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과학교육에서 인성 관련 연구의 동향 분석

        남일균 ( Ilkyun Nam ),임성민 ( Sungmin Im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7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7 No.3

        이 연구의 목적은 국내 과학교육 연구 문헌들을 분석하여 과학교육에서 인성 관련 연구의 동향을 조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1990년부터 2016년 12월까지 KCI 등재 학술지와 국내 석·박사 학위 논문중 인성 관련 과학교육 연구 문헌들을 추출하였으며, 이를 연구 출처, 수행 연도, 인성 관련 용어별 연구, 연구 대상, 연구 설계 및 방법, 내용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총 54편의 KCI 등재 논문과 67편의석·박사 학위 논문이 추출되었고 이중 인성, 윤리, 도덕을 표제어로 포함하는 연구가 각각 46%, 49%, 5%를 차지하였다. 연도에 따른 분석 결과 2012년을 기점으로 인성 관련 과학교육 논문의 수가 전에 비해 2배 이상 급격히 증가했음을 알 수 있었다. 연구 대상에서는 영재 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았고 인성과 관련된 많은 연구가 영재 교육 중심으로 수행된 것을 알 수 있었다. 2009년을 기점으로 질적 연구와 혼합 연구 설계 논문이 양적 연구 설계의 논문수를 앞서기 시작했다. 연구 방법은 다양한 연구 방법들이 골고루 사용되어 16%에서 19%정도의 비율을 보여 주었고 해석 연구 방법이 12%, 검사 도구 타당성 연구가 2%로 가장 낮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전체분석 대상 논문들의 핵심어 중에서 대표 핵심어 30개를 추출하여 인성 관련 과학교육 연구 내용을 분석한 결과 자연과의 관계 영역에서 인성과 SSI 등 인성과 관련된 다양한 과학교육 연구의 함의를 확인할 수 있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인성 관련 과학교육 연구 내용은 더욱 다양화 되었고 연구 수행 빈도는 증가하였으며 시대적 요구에 따라 새로운 연구 내용들이 등장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trends of character-related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by analyzing science education research literatures in South Korea. To this end, literatures on character were extracted from the KCI-listed journals and theses from 1990 to December 2016, and analyzed according to the criteria such as terms relating to character, year of publication, research design and method, and research content. A total of 54 KCI-listed papers and 67 theses were extracted. As a result, 46%, 49%, and 5% of the researches include the terms like character, ethic, and moral in their titles. According to the year of publication, it was found that the number of research papers related to character increased rapidly by more than two times in 2012 as compared to the past years. According to research objects, researches about gifted students were the most common, and when considering the ratio of gifted students to general students, many studies related to character concentrated on gifted students. Starting 2009, research papers on qualitative and hybrid research design begin to advance as compared the number of papers in quantitative research design. With regards to research methods used, seven methods were classified; five of them ranged from 16% to 19% while interpretive research method was 12% and test tool validity study was the lowest at 2%. By extracting 30 representative keywords so as to analyze the contents of character-related researches, we found various implications to character in relation to nature and researches about SSI, etc. As time passed by, the contents of character-related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became more diversified and the number of researches increased. New research contents appeared due to the needs of the times.

      • KCI등재

        소외계층학생을 대상으로 한 과학교육 연구의 동향 분석

        남일균 ( Ilkyun Nam ),이상원 ( Sang Won Rhee ),임성민 ( Sungmin Im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7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7 No.6

        이 연구의 목적은 소외계층학생을 대상으로 실시된 국내 과학교육 연구 문헌들을 분석하여 이에 대한 연구의 동향을 조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1984년부터 2017년 2월까지 KCI 등재·등재후보 학술지와 국내 석·박사 학위 논문 중 장애, 저소득, 농산어촌, 다문화, 탈북, 학업위기, 기타소외 학생을 대상으로 수행된 과학교육 연구 문헌들을 수집하여 이를 연구 출처, 수행 연도, 연구 대상, 연구 설계, 연구 방법, 연구 내용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총 125편의 학술지 논문과 147편의 학위 논문이 수집 되었다. 이중 장애학생에 대한 연구가 61%, 학습부진학생 20%, 탈북 학생에 대한 과학교육 연구는 6%였고 나머지 소외계층학생집단에 대한 연구는 모두 5%미만의 수치를 보여주었다. 연구 연도에 따른 분석 결과 1984년부터 주로 장애학생과 학습위기학생을 대상으로 한 과학교육 연구를 중심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하던 소외계층학생 대상 과학교육 연구는 2008년을 전후하여 급격한 증가를 보여주었고 이후 매년 20편이상의 연구들이 수행되었다. 분석된 논문의 58%가 양적연구, 28%가 질적연구 그리고 14%가 혼합 연구 설계를 사용하였다. 연구 방법에 있어서는 실험 연구 30%, 해석연구 22%, 상관 연구 20%, 그리고 조사 연구가 14%를 차지하였다. 논문의 핵심어를 추출하여 연구내용의 특성을 분석한 결과 소외계층학생을 대상으로 한 과학교육 연구들은 연구 대상자들의 특성을 포함한 다양한 연구내용을 다루고 있었지만 여러 연구에서 지속적이고 집중적으로 다루어진 핵심어는 관찰되지 않았다. 각 소외계층학생에 대한 과학교육 연구들의 집단별 핵심어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한 결과 핵심어 중 ‘학업성취도’가 매개정도와 연결강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rends of science educational researches on underrepresented students by scrutinizing Korean science education research literatures. For this particular purpose, literatures on underrepresented students were extracted from both listed and candidate journals for KCI and theses from 1984 to February 2017, and analyzed criteria such as source, year of publication, design, method, and content of research. A total of 125 papers from journals and 147 theses were extracted. In these researches, 61%, 20%, 6% were about students with disability, underachievers, and North Korean defector students respectively. The ratio of the researches on other underrepresented students such as multicultural, low income families, students who are from rural areas, and other underrepresented students were less than 5%. According to the year of publication, it was found that the number of research papers on underrepresented students increased continuously by a single digit from 1984 by focusing on the students with disability and underachievers. After that, from around 2008, it showed a rapid increase and researches on underrepresented students carried out more than 20 times annually. With regards to research design, there were 58% quantitative, 28% qualitative and 14% hybrid research design. Through analysis of research methods, we found that 30% of experimental research, 22% of interpretive research, 20% of correlation analysis, and 14% of survey research. After going through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 contents by visuali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search groups and the keywords that were extracted, it was found that even though the science education researches on underrepresented students have various contents, there were no keywords that were researched continuously and intensively in this area.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keywords and each research group on underrepresented students showed that ‘academic achievement’ is the keyword with the highest degree of mediateness and connectedness.

      • KCI등재

        Can Elementary Prospective Teachers Differentiate Weight and Mass Concepts?

        권성기(Sunggi Kwon),남일균(Ilkyun Nam) 한국교원교육학회 2020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7 No.4

        이 연구의 목적은 예비 초등교사들이 질량과 무게의 개념을 어떻게 구분하여 이해하는지를 조사하는 데 있다. 한국의 초등학교 과학 교육과정에는 무게 개념 단원에서 무게 개념을 지도하도록 성취기준을 제안하면서 질량 개념은 지도하지 않도록 했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과학 교육과정은 다른 나라와 비교하면 질량에 대한 개념을 구별하지 못한 채 무게에 대한 개념을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내포할 수 있다. 연구대상은 우리나라의 대도시에 속한 교육대학교에 재학 중인 예비 초등교사 중에서 79명을 학과별로 편의적으로 선택하였다. 무게와 질량에 대한 이해를 묻는 설문지를 개발하여 그 응답을 분석하여 무게와 질량 개념에 대한 구별하는가를 개략적으로 조사하였다. 이런 결과를 바탕으로 질량 개념을 이해하지 못한 상태에서 무게 개념을 가르치는 문제를 논의하고 질량 개념을 바탕으로 무게 개념을 이해하고 가르치는 수업 방법에 대한 아이디어를 정리하였다. 그럼으로써 초등학교 교사 교육과정에서 무게와 질량 질량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촉진하는 방안을 제안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prospective elementary teachers understand the concepts of mass and weight. The Korean elementary science curriculum provided the achievement criteria into the unit of weight to teach the concept of weight but did not teach the mass concept. Therefore, compared with other countries, the Korean science curriculum may imply difficulty in understanding the concept of weight without being able to distinguish the concept of mass. The 79 prospective elementary teachers enrolled in 3 departments of the one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were selected for convenience as the research subject. The questionnaires asking for understanding of weight and mass were developed, and the responses were analyzed to investigate schematically whether the these two concepts were distinguished. Based on this result, we discussed the problem of teaching the weight concept without understanding the mass concept, and summarized ideas on how to understand and teach the weight by basing it on the mass concept. This research proposed the method to promote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weight and mass in the elementary teacher curriculum.

      • KCI등재

        예비교사의 과학의 본성 지도를 위한 과학의 미학적 모델 측정 방안

        권성기 ( Sunggi Kwon ),남일균 ( Ilkyun Nam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20 科學敎育硏究誌 Vol.44 No.2

        이 논문에서는 2차원 미학적 모델의 적합성과 유용성을 찾기 위하여 과학자들이 아름답게 생각하는 10가지 과학 실험들을 과학의 미학적 공간에 표상하였고 동시에 10가지 과학 실험을 바탕으로 과학 실험의 그림을 함께 제시하는 리커트 척도의 측정 도구를 개발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과학의 미학적 모델을 기반으로 과학의 본성을 지도하는 방안과 그 방안의 효과 측정에 대한 활용 가능성을 제안하는 바이다. In order to teach the nature of science which is one of the goals of science education, the aesthetic model of science was developed into a two-dimensional model through theoretical reviews on the aesthetic aspect of science. We represented 10 kinds of scientific experiments that scientists thought are beautiful in the aesthetic space of science. This paper tried to represent the greatest and famous scientific experiments in the history of science into the aesthetic space of science to find the suitability or usefulness of that model. At the same time, we were able to develop measuring tools as the Likert-scale with pictures of scientific experiments. Through this, we propose various teaching approaches on the nature of science (NOS) based on the aesthetic model of science and the potential for utilization in measuring the effects of the ways of teaching NO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