptures effectively that look like a proliferation of cells and puzzles which are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that time, it used the collage technique that cuts and pastes felts and made 6 fashion illustration works mainly faces and hair decorations using vivid colors. Through the study, the fashion illustration that applied Jean Dubuffet's works created accidental image through the movement of playing lines and recombination of various parts, the imagination was maximized with the unpredictable accident and created personalized images.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은 패션 이미지 전달이라는 넓은 의미로 확대되고 있으며 창조의 폭을 넓혀 주는 패션 창조의 영감 원으로서의 기능을 한다. 복식의 단순한 도해에서부터 패션 이미지를 나타내는 고도의 예술적 표현에 이르기까지 창의적인 표현 방법을 위해 실험적인 작품이 다양하게 연구되어지고 있다. 이러한 경향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장 뒤뷔페(Jean Dubuffet)의 작품을 응용한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을 개발하여 예술작품을 활용한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의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문헌조사에 의한 이론적 고찰과 그것을 토대로 한 작품 제작으로 구성하였다. 이론적 배경으로는 장 뒤뷔페의 삶과 작품의 형성 배경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장 뒤뷔페의 작품을 초기, 우를루프(L'Hourloupe) 시기, 후기로 나누어 고찰하였고 작품의 모티브가 되는 우를루프 시기 작품의 조형성을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작품제작을 위해서는 우를루프 시기의 회화와 조각 작품을 모티브로 전개 하였으며 이시기의 조형적 특성인 마치 증식중인 세포, 퍼즐처럼 생긴 조각들의 형태를 효과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펠트를 잘라 붙이는 꼴라주 기법을 사용하였고 비비드(vivid)컬러를 이용하여 얼굴과 헤어장식 위주의 패션 일러스트레이션 6점을 제작하였다. 본 연구 결과 장 뒤뷔페의 작품을 응용한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은 유희적인 선의 움직임과 여러 가지 조각의 재조합으로 우연적인 이미지를 창조하며 이렇게 예측할 수 없는 우연성으로 상상력이 극대화되고 개성화된 이미지로 창조됨을 알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