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공시빈도와 정보효과

        노밝은(Roh, Bahl-Geun) 글로벌경영학회 2013 글로벌경영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13 No.1

        본 연구는 기업의 공시수준이 회계이익의 정보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하고 공시수준의 대용치로 공시빈도를 사용하여 이를 검증하였다. 시장참가자들은 투자의사결정을 위해 기업에 대해 보다 많은 정보를 요구하므로 만약 공시 빈도가 높은 기업, 즉 시장에 제공하는 정보의 양이 많은 기업일수록 해당 기업의 정보환경이 개선된다면, 시장참여자들이 대표적으로 이용하는 공적정보인 회계이익의 유용성이 증가되어 정보효과가 높게 나타날 것이다. 그러나 공시된 정보의 정 보가치가 낮거나, 유사 공시의 반복 등은 오히려 기업이 제공하는 정보에 대한 신뢰성을 감소시킬 수도 있으므로 공시수준과 회계이익의 정보효과의 관련성은 실증의 문제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에 대한 검증을 위하여 2003년부터 2010년까지의 표본기간을 대상으로 기업의 공시빈도를 주된 독립변수로 하고 12개월간의 누적초과주식수익률을 종속변수로 하는 수익률-이익모형을 통해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기업의 공시빈도는 주식수익률과 유의한 양(+)의 관련성을 보이고 있어, 공시자체에 대해서는 시장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내리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회계이익의 정보효과는 공시 수준이 증가할수록 오히려 감소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었으며, 이러한 결과는 측정오류를 최소화하기 위한 다양한 공시빈도의 대용치를 사용하였을 경우에도 유사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시장참여자들은 기업이 공시한 정보를 투자의사결정에 이용하지만 정보가치가 없거나 유사공시의 반복 등, 의사결정에 유효하지 않은 공시의 남발은 오히려 시장참가자들에게 노이즈로 작용하며, 이로 인해 해당 기업이 공시한 정보에 대한 신뢰성이 감소하여 대표적인 공적정보인 회계이익의 정보효과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가져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결국, 시장참가자들은 기업에 대하여 많은 정보를 요구하기는 하지만, 그 정보의 유효성에 따라 투자의사결정에 반영한다고 판단된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갈수록 다양한 공시제도가 도입되고, 자발적 공시가 증가하고 있는현 시점에서 공시가 시장참여자들의 의사결정에 어떻게 반영되는지 회계학적 측면에서 살펴보았다는 데에 의의가 있으며, 정보의 양적인 측면 뿐 아니라 질적인 측면까지 고려하여야 한다는 결과를 제시함으로써, 공시시장 및 실무에 관한 연구자 및 정책입안자들에게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Disclosure is being used as one of the most useful information in approaching company s accounting information. According to increase in the amount of disclosure, the information that information users can use will be increased. This way, as the whole amount of information that investors can use climbs up higher, the investors can more effectively use the accounting information of various corporations. As a result of this, the information asymmetry existing in the market will be decreased. Once again, the increase of disclosure means the increase of whole amount of information investors can effectively use, and by using those information, we can expect the expansion of the market efficiency. In this study, I am going to study these disclosure s functions from accountancy point of view. If there are relations between accounting earnings and stock price that are caused by the amount of information being provided in the market, We expect that higher disclosure frequency will cause increase of informativeness in accounting earings. On the other hand, if excessive disclosure information exposed to the market, that high disclosure frequency might be decrease informativeness in accounting earnings. To verify this hypothesis, in this study, I will use disclosure frequency of various corporations as a substitution of corporate disclosure level and calculate disclosure proxies by various method. I will find out if the disclosure s quantity influences accounting earnings informativeness by verifying the relations between RET and disclosure frequency of corporations that had been listed in the stock market from the year 2003 to 2010. I believe this study can help verifying market efficiency, first of all. For the second, this study can help checking changes in current stock market which is being provided more and more information each day. Finally, I hope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practical disclosure and research by diagnosing informativeness of accounting earning information concerned with disclosure of capital market in Republic of Korea.

      • KCI등재

        수익비용대응과 회계정보에 대한 시장반응

        노밝은 ( Bahl Geun Roh ),이세용 ( Se Yong Lee ) 한국회계학회 2012 회계학연구 Vol.37 No.3

        본 연구에서는 수익비용대응의 수준에 따라 회계이익 정보인 수익과 비용에 대한 시장반응이 달라지는지를 분석하였다. 수익비용대응 수준은 Dichev and Tang(2008)의 방법을 수정하여 당기 총수익과 당기 총비용간 회귀식의 결정계수(adj.)로 측정하였으며, 투자자들이 수익과 비용에 대하여 차별적으로 반응하는지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제 수익과 비용에서 재무분석가의 수익과 비용 예측치를 차감하여 비기대수익과 비기대비용을 구한 후, 시장조정주식수익률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1991년부터 2009년까지 유가증권 시장에 상장된 12월 결산법인 중 금융업에 속하지 않는 기업을 대상으로 분석을 수행한 결과, 수익비용대응 수준이 낮은 기업의 경우, 회계이익의 구성요소인 수익과 비용에 대한 시장반응은 유의하게 다른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익비용대응 수준이 높은 기업의 경우에는 수익과 비용에 대한 시장반응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수익비용대응이 적절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회계이익 정보에 노이즈가 상대적으로 많이 포함되어 시장참가자들이 수익과 비용에 다르게 반응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추가적으로 수익비용대응이 적절한 기업과 그렇지 않은 기업 간의 회계이익의 정보효과가 다르게 나타나는지를 분석한 결과, 수익비용대응의 수준이 높은 기업에서 회계이익의 정보효과는 더 크게 나타났다. 선행연구에서는 수익과 비용에 대한 시장반응이 다르다는 것을 보고하고 있을 뿐, 그 원인에 대해서는 명시적인 분석을 제시하고 있지 않다. 또한 선행연구들은 전체적인 시장 수준에서 수익비용대응의 적절성이 훼손됨에 따라 이익변동성이 높아지고 이익지속성이 낮아지고 있음을 검증하였지만, 개별기업의 차원에서 수익비용대응 수준이 낮아지는 경우, 시장참가자들이 이에 대하여 어떠한 평가를 내리고 있는지에 대하여는 연구를 진행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수익과 비용에 대한 차별적인 시장반응과 수익비용대응의 두 가지 측면을 모두 고려하여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선행연구에서 나타난 수익과 비용의 차별적인 시장반응이 수익비용대응 수준의 저하 때문이라는 것을 보이고, 나아가 개별기업의 수익비용대응 수준의 차이에 따라 회계이익의 정보효과가 달라진다는 것을 실증하였다는 점에서 선행연구에 추가적인 공헌점이 있다고 판단된다.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IFRS)은 원칙중심의 회계기준으로서 재무제표의 구체적인 양식을 제시하지 않고 계정과목도 특별하게 규정하지 않으며, 또한 공정가치에 기초한 회계처리 방식을 따르고 있기 때문에 기업이 보고하는 재무제표에 포함되는 회계정보에 경영자의 자의적인 판단이 개입될 여지가 있다. 따라서 동일한 회계이익이라고 하더라도 기업마다 그 속성은 상이하게 나타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수익비용대응 수준이 낮아지면 수익과 비용에 대한 시장반응이 다르게 나타나고, 회계이익의 정보효과가 감소하므로 수익비용대응을 고려하지 않은 회계처리는 회계정보의 유용성을 증대시키는 데에 부정적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K-IFRS 하에서도 재무제표에 보고하는 수익과 비용 항목에 대하여 일정 부분 가이드라인을 제시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즉, K-IFRS에 따라 원칙중심 회계기준이 적용된다고 하더라도 재무제표에 보고하는 수익과 비용이 더욱 적절히 대응되는 경우 투자자들은 해당 기업의 회계정보를 보다 유용한 정보로 이용할 것이므로, 수익비용대응 원칙을 일정 부분 활용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matching principle refers to the accounting process that the expenses should be recognized in the accounting period when the revenues are recognized. The matching principle has played a key role in accrual-based accounting for a long time in that the performance of a firm is measured by matching revenues to expenses that is used to get the revenues. However, since 1970s, the importance of matching principle has faded away as Financial Accounting Standard Board(FASB) changed the base of accounting process from Income Statement to Statement of Financial Position. In addition, International Financial Reporting Standards(IFRS) is getting a primary accounting standard in many countries. South Korea also adopted IFRS as its accounting standard recently and established Korea-adopted IFRS(K-IFRS). K-IFRS does not contain detailed accounting information in financial statements as it is principle- based accounting. As a result, matching principle is gradually losing its role in accounting process. In the circumstances of decrease in the importance of matching principle, this paper is to re-examine the importance of matching principle. Considering the change in the accounting reporting environment that is heading toward principle-based accounting driven by K-IFRS and ignoring the role of matching principle, the investig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tching level and usefulness of accounting information becomes a compelling topic. To put it concretely, this paper investigates how the matching level between revenues and expenses influences market reactions to accounting information as well as usefulness of accounting information. That is to say, this paper aims at verifying how the market reactions to revenues and expenses vary depending on matching levels. As the measure of matching level, adjusted R2 obtained from regressing current revenues on current expenses is used. The regression to get adjusted R2 is the modified version of Dichev and Tang(2008)`s model. Market reactions are measured as the coefficients in the regression of stock returns on surprises of revenues, expenses and earnings. Revenue surprises are calculated as actual revenues less analysts forecasts of revenues. Expenses and earnings surprises are calculated in the same wa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mpanies listed on Korean Securities Market from 1991 to 2009, the differential market reactions to revenues and expenses appear to be significantly large in the poor matching firms, while no significant difference is found in the good matching firms. The result implies that the matching level can be a cause of the differential market reactions between revenues and expenses. In addition, the result can be interpreted such that relatively more noise is included in the accounting information when matching level is low. This paper also examines the difference of the informativeness of accounting earnings between the good matching firms and the poor matching firms. The results show that the informativeness of accounting earnings is higher for the good matching firms relative to the poor matching firms. This result implies that the matching level can be the measurement of the earnings quality. It means that market participants consider the accounting earnings of the good matching firms more useful in their decision makings. Compared to prior studies, this paper has two distinctive implications as follows. First, prior studies have showed that investors value higher a dollar of revenue surprises than a dollar of expense surprises(Ertimur et al., 2003), but prior studies didn`t provide the reason why investors react more to revenue surprises than expense surprises. Focused on this point, this paper suggests that the matching level could be the reason of the differential market reactions between revenue and expense surprises. Second, previous studies showed that the mismatching between revenues and expenses decreases earnings persistence and increases earnings volatility in a time series framework(Dichev and Tang., 2008; Beak, 2011a). This paper analyzes directly whether investors evaluate the accounting earnings depending on the matching level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paper, we make a suggestion that reporting guidelines with respect to matching revenues and expenses should be provided for higher usefulness of accounting information, particularly under the circumstances that principle-based accounting standards are applied under K-IFRS.

      • KCI등재후보

        IR과 회계이익의 정보효과 -IR 세부내용 및 개최빈도를 고려하여-

        노밝은(Bahl-Geun Roh) 글로벌경영학회 2012 글로벌경영학회지 Vol.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investor relation(here after, IR) on the earnings informativeness. In this paper, I analyze the effect of holding IR on earnings informativeness by return-earnings model using 3,690 firm-year non-financial samples from 2000 to 2008.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a significant decrease earnings informativeness of the firms which held IR, in contrast to firms which did not. And the results is not changed even when using management performance disclosure. Overall, the case of firms which held IR, earnings information already spread in the capital markets because investors make decision prior to earnings disclosures IR source of information, Accounting earnings are relatively low value of information in itself. I expect that the results provide meaningful implications for the market participants who use IR information in making investment decisions. 본 연구에서는 기업설명회(Investor Relations, 이하 IR)가 회계이익의 정보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였다. 2000년부터 2008년까지의 표본기간을 대상으로 유가증권 시장 상장 12월 결산 비금융업 표본에 대하여 IR개최 여부 뿐 아니라, IR개최 내용 중 경영실적 공시, 그리고 IR개최빈도의 세 가지 측면에서 회계이익의 정보효과가 달라지는지를 수익률-이익 모형을 통하여 살펴 보았다. 분석결과, 회계이익의 정보효과는 IR을 개최한 기업에서 IR를 개최하지 않은 기업보다 오히려 낮게 나타나고 있으며, 경영실적 공시 여부를 변수로 사용한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을 수행하는 경우에도 이러한 현상은 동일하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IR을 하는 기업들의 경우, 이미 자본시장에 기업과 관련한 정보가 IR을 통하여 대부분 알려져 있기 때문에 투자자들은 회계이익 공시 이전에 IR를 포함한 다른 정보원천에서 얻은 정보를 기반 으로 투자 의사결정을 수행하고, 회계이익 자체의 정보가치는 상대적으로 적게 둔다고 볼 수 있다. 또한 IR에 공시되는 내용이 유사한 내용이거나, 반복공시인 경우, 또는 추가적인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시장참가자들이 이를 활용하지는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연구는 기업의 자발적 공시중 하나인 IR에 대한 세부적인 정보를 제공함과 더불어, 기업의 공시품질과 관련한 연구를 확대하는 데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연구논문 : 회계저널; 수익비용대응과 재무분석가의 이익예측정확성

        노밝은 ( Bahl Geun Roh ) 한국회계학회 2013 회계저널 Vol.22 No.4

        본 연구는 수익비용대응의 수준에 따라 재무분석가의 이익예측 정확성이 달라지는지를 분석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였다. 시장참가자들은 투자의사결정을 하기 위하여 미래이익에 대한 예측정보를 필요로 하는데, 미래이익의 예측치로서 많은 정보이용자들이 관심을 갖는 것이 재무분석가의 이익예측치이다. 재무분석가는 전문가 집단으로서 시장에 정보를 전달하는 중요한 매개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K-IFRS(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의 도입으로 인하여 기업의 성과측정 방식이 공정가치평가에 기반한 방식으로 변화하고 있는 현 상황에서 기업의 회계정보를 분석하여 미래이익을 산출하는 재무분석가의 역할을 살펴보는 것은 더욱 중요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수익비용대응의 측정치로 Dichev and Tang (2008)과 백원선(2011a)의 방법론에 근거한 당기 총수익과 당기 총비용간 회귀식의 설명력 (adj.R^2)을 사용하였으며, 재무분석가의 이익예측정확성은 개별기업에 대한 재무분석가의 이익예측치에서 실제치를 차감하여 계산하였다. 1991년부터 2009년까지 유가증권 거래소 상장 12월 결산법인 중 금융업에 속하지 않는 기업을 대상으로 분석을 수행한 결과, 수익비용대응의 정도가 낮은 기업일수록 재무분석가의 이익예측정확성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는 수익비용대응의 정도를 다양하게 측정하거나 재무분석가의 이익예측정확성 산출기간을 다양하게 하는 경우에도 동일한 결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Dichev and Tang(2008)에서 실증한 것처럼 수익비용대응이 적절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이익의 예측가능성이 감소하여 이에 따라 재무분석가들이 이를 이용하여 미래이익을 예측하는 데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수익비용대응의 수준이 재무분석가 이익 예측치에 영향을 미치는 원인 중 하나임을 시사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수익비용대응의 훼손으로 기업의 이익예측가능성이 감소하였다는 선행연구의 결과에 더하여 실제로 재무분석가들이 이를 파악하고 예측치에 반영하고 있는지, 그에 따라 이익예측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지에 대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는 측면에서 선행연구에 추가적인 기여점이 있다. 또한 수익비용대응 수준이 낮은 기업에서 재무분석가가의 이익예측정확성이 떨어진다는 본 연구의 결과는, 수익과 비용의 대응 정도가 재무제표에 보고되는 이익에 영향을 미치며, 이에 따라 회계정보의 유용성도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K-IFRS의 도입에 따라 원칙중심 회계기준을 적용한다고 할지라도 수익비용대응원칙을 일정부분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재무분석가들의 미래이익예측정보를 이용하는 다수의 시장참가자들의 투자의사결정에 있어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examines whether analysts` forecast accuracy varies depending on matching levels. The matching principle refers that the expenses recognition should be occurred while the revenue is recognized by matching two terms. The principal has cast the base of accrual bases accounting in that the profitability (revenues) of a firm properly matches to the efforts(expenses) that the firm makes by adjusting the recognition time of revenues and expenses. Recently adopted Korean International Financial Reporting Standards (here after, K-IFRS) does not provide detailed financial statement as they are principles-based accounting standards. Since a firm can make decisions upon the title of account as long as it is not imposed, even the same earnings can yield different prosperities depending on firms. The obtained by regressing current revenues on current expenses is based on Dichev and Tang (2008) is used as the proxy of matching. Analysts` forecast accuracy is calculated by subtracting actual earnings from earnings forecasts for each firm. Analysis of the Korea listed companies from 1991 to 2009 reveals that analysts` forecast accuracy decreases as the matching level decreases. As Dichev and Tang(2008) reported, the result implies the analysts encounter difficulties in performing earnings forecast because earning predictability drops when the matching does not properly incur.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empirical evidence that verifies that low matching levels can affect usefulness of accounting information negatively. Accordingly, a certain level of reporting guidelines with respect to the title of revenues and expenses need to be suggested, particularly for the moment when principles-based accounting standards are applied under K-IFRS. This study can provide significant implications that need to be addressed to achieve the purpose of accounting report at this time point when the new standards are applied due to the adoption of K-IFRS. Finally, developing a distinct proxy of matching level takings more valid and diverse approaches or comparison study between pre- and post- K-IFRS deserves further study.

      • KCI등재

        기업설명회와 주가표류현상

        노밝은 ( Bahl Geun Roh ),이재홍 ( Jae Hong Lee ) 한국회계학회 2014 회계저널 Vol.23 No.4

        본 연구는 기업설명회(Investor Relations, IR)와 주가표류현상의 관련성에 대해 살펴보고, 기업설명회 공시 내용에 따라 주가표류현상이 다르게 나타나는지를 검증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2001년부터 2008년까지의 표본기간을 대상으로 IR을 개최한 기업과 그렇지 않은 기업들간에 주가표류현상에 차이를 보이는지를 분석한 결과, IR을 개최한 기업의 주가표류현상이 더 크게 나타나고 있었다. 또한 IR을 개최한 기업만을 대상으로 영업실적을 공시한 기업과 기타 공시를한 기업간의 주가표류현상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에서는 IR에서 영업실적을 공시하는 경우에 주가표류현상이 더 작게 나타나는 모습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IR 개최로 정보량은 증가할 수 있으나, 해당 정보가 투자자들에게 오히려 혼란을 가중시켜 주가표류현상을 강화하는 반면, IR에서 공시된 정보가 영업실적 공시와 같은 유효공시인 경우에는 기업의 회계이익에 대한 이해가 증가하고 이에 따라 투자자들간의 정보비대칭이 감소하여 이익공시일 이후 주가표류현상을 완화 시키는 것으로 해석된다. 본 연구는 IR이 가지는 효과에 대하여 공시내용을 구분하여 실증분석을 시도하였다는 데에 의미가 있으며, 기업의 자발적 정보공시가 자본시장의 이상현상 중 하나인 주가표류현상을 완화시킬 수있는지에 대하여 검증하였다는 의의를 가진다. 이러한 본 연구는 기업의 자발적 공시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데에 기여를 할 것으로 생각되며, 주가표류현상이 나타나는 이유가 시장참가자들이 회계정보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에 기인한다는 선행연구를 뒷받침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하였다는 데에 추가적인 공헌점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investor relations (hereafter, IR) and post-earnings announcement drift (hereafter, PEAD ), one of the most extraordinary phenomena in the capital market. PEAD may differ depending on the content of disclosure related to IR. The sample period examined in this study extends from 2001 to 2008. Differences were investigated between firms engaging in IR activity and those not engaging in IR activity in terms of PEAD. The results revealed that PEAD was greater for firms engaging in IR activity. In a second analysis, we limited the sample to those firms engaging in IR activity, and investigated the effects of disclosure versus non-disclosure. The results indicated that firms disclosing operating performance information through IR activity experienced less PEAD than those not doing so. While engaging in IR activity increases the amount of information available to potential investors, this information may simply confuse investors and exacerbate PEAD. However, if the information is related to management performance and accounting numbers are presented, understanding of the firm`s accounting earnings will increase and eventually, information asymmetry among investors will decrease, thus mitigating PEAD after the earnings announcement. In our empirical analysis of the effects of IR involvement, we classify the content of disclosure and examine the mitigating effects of voluntary disclosure on PEAD. The significance of voluntary disclosure is emphasized, and supporting evidence is provided for the findings of previous papers, which stated that PEAD is caused by market participants` lack of understanding of accounting information.

      • KCI우수등재

        공정공시제도 도입으로 인한 회계이익의 가치관련성 변화에 대한 연구

        이세용 ( Se Yong Lee ),노밝은 ( Bahl Geun Roh ) 한국회계학회 2011 회계학연구 Vol.36 No.1

        우리나라에서 2002년 11월에 도입된 공정공시제도는 경영자가 기업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재무분석가나 기관투자자 등 특정인에게 선별적으로 제공하고자 하는 경우, 모든 시장참가자들이 동 정보를 알 수 있도록 증권시장을 통해 이를 사전적으로 공시하도록 하는 제도이다. 이러한 공정공시제도의 효과와 관련하여 선행연구들은 공정공시일의 주가변동성이나 재무분석가 이익예측치의 정확성 등을 검증함으로써 공정공시제도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그러나 이들 선행연구들에서는 공정공시제도에 따라 회계이익의 유용성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분석이 이루어지고 있지 못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정공시제도의 도입에 따라 회계이익의 가치관련성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분석함으로써 공정공시제도의 도입에 따라 회계이익의 유용성에 어떠한 변화가 나타났는지를 분석하였다. 이의 분석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1999년부터 2006년까지의 기간을 대상으로 공정공시제도 도입을 전후하여 일정 기간 동안에 나타나는 회계이익의 가치관련성 변화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공정공시제도의 도입 이후, 전체 기업에 대한 회계이익의 가치관련성은 유의하게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으며, 공정공시 미시행기업의 경우, 회계이익의 가치관련성은 공정공시제도 도입 이후 기간에 증가하지 않는 반면, 공정공시 시행기업의 회계이익의 가치관련성은 공정공시제도 도입 이전 기간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공정공시제도의 도입에 따라 회계이익 정보의 선별적 제공이 제한됨으로써 자본시장의 정보비대칭이 완화되고 결과적으로 회계정보의 유용성이 증가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In Korea, Regulation Fair Disclosure(RFD, hereafter) was adopted in November, 2002. The purpose of RFD is to prevent the selective provision of information on firms to selected interested parties, and to urge firms to announce the same information to the public that they want to give to the selected parties such as analysts or institutional investors. By blocking selective disclosure through the RFD, regulators` intention was to eliminate any informational advantages that had benefited the selected parties only. Prior studies in Korea show that the enforcement of RFD reduced the leakage of advanced information (Lee & Choi, 2004), which implies that information asymmetry among market participants was mitigated after the adoption of RFD. For example, volatility of abnormal returns or variation of stock trading volume has been decreased on the disclosure day in the concerned industries (Kim et al, 2005). And Oh & Sohn (2006) showed that there was significant decrease in both analysts` forecasting performance and their optimistic bias after the enforcement of RFD. Foreign prior studies also show that RFD reduces volatility of abnormal return in the earings announcement day, the leakage of advanced information, and the trading expense. Many studies also show that the forecasting accuracy has not been declined even if relative uncertainty in the forecasting of earnings has become large (Shane et al., 2001; Heflin et al., 2003; Gadarowski and Sinha., 2007; Eleswarapu et al., 2004). Although many prior studies, domestic or foreign, showed that (the 생략) RFD has positive effects as mentioned above, however, it might have negative effects as well. RFD can restrict the communication between analysts (or institutional investors) and firm managers, which leads to the result that analysts might have difficulty in gathering private information needed to forecast future earnings from managers. In addition, there could be a loss in available information for investors, because it is likely that managers are reluctant to announce information due to both the complicated procedure of RFD and penalties against unfair disclosure. Additionally, whether to disclose or not is subject to managers` arbitrary decision because of the ambiguity of the related regulations concerned with the requirement which the firms should disclose to satisfy the RFD. In the stream of research that we have seen in the above, we could not find any studies as to whether the usefulness of accounting earnings has changed after the adoption of RFD. Therefore, the purpose of our paper is to examine whether the adoption of the RFD has increased the value relevance of earnings or not. By doing so, we hope that we could answer the question, whether RFD has made positive effects on the usefulness of accounting information. Value relevance as a summary indicator of informativeness of accounting numbers is related with the question, "how well the accounting information summaries every information that affects stock price ex post facto at least". However, the most prominent problem about the value relevance is that current stock price is a noisy proxy about true firm value. So we can measure the value relevance by estimating how much the accounting information include distinct information independent with current stock price about true firm value. (Kwon et al, 2010. p.569) In this respect, by blocking selective disclosure, the earnings information can be transferred faster. In this case, we can expect that the relation of earnings and returns would be improved. If this expectation is appropriate, we can believe that earnings information would be transferred to the market participants more quickly by RFD. And then RFD might increase value relevance in the capital market. In this context we can find the validity of the RFD in the accounting perspective. To achieve our purpose, we selected the sample for the period from 1999 to 2006, and analyzed the changes in value-relevance of accounting earnings before and after the adoption og RFD. The results showed 1) the value-relevance of accounting earnings has increased significantly for the entire firms after the adoption of RFD, 2) for the firms that did not practice fair disclosure, increase in value-relevance of accounting earnings has not been observed, and 3) however, for the firms that did practice fair disclosure, the value-relevance of accounting earnings has increased more after the adoption of RFD compared with before the adoption of RFD. These results imply that with the adoption of RFD, selective provision of accounting information is restricted, information asymmetry in capital markets is also mitigated, and, as their results, the usefulness in accounting information is increased. Compared to prior studies, this paper has two distinctive implications as follows. Firstly, most of prior studies have analyzed the changes in information asymmetry driven from RFD. Concretely they examined the market response around the event day, which was mainly the date when regulators announced that they would enforce fair disclosure, or measured the increase or decrease in the accuracy of earnings forecasts by analysts after RFD, However, the prior studies have not worked on the concrete analysis about how RFD has affected the informativeness of earnings. In this kind of research stream,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RFD on the value relevance which is an important measure of accounting earnings` usefulness. So we expect that our paper would tell how RFD improves the usefulness of accounting information by analyzing the changes in value-relevance of accounting earnings before and after the adoption of RFD. Secondly, most Korean prior studies have made short-term analyses such as the effect of the RFD by event study or immediate effect after the adoption of the system. Our study, however, analyzed the long-term effect of RFD by seeing value relevance of accounting earnings for eight years, each four years before and after the adoption, respectively. Nevertheless, our study has limitations as follows. Firstly, compared to the firms not practicing fair disclosures, firms practicing fair disclosures show value relevance significantly high after RED, but the significance level is about 10 percent, which means that our results is not robust. So we are hoping for studies that would back up our conclusion. The way of backing up could be adding more samples, rearranging samples used in this paper and so on. Secondly, it is risky to generalize the conclusion of our study to every firms because we could not observe the effect of RFD on small firms. We guess that the reason is not the ineffectiveness of RFD but the prejudiced market response toward the small firms. Even if a small firms disclose well, market may not trust the announcement for the simple reason that they are small ones. This kind of facts would be a subject studied afterward. In conclusion, we believe that the adoption of RFD improves informational environment in capital market and then strengthens value relevance. But in the cases of firms not practicing fair disclosure and small firms, there exist no effect of RFD. Therefore, we believe that we need to make some improvements to RFD to help it function properly.

      • KCI등재후보

        자율공시가 회사채 신용평가등급에 미치는 영향

        박미희 ( Mi Hee Park ),노밝은 ( Bahl Geun Roh ) 한국세무회계학회 2015 세무회계연구 Vol.0 No.46

        본 연구에서는 개별기업의 자율공시수준이 회사채 신용등급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분석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2006년부터 2011년까지 유가증권 상장 12월 결산법인을 대상으로 3,718개의 기업-년 표본을 대상으로 분석을 수행한 결과, 자율공시 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회사채 신용등급이 증가함을 발견하였다. 또한 자율공시수준의 측정치를 다양하게 하여 분석을 하는 경우에도 일관된 결과가 나타났으며, 특히, 자율공시 수준을 측정한 여러 측정치 중 기업의 규모를 통제하는 경우에서 가장 강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기업이 자율공시를 높은 수준으로 수행하는 경우 기업의 규모와 상관없이 시장에 긍정적인 신호를 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투자자들의 미래 현금흐름에 대한 불확실성이 감소하여 최종적으로 회사채 신용등급을 높이는데에 기여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면, 시장참가자들은 기업의 공시제도에 따라 의사결정의 영향을 받으며, 특히 경영자가 자발적으로 수행하는 자율공시는 보다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자율공시의 수준이 높을수록 기업에 대한 정보제공이 원활해지게 되어 투자자들 간의 정보비대칭은 감소하고, 이에 따라 기업의 미래 불확실성은 감소하여 채무불이행에 대한 불안감은 줄어들 것으로 예상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자율공시를 높은 수준으로 수행하는 기업의 회사채신용등급이 증가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대부분의 자발적 공시에 관련한 기존 선행연구에서는 자발적공시와 경영자의 이익조정 측면에서 분석을 수행하고 있는 데에 비하여 투자자 측면에서 공시에 대한 평가를 탐지하고자 자율공시와 회사채 신용등급간의 관련성을 분석함으로써, 시장의 정보비대칭을 감소시킬 목적으로 도입된 다양한 공시제도가 순기능을 하는지를 검증하였다는데에 의의가 있다. 또한 경영자의 자발적 공시 중 하나인 자율공시제도가 회사채 신용등급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분석함으로써, 자율공시가 시장에 어떠한 변화를 가져오는지를 감지하고, 이를 회사채 투자의사결정에 반영하는지 검증하는 최초의 연구로, 자본시장에서의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합리적 의사결정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investigates how voluntary disclosure level of the individual companies is associated corporate bond credit rating. The sample consists of non-banking firms(3,718 Firm-years)with December fiscal year listed in Korean Stock Exchange over 2006-2011. The credit rating information and other firm-specific data are collected from Kis-Value LIBRARY database. The result is as the voluntary disclosure level of corporate bond credit rating increase it was found to be increased. The empirical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Market participants are affected by the decision in accordance with the company’s disclosure. In particular, management is carried out by voluntary self-disclosure that can be understand as a more positive assessment. After all, the higher the level of voluntary disclosure provides information about the company is to be smoothly reduced information asymmetry between investors. Accordingly, companies are anxious about the uncertainty of future defaults by reduction can be expected to decline. As a result, self-bond rating of the company performing the high standard of the disclosure it can be construed to increase. This study is voluntary disclosures are aware of the coming bring any changes in the market, which in the first study to verify that reflected in corporate bond investment decisions, are expected to help in the rational decisions of the various stakeholders in the capital market.

      • 기업의 공시수준과 회계이익의 정보효과에 관한 연구

        김병희(Kim Byoung Hee),노밝은(Roh Bahl Geun) 한국경영교육학회 2013 한국경영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3 No.12

        2000년 3월 전자공시시스템의 도입과 2002년 11월 공정공시제도의 시행 등으로 공시자료에 대한 접근성이 커지고, 투자자들 간 차별 없이 공시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되었다. 이에 따라 기업의 정보를 담고 있는 공시는 시장참가자들의 투자의사결정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기업의 공시수준에 따라 회계이익의 정보효과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분석하였다.시장참가자들은 합리적인 투자의사결정을 위해 기업에 대한 보다 많은 정보를 요구하게 되며, 기업은 공시를 통해 시장참가자들에게 정보를 전달하려 할 것이다. 만약 기업이 시장에 제공하는 정보, 즉 공시수준이 높을수록 정보환경이 개선된다면, 시장참가자들이 대표적으로 이용하는 공적정보인 회계이익의 유용성이 증가되어 정보효과가 높게 나타날 것이다. 그러나 정보가치가 미약한 내용이 포함된 공시의 경우, 기업이 제공하는 정보에 대한 신뢰성을 감소시켜 회계이익의 정보효과가 오히려 낮게 나타날 수도 있다. 따라서 공시수준과 회계이익의 정보효과의 관련성은 실증의 문제라 할 수 있다.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2003년부터 2010년까지의 기간을 대상으로 기업의 공시빈도를 주된 독립변수로 하고 12개월간의 누적초과주식수익률을 종속변수로 하는 수익률-이익모형을 통해 분석을 수행하였다.분석 결과, 기업공시자체에 대해서는 시장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내리는 모습을 보였으나, 회계이익의 정보효과는 공시수준이 증가할수록 오히려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정보효과와 공시수준 간의 관계는 측정오류를 최소화하기 위한 다양한 공시빈도의 대용치를 사용하였을 경우에도 유사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시장참가자들이 기업의 공시정보를 투자의사결정에 이용하고 있지만, 그 정보가치가 없거나 의사결정에 유효하지 않은 공시라고 판단할 경우에는 오히려 공시정보가 시장참가자들에게 노이즈로 작용할 수 있음을 추측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해당 기업이 공시한 정보에 대한 신뢰성이 감소하여 대표적인 공적정보인 회계이익의 정보효과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가져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즉, 시장참가자들은 기업에 대한 많은 정보를 필요로 하지만 공시된 정보의 유효성에 따라 투자의사결정에 반영한다고 판단된다.본 연구의 공헌점은 다음과 같다. 먼저 다양한 공시제도가 도입되고, 자발적 공시가 증가하고 있는 현 시점에서 공시가 시장참가자들의 의사결정에 어떻게 반영되는지 회계이익의 정보효과 관점에서 종합적으로 고찰한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그리고 기존의 자발적 공시만을 살펴본 선행연구의 결과 외에도 모든 공시를 포함한 경우에도 공시수준과 회계이익의 정보효과 간에 유의한 관련성이 있음을 밝힘으로서 선행연구와의 차별성을 가진다. 끝으로 공시정보의 양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질적인 측면까지 고려하여야 한다는 결과를 제시함으로써, 실무연구자 및 정책입안자들에게 공시제도의 개선 시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Disclosure is being used as one of the most useful information in approaching company's accounting information. According to increase in the amount of disclosure, the information that information users can use will be increased. This way, as the whole amount of information that investors can use climbs up higher, the investors can more effectively use the accounting information of various corporations.As a result of this, the information asymmetry existing in the market will be decreased. Once again, the increase of disclosure means the increase of whole amount of information investors can effectively use, and by using those information, we can expect the expansion of the market efficiency.In this study, I am going to study these disclosure's functions from accountancy point of view. If there are relations between accounting earnings and stock price that are caused by the amount of information being provided in the market, We expect that higher disclosure frequency will cause increase of informativeness in accounting earings. On the other hand, if excessive disclosure information exposed to the market, that high disclosure frequency might be decrease informativeness in accounting earnings. To verify this hypothesis, in this study, I will use disclosure frequency of various corporations as a substitution of corporate disclosure level and calculate disclosure proxies by various method. I will find out if the disclosure's quantity influences accounting earnings informativeness by verifying the relations between RET and disclosure frequency of corporations that had been listed in the stock market from the year 2003 to 2010.I believe this study can help verifying market efficiency, first of all. For the second, this study can help checking changes in current stock market which is being provided more and more information each day. Finally, I hope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practical disclosure and research by diagnosing informativeness of accounting earning information concerned with disclosure of capital market in Republic of Korea.

      • KCI등재

        신용평가등급 변화에 따른 차별적 시장반응

        박미희(Park, Mi-Hee),노밝은(Roh, Bahl-Geun) 글로벌경영학회 2014 글로벌경영학회지 Vol.11 No.1

        본 연구는 기업의 신용평가등급 변화에 따라 시장의 반응이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를 검증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고, 신용평가 등급이 하락한 경우와 상승한 경우에 따라 시장이 차별적 으로 반응하는지에 대하여 검증하고자 한다. 만약 시장참가자들이 신용평가 등급의 변화를 감지 하고 이를 투자의사결정에 반영한다면, 신용평가등급이 하락하거나 또는 상승함에 따라 차별적인 반응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2004년부터 2008년까지 1,656개의 기업-년 표본을 대상으로 분석을 수행한 결과, 신용평가등급이 하락한 기업의 경우 그렇지 않은 기업에 비하여 시장은 부정적으로 반응하고 있었다. 반면 신용평가등급이 상승한 기업의 경우에는 그렇지 않은 기업에 비하여 긍정적인 시장반응이 나타났다. 또한 신용평가등급이 하락한 기업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가 신용평가등 급이 상승한 기업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보다 크게 나타나고 있어, 시장은 신용평가 등급 하락과 상승에 대하여 차별적으로 반응하고 있으며, 부정적인 정보에 대하여 더욱 민감하고 반응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신용평가등급과 관련한 기존 연구들은 주로 신용평가등급의 개선을 위하여 이익조정을 수행하 는지와 신용평가등급 자체가 주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한 연구가 대부분이다. 본 연구는 이에 더하여 신용평가등급 변화에 초점을 맞추고, 신용평가등급이 상승하는 경우와 하락하는 경우에 따라 차별적인 시장반응이 나타나는지를 검증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일부 선행연구 에서 신용평가등급에 대한 시장반응을 살펴본 바 있으나 신용평가 등급의 상승 또는 하락을 구분 하여 분석을 수행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본 연구는 신용평가등급의 변화를 시장에서 감지하고 이를 투자의사결정에 반영하고 있으며, 신용평가 등급이 상승하거나 하락하는 경우에 따라 투자자들이 차별적으로 반응하고 있음을 검증한 최초의 연구로, 본 연구의 결과는 자본시장에서의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투자의사결정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되며, 정책당국과 채권자 및 신용 평가정보의 생산자인 신용평가회사의 합리적인 의사결정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association between credit rating changes and market reaction. Credit rating agencies provide opinions on the credit worthiness of entities and their obligations. Their role is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securities markets by increasing the transparency of securities and reducing information asymmetry between investors and issuers. Anecdotal evidence suggests that managers generally describe their capital structure policy in terms of target credit ratings and tend to make a variety of financing, hedging, and investment choices that allow them achieve their desired rating. Therefore, the credit rating is considered as a useful indicator to investors and bondholders. The sample consists of non-banking firms(1,656 Firm-years)with December fiscal year listed in Korean Stock Exchange over 2004-2008. The credit rating information and other firm-specific data are collected from Kis-Value Ⅲ database. The credit rating haves from 1 point to 10 points. 1 point represents firms with the worst credit rank and 10 points represents firms with the best credit rank. The empirical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redit rating downgrades have a non-significantly positive influence on the price. Also, we find that managers have a motivation to obtain higher credit rating because credit ratings affect financing cost and the growth and the profitability of companies. Second, the credit rating upgrades are significantly positive influence on the price. The results in this paper imply that credit significantly changes affect price. This paper will contribute to accounting and tax research that examines price and to several lines of existing research on credit rating as well.

      • KCI등재

        감사인 지정에 대한 시장반응

        이세용 ( Se Yong Lee ),정형록 ( Hyung Rok Jung ),노밝은 ( Bahl Geun Roh ) 한국회계학회 2009 회계학연구 Vol.34 No.1

        감사인 지정제도는 자율적인 감사시장에 규제기관이 개입하는 우리나라의 특수한 제도로서 우리나라 선행연구들은 주로 재량적 발생액을 이용하여 감사인 지정제도의 효과를 분석해 왔다. 그러나 재량적 발생액은 기본적으로 측정 오차의 문제와 회계정보의 이용자 입장에서 감사인 지정제도에 대한 평가를 반영하고 있지 못하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 더하여 감사인 지정에 대한 시장반응을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1994년부터 2002년까지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된 12월 결산 제조업 중에서 증권선물위원회에서 감사인 지정을 최초로 받은 179개 기업을 표본으로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감사인 지정일을 기준으로 전후 일정기간의 누적초과주식수익률은 유의적인 양의 값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감사인 지정기업과 유사한 기업특성을 갖는 대응 표본을 구성하여 누적초과주식수익률을 비교한 경우에도 감사인 지정기업의 누적초과주가수익률이 대응기업의 누적초과주식수익률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적으로 수익률-이익 모형을 이용하여 감사인 지정에 대한 시장의 인식을 분석한 결과 대응기업의 이익반응계수는 특정한 추세를 보이지 않지만, 감사인 지정기업의 이익반응계수는 감사인 지정 전의 기간에는 지속적으로 감소하다가 감사인 지정년도를 지나면서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어 장기적인 관점에서 볼 때에도 시장은 감사인 지정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term "Mandatory Auditor Designation" refers to a exceptional regulation, in Korea, through which a regulation authority, SFC(Securities & Futures Commission), intervenes in the audit market, by designating auditors mandatorily to certain firms, so that the firms can provide reliable accounting information to market participants. For example, auditors have been assigned mandatorily to the firms with higher disparity between ownership and management, high level of debt ratio, and excess of loans, etc. However, since audit committee was introduced to monitor audit process in 1999, mandatory auditor designation by SFC is not applied to firms whose audit committee designates auditors to the firms. In addition, it is possible that SFC can designates auditors mandatorily to firms again unless the causes of mandatory auditor designation have not been resolved for three years after the first mandatory auditor designation. Thus, SFC is believed to expect that the reliability of accounting information could be increased with the regulation of mandatory accounting designation, which implies that mandatory auditor designation can be a way to protect accounting information from being decreased driven by FAES(Free Audit Engagement System). Therefore, by checking whether mandatory auditor designation has made substantially effective, this paper provides both market participants and a regulation authority with important implications as to the validity of SFC`s intervention in free audit market, with regard to the reliability of accounting information and independence of auditors. Prior studies have examined the effectiveness of mandatory auditor designation by analyzing the change in discretionary accruals, and showed that auditors are able to keep their independence from firms and discretionary accruals has decreased after mandatory auditor designation(Park 1996; Kwon et al .2004; Ahn et al. 2004; Park et al. 2005). However, there are fundamental limitations in their conclusions that accounting information quality has been improved, if the conclusion has been extracted from analyzing decreases in discretionary accruals. This is because discretionary accruals have two problematic properties. The first is that we cannot always treat discretionary accruals as opportunistic, considering its positive role of signalling managers` private information to the market(Subramanyam, 1996). The second is that discretionary accruals are far from measurement errors. In addition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atic properties of discretionary accruals, discretionary accruals, themselves, do not show directly how the information users react to the regulation of mandatory auditor designation. Considering that the purpose of financial reporting is to provide market participants with reliable information, the effectiveness of mandatory auditor designation should be verified by checking whether the market investors perceive the improvement in reliability of the accounting information by mandatory auditor designation. Therefore, unlike the prior studies, our paper investigates the effects of the mandatory auditor designation using market responses to it. According to prior studies in Korea, the independence of mandatorily designated auditors are expected to be increased. From this point, we expect that the increased independence will make earnings quality higher for the mandatory auditor designation firms, thereby leading to positive market responses to mandatory auditor designation. To do it, we analyze cumulated abnormal returns (hereafter, CARs) around the day of mandatory auditor designation. And the purpose of mandatory auditor designation by SFC is supposed to improve the quality of accounting information, not only in the short window but also in the long window. So, we examine the long-term effect of mandatory auditor designation, in addition. To do it, we analyze the earnings response coefficients(hereafter, ERCs) from the returns-earnings model. For the period from 1994 through 2002, we obtain 179 firm-years where auditors are firstly and mandatorily designated by SFC.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of the market response reveals that significantly positive CARs are observed during a certain days around the day when auditors are firstly and mandatorily designated. For the robustness of our analysis, we collect matching samples whose firm-characteristics is similar to those of the designated firms. Naturally, the auditors of matching firms are not designated auditors. Comparing the mandatory auditor designation firms with the matching firms, we observe that CARs of the mandatory auditor designation firms are higher than CARs of the matching firms. Second, for the mandatory auditor designation firms, ERCs steadily increase after the mandatory auditor designation year, while ERCs continuously decrease before the designation year. However, we could not find any noticeable trends in ERCs for the matching firms. This discrepancy implies that the market also positively responses to the mandatory auditor designation even for a long-term period. Therefore, our findings reinforce the results of prior studies by showing positive effects of the mandatory auditor designation. However, because our paper focuses only on the firms whose auditors are firstly and mandatorily designated by SFC, we cannot trace the firms that are designated again after the first designation year.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vious literature, discretionary accruals has changed differentially according to the causes of mandatory auditor designation. In our paper, we do not consider the possibility of differential market responses to the different mandatory auditor designation causes. Both the market responses to the firms with repeatedly designated auditors and the differential responses to the differential causes of mandatory auditor designation remain topics for future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