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용수의 중관사상에서 중도 개념 재검토

        남수영(Nam, Sooyoung) 보조사상연구원 2017 보조사상 Vol.46 No.-

        논자는 본 연구에서 ‘1) 용수의 중도 개념에는 과연 실천적 의미가 포함되어 있는 것인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것인가? 2) 만약 용수의 중도 개념에 실천적 의미가 포함되어 있다면, 그것은 보살의 수행 과정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 것인가?’라는 의문을 제기하고, 보행왕정론, 중송, 마하반야바라밀경, 대지도론 등을 중심으로 용수의 중도 개념을 보살행과 관련하여 검토하였다. 중송과 회쟁론 등에 따르면, 용수의 중도 개념은 ‘연기, 무자성, 공, 가명, 비유비무, 불생불멸, 불거불래, 불일불이, 불상부단’의 의미를 포함한다. 그것들은 모두 일체법의 진실을 설명하는 것이기 때문에, 그에 따라 용수의 중도 개념을 한마디로 요약하면 ‘일체법의 진실’이라는 의미가 된다. 그와 같은 용수의 중도 개념에는 실천적 의미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중송에 대한 구마라집의 번역과 대지도론의 언급에 의하면, 용수의 중도 개념은 ‘일체법의 진실’만이 아니라, ‘불타의 진실지’와 ‘보살의 진실지’라는 의미를 포함한다. 용수에 의하면 보살의 ‘진실지’는 보살을 일체법의 자성에 대한 무인식으로 인도하여, 보시와 지계 등에 대한 희론과 분별과 집착과 번뇌를 모두 제거함으로써, 보살의 여섯 가지 보살행을 청정하고 완전한 육바라밀로 변모시킨다. 용수가 ‘무집착 의 보살행’을 ‘청정하고 완전한 것’이라고 생각했던 이유는 불타의 가르침에서 발견된다. 사성제의 가르침에 따르면 무집착은 열반의 특징이고, 열반은 모든 번뇌의 더러움을 떠난 청정하고 완전한 것이기 때문이다. 용수에 의하면 보살의 진실지는 보살행의 완성 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역할을 한다. 첫째, 보살의 진실지는 자비의 자성을 인식하지 않도록 하여, 보살의 마음을 자비의 자성에 머물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자비에 대한 희론과 분별과 집착과 번뇌를 소멸하여, 보살의 자비를 청정하고 완전한 것으로 완성한다. 둘째, 보살의 진실지는 보살로 하여금 보시와 지계 등의 자성 을 인식하지 않도록 하고, 그것들에 대한 희론과 분별과 집착 과 번뇌를 모두 제거함으로써, 여섯 가지 보살행을 청정하고 완전한 육바라밀로 변모시킨다. 셋째, 보살의 진실지는 육바라밀을 반복적으로 실천하는 십지의 각 단계에서 육바라밀의 자성을 인식하지 않도록 함으로 써, 보살의 육바라밀을 희론과 분별과 집착과 번뇌가 소멸한 청정하고 완전한 것으로 유지하여, 마침내 무상정등각을 성취 하도록 돕는다. 넷째, 보살의 진실지는 무상정등각의 자성을 인식하지 않도록 하여, 무상정등각에 대한 희론과 분별과 집착과 번뇌를 제거함으로써, 보살의 무상정등각을 청정하고 완전한 것으로 유지한다. 이로부터 용수의 중도 개념은 ‘일체법의 진실’이라는 의미만이 아니라, 그와 같은 일체법의 진실을 아는 ‘진실지’라는 실천적 의미도 함께 포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왜냐하면 진실지는 용수가 보행왕정론에서 제시한 보살행의 3요소 가운데 하나로서, 보살의 자비와 육바라밀을 청정하고 완전한 것으로 완성하여 무상정등각을 성취하도록 도울 뿐 아니라, 그가 성취 한 무상정등각을 청정하고 완전한 무상정등각으로 유지하는 역할을 하는 보살행의 완성을 위한 필수적인 요소이기 때문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following two the questions. 1) Will Nagarjuna’s middle-way concept includes a practical meaning, or not includes? 2) If Nagarjuna’s middle-way concept includes any practical meaning, what roles do it in the bodhisattva-practice? Now, summarizing the research contents are as follows. The Nagarjuna’s middle way concept contains the practical meaning of ‘the truth-knowing-wisdom(眞實智)’, and it is indispensable element for the completion of the bodhisattva-practice(菩薩行). Because the truth-knowing-wisdom serves to lead the bodhisattva to the highest-enlightenment(無上正等覺) which is the completion of compassion(慈悲) and six-paramitas(六波羅蜜), as well as it roll in making the bodhisattva’s highest-enlightenment clean one. More specifically, the truth-knowing-wisdom has the following roles in the bodhisattva-practice. 1)The truth-knowing-wisdom make bodhisattva’s compassion clean one, by removing the expansion of meaning(戱論), discernment(分別), attachment(執着), and defilement(煩惱) of compassion, by making bodhisattva not to recognize the svabhava(自性) of compassion. 2) The truth-knowing-wisdom make changes boddhisattva’s six boddhisattva-practice, giving(布施), morality(持戒) etc., into the clean six-paramitas, by removing the expansion of meaning, discernment, attachment, and defilement of giving, morality etc. by making bodhisattva not to recognize the svabhava of giving, morality, etc.. 3) The truth-knowing-wisdom help to complete six-paramitas and acchievement of the highest-enlightenment by maintaining bodhisattva’s six-paramitas clean one which removed the expansion of meaning, discernment, attachment, and defilement, by making boddhisattva not to recognize the svabhava of six-paramitas in each stages of 10steps-performing(十地) in which bodhisattva repeatedly practice the six-paramitas. 4) The truth-knowing-wisdom help to complete the highest-enlightenment clean one by removing the expansion of meaning, discernment, attachment, and defilement, by making boddhisattva not to recognize the svabhava of the highest-enlightenment.

      • KCI우수등재

        인도불교에서 중도 개념의 불연속성과 연속성 * -불타, 부파불교 , 용수의 중도설을 중심으로

        남수영(Nam, Sooyoung) 불교학연구회 2017 불교학연구 Vol.50 No.-

        논자는 본 연구에서 불타, 부파불교, 그리고 용수의 중도설을 비교하여 중도 개념의 불연속성과 연속성을 파악함으로써, 중관사상의 발생 동기 및 용수의 부파불교 법유론 비판 동기를 중도 개념의 불연속성과 연속성이라는 측면에서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본연구에서 살펴본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불타는 중도를 고락중도, 유무중도, 일이중도, 단상중도 등의 의미로 사용하였지만, 부파불교의 논사들은 불타의 중도설을 고락중도와 단상중도를 중심으로 이해하였다. 불타, 부파불교, 그리고 용수의 중도설을 비교해보면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 수 있다. 부파불교의 법유론은 불타가 설했던 유무중도와 단상중도의 단절과 불연속성을 함축한 다. 그러나 용수의 중관사상은 불타가 설했던 유무중도 및 일이중도와 단상중도의 복원과 연속성을 함축한다. 용수는 그 밖에도 부파불교의 법유론이 불타의 중도설만이 아니라, 사성제, 연기, 삼법인 등과 같은 불타의 근본 가르침과 세간의 도덕 관습들을 모두 올바르게 설명할 수 없으며, 오직 일체법이 연기이고, 무자성, 공, 가명, 중도임을 승인할 때에만 비로소 불타의 근본 가르침과 세간의 도덕 관습이 모두 올바르게 성립할 수 있음을 논증하였다. 이와 같은 고찰로부터 중관사상의 발생 동기 및 용수의 부파불교 법유론 비판 동기를 새로운 측면에서 이해할 수 있다. 요컨대 중관사상의 발생 동기 및 부파불교 법유론에 대한 용수의 비판 동기는 불타의 중도설 복원을 통한 불타의 근본 가르침 및 세간적 도덕 관습의 복원이었던 것이다. This article tried to understand both the motive of occurrence of Madhyamika Philosophy and the motive of Nagarjuna’s critique on the Realism of Schola Buddhism, from standpoint of the continuity and discontinuity of Middle Way conception. In order to catch out the continuity and discontinuity of the conception of Middle Way, this study compared the conception of Middle Way in Early Buddhism with that of Schola Buddhism and of Nagarjuna. In Early Buddhism, the Middle Way was generally used in four conceptions; the Pain-Pleasure Middle Way, the Being-Non-being Middle Way, the Sameness-Difference Middle Way, and the Eternity-Extinction Middle Way. But the scholars of Schola Buddhism understood the Middle Way of the Buddha through two conceptions of the Pain-Pleasure Middle Way and the Eternity- Extinction Middle Way. When we compared the conception of Middle Way in Early Buddhism with that of Schola Buddhism and of Nagarjuna, we can know that the Realism of Schola Buddhism implies the cutting and discontinuity of the Being-Non-being Middle Way and the Eternity-Extinction Middle Way of the Early Buddhism, but Nagarjuna’s Madhyamika Philosophy implies the restoration and continuity of the BeingNon-being Middle Way, the Sameness-Difference Middle Way, and the EternityExtinction Middle Way of Early Buddhism. Nagarjuna proved that only when we admit that all things are the Middle Way,the basic teachings of the Buddha and the moral customs of people can be correctly established. From this, we can understand the motive of occurrence of Madhyamika Philosophy and the motive of Nagarjuna’s critique on the Realism of Schola Buddhism from a new perspective. In short, the motive of occurrence of Madhyamika Philosophy and the motive of Nagarjuna’s critique on the Realism of Schola Buddhism were the restoration of basic teachings of the Buddha and moral customs of people through the restoration of Middle Way theory.

      • KCI등재

        중관학파의 공사상에서 자비의 성립과 완성 - 『大智度論』을 중심으로

        남수영(Nam Sooyoung) 보조사상연구원 2006 보조사상 Vol.25 No.-

          대승불교는 일반적으로 공사상을 근본으로 하면서도 중생에 대한 자비를 강조한다. 그런데 공사상의 실천은 일체법에 대한 무집착으로 나타나므로, 일체법이 공임을 주장하는 중관학파는 열반에도 집착하지 않는 철저한 무집착의 실천을 주장하게 된다. 그러나 바로 여기서 ‘보살이 일체법이 공이라는 반야지를 깨닫게 되어 중생을 포함하는 일체법에 대한 집착을 모두 끊어 버린다면 자비도 불가능하지 않을까?’하는 의문이 제기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관학파의 여러 논서들을 보면 자비는 여전히 그 실천의 중심에 놓여 있음을 본다. 그렇다면 중관학파의 공사상에서 자비와 空은 어떤 방식으로 대립하지 않고 공존할 수 있는 것일까? 또 자비의 성립 동기는 무엇이고, 보살은 어떤 과정을 거쳐서 그것을 완성시켜 나가는 것일까? 필자는 그와 같은 몇가지 문제들을 중관학파의 초기 문헌인 『대지도론』을 중심으로 하여 살펴 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예상과는 달리 중관학파는 일체법이 공임을 아는 반야지를 모든 덕목의 근거라고 생각했던 것이 아니라, 자비를 모든 덕목의 근거라고 생각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또 『대지도론』은 ‘중생을 대상으로 하는 자비, 법을 대상으로 하는 자비, 대상이 없는 자비’ 등 소위 세 가지의 자비를 설하고, 이 중에서 ‘대상이 없는 자비’야말로 부처가 행하는 자비로서 최고의 자비라고 설한다. 『대지도론』의 이와 같은 설명을 『중론』이나 『금강반야바라밀경』의 문구들을 통해서 검토해 본 결과, 반야지를 성취하도록 촉발하는 근거였던 자비는 다시 반야지에 의해서 더욱 순수하고 청정한 것으로서 완성되는 것임을 알 수 있었다. 즉 중관학파의 공사상에서 반야지는 자비를 근거로 해서 성취되고, 그렇게 해서 성취된 반야지는 다시 자비를 더욱 순수하고 청정한 것으로 완성시키는 관계로서, 반야지와 자비는 서로 대립하는 관계가 아니라 서로 보완하는 관계라는 것이다.   이와 같은 고찰로부터 알 수 있었던 또 다른 사실은 중관학파에서 반야지가 자비를 성립시키는 동기로서 인식되지는 않았다는 점이다. 다시 말해서 반야지는 자비를 더욱 순수하고 청정한 것으로 완성시키기는 하지만 그것에 의해서 자비가 촉발되는 것은 아니고, 오히려 반대로 자비야말로 반야지를 성취하도록 촉발하는 동기로서 생각되었다는 것이다. 이런 사실은 자비가 ‘空觀에 기초한 自他不二의 관념’위에서 성립한다고 주장하는 中村元의 주장이 타당하지 않음을 보여준다. 그러므로 필자는 中村元의 연구와는 다른 측면에서 자비의 성립 동기를 찾아 보고자 하였다.   그리하여 자비의 성립에 대한 다소 불명료한 『대지도론』의 설명을 텐진 갸초의 설명을 통해서 보완한 결과, 자비는 1)고통에 대한 올바른 자각으로부터 다른 중생들이 겪는 고통에 대한 공감의 발생, 2)상호의존인 연기의 자각으로부터 다른 중생들에 대한 친밀감의 발생, 3)자비의 성립이라는 순서에 따라 일어나는 것임을 알 수 있었다. 그렇다면 자비의 성립 동기는 中村元이 제시하는 것처럼 ‘공관에 기초한 자타불이의 관념’이라기 보다는 1)고통에 대한 올바른 자각으로부터 발생한 다른 중생들이 겪는 고통에 대한 공감, 2)상호의존인 연기에 대한 올바른 자각으로부터 발생한 다른 중생들에 대한 친밀감이라고 생각하는 것이 옳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中村元이 제시하는 ‘공관이나 무아설에 기초한 자타불이의 관념’이 자비와 전혀 관계없는 것은 아니다. 즉 자비는 반야지를 획득하는 원인이 되고, 그렇게 해서 획득된 반야지는 다시 보살의 자비심을 더욱 순수하고 청정한 것으로 완성시키는 것처럼, ‘공관에 기초한 자타불이의 관념’은 보살의 자비심을 더욱 순수하고 청정한 것으로 완성시켜 나가는데 기여하는 것이다.   그에 따라 중관학파의 공사상에서 자비의 성립으로부터 완성에 이르는 과정을 종합해 보면, 1)고통에 대한 올바른 자각으로부터 다른 중생들이 겪는 고통에 대한 공감의 발생, 2)상호의존의 연기에 대한 자각으로부터 다른 중생들에 대한 친밀감의 발생, 3)중생을 대상으로 하는 자비의 현현(=衆生緣의 자비, 자비의 성립), 4)보리심의 발생, 5)我空에 대한 올바른 자각으로부터 法을 대상으로 하는 자비의 현현 (=法緣의 자비), 6)法空에 대한 올바른 자각으로부터 대상이 없는 자비의 현현(=無緣의 자비, 大慈大悲의 현현, 자비의 완성)이라는 순서가 될 것이다.   The mah?y?na buddhism emphasizes mercy on all living beings, though it based on the ??nyat?-v?da. But the practice of ??nyat?-v?da reveals itself on the form of thorough non-attachment on all things. Therefore the ??nyat?-v?da of m?dhyamika insists on the non-attachment even on nirv??a. But how the mercy can be possible, if bodhisattva who realized ??nyat? cuts off all attachment on all things even including all living beings?   But the m?dhyamika texts show that the mercy is placed on the center of practice all the same. If so, how both the mercy and the ??nyat? can be exist together? In addition, what is the motive of mercy and by which process bodhisattva completes it? So present writer examined in such topics centering around the early m?dhyamika text Mah?praj??p?ramit?-??stra. As the result of that examination, present writer found that the base of all practical rules is not the wisdom of praj?? but the mercy in the m?dhyamika.   Also present writer found that Mah?praj?? p?ramit?-??stra asserts three kinds of mercy that are 1) the mercy which takes the all living beings as it"s object, 2) the mercy which takes dharma as it"s object, and 3) the mercy which takes no object, and the last is the highest one buddha practices.   The examination on this description of Mah?praj?? p?ramit?-??stra through Madhyamaka-??stra and Vajracchedik?-praj??p?ramit?-s?tra shows that the mercy, which is the base of wisdom of praj??, is completed as the most purest one by the wisdom of praj?? in it"s turn. In other words, the relation between mercy and wisdom of praj?? in the ??nyat?-v?da of m?dhyamika is not antagonistic but complimentary, that is the wisdom of praj?? is attained based on the mercy and the very mercy is completed as the most purest one by the wisdom of praj??.   The other fact, which this examination found, is that the wisdom of praj?? is not the motive of the mercy in m?dhyamika, though it completes the mercy as the most purest one. On the contrarly, m?dhyamika thought the mercy is the motive of wisdom of praj??. This shows the opinion of Nakamura Hajime, that the mercy is caused by the idea of non-difference of me and others, is not correct, because the idea of non-difference of me and others can be possible by the wisdom of praj??. So present writer made efforts to search the motive of mercy centering around Mah?praj??p?ramit?-??stra and Tenzin Gyatso"s exposition.   The supplementary exposition of Tenzin Gyatso to the some obscure exposition on the motive of mercy in Mah?praj??p?ramit?-??stra shows that the mercy is caused through the process of 1) the occurrence of empathy on sufferings, all living beings undergo, by right understanding on the suffering, 2) the occurrence of intimacy on the all living beings by right understanding of prat?tyasamutp?da which means co-dependence. Therefore it would be correct that the mercy is not caused by the idea of non-difference between me and others but caused by 1) the empathy on sufferings, all living beings undergo, which occurred by right understanding on the suffering, 2) the intimacy on all living beings which occurred by right understanding of prat?tyasamutp?da which means co-dependence.   But the idea of non-difference between me and others, proposed by Nakamura Hajime, is not nothing to the mercy. That is, as the wisdom of praj?? caused by the mercy completes the mercy as the most purest one, so the idea of non-difference between me and others contributes to completion of the mercy.   So the process from occurrence to completion of the mercy in the ??nyat?-v?da of m?dhyamika would be 1) the occurrence of empathy on sufferings, all living beings undergo, caused by right understanding on the suffering, 2) the occurrence of intimacy on the all living beings caused by right understanding of prat?tyasamutp?da meaning co-dependence. 3) the occurrence of mercy which

      • 디지털 카메라를 든 여자

        남수영(Sooyoung Nam) 동의대학교 영화·트랜스미디어연구소 2020 디스포지티프 Vol.7 No.-

        This article tries to find a theoretical link between the essay film and women’s cinema by examining images of Agnes Varda's 2000 film <The Gleaners and I>. Adorno’s argument about the form of essay as the critical reason provides an important insight into the discourse of essay film regarding the film’s non-linear process of accumulating experiences. Located between documentaries and experimental films, the essay film asks what we see and learn through exploration and rediscovery of filmic images rather than constructing a logic to produce meanings and knowledge. In <The Gleaners and I> Varda goes on a journey of an essay that “picks up” images, especially with a digital camera in one of her hands. Along with her camera, we look at the various forms of mediated images that have defined our ways of looking, to rediscover images that have been overlooked in the existing value system. This paper analyzes Varda's digital camera as a tool that connects and moves with the seeing body within the world, not separate vis-a-vis the subject of the camera. In this sense, Varda can be said to perform the female film essayist as a dual role.

      • KCI우수등재

        용수(龍樹)의 바이세시카 운동설 귀류 논파 : 『중송』 제2장 「관거래품」을 중심으로

        남수영(Nam, Sooyoung) 불교학연구회 2020 불교학연구 Vol.64 No.-

        본 논문의 목적은 용수가 「관거래품」에서 행했던 바이세시카 운동설에 대한 귀류 논파(歸謬論破)의 구체적인 내용을 파악해 보고자 하는 것이다. 논자는 그런 목적에 따라 우선 제II장에서 바이세시카의 범주론 가운데 「관거래품」의 운동 논파와 관련되어 있다고 생각되는 바이세시카의 운동설을 요약하여 정리하였다. 그런 후 논자는 제III장에서 「관거래품」에서 언급하는 ①지금 가고 있는 것, ②가는 자, ③가는 행위 가운데 ①과 ②를 바이세시카의 여섯 범주 가운데 실체로 ③을 운동으로 대체하면서, 제II장에서 정리한 바이세시카의 운동설 항목들을 「관거래품」 제3, 4, 19, 20송에 적용해 보았다. 그 결과 논자는 용수가 「관거래품」에서 행했던 바이세시카 운동설에 대한 귀류 논파의 구체적인 내용을 확인할 수 있었다. 요컨대 용수는 「관거래품」 제3, 4, 20송에서 바이세시카의 운동설에 따라 현실의 운동 현상을 설명하려고 하면, ①하나의 운동 현상에 두 개의 ‘가는 행위’가 있게 되는 불합리, ② ‘지금 가고 있는 것’과 ‘가는 행위’가 모두 비존재가 되는 불합리, ③ 바이세시카의 운동설 항목들이 양립 불가능하게 되는 불합리가 발생한다는 사실을 드러내어 바이세시카의 운동설을 논파하였던 것이다. 용수가 「관거래품」에서 바이세시카의 운동설을 귀류 논파했다고 해도, 그가 우리의 현실에서 발견되는 운동의 비존재를 주장했던 것은 아니다. 용수는 현실의 운동을 연기(緣起)인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그러나 그럴 경우에도 우리는 용수가 운동의 존재를 승인했다고 생각해서는 안된다. 왜냐하면 용수는 일체법이 연기, 무자성, 공, 가명, 중도인 것이라고 말하는데, 그의 중도 개념 속에는 비유비무(非有非無)의 의미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specifically on the contents of Nagarjuna’s confutation by logic of reduction to absurdity on the movement theory of Vaiśeṣika, which are included in the Chapter of “Reviewing on Going and Coming”, the second chapter of Mūlamadhyamaka-kārikā. Following such purpose, this writer arranged the movement theory of Vaiśeṣika into eight items, which is thought to be related to the confutation from the Chapter of “Reviewing on Going and Coming”. Then this writer has applied the movement theory of Vaiśeṣika to the third, fourth, nineteenth, and twentieth verses from the Chapter of “Reviewing on Going and Coming”, while replacing ‘that which is going now’ and ‘the going one’ with ‘substance’, the ‘going action’ with ‘action’. As a result, this writer got to know the specific contents of Nagarjuna’s confutation by logic of reduction to absurdity on the movement theory of Vaiśeṣika, which Nāgārjuna used in the Chapter of “Reviewing on Going and Coming”. In short, Nāgārjuna confuted by logic of reduction to absurdity the movement theory of Vaiśeṣika in the third, fourth, and twentieth verses of the Chapter of “Reviewing on Going and Coming”, by uncovering the arising of absurdities, when explaining movement phenomenon in reality by the theory of Vaiśeṣika: ① absurdity of two going actions for one movement phenomenon, ② absurdity of non-existence of both that ‘which is going now’ and ‘going action’, ③ absurdity of incompatibility among items constituting the movement theory of Vaiśeṣika

      • KCI등재

        휴대폰 카메라의 색 재현 연구 : Galaxy note 10과 iPhone 11 Pro를 중심으로

        남수영 ( Nam Sooyoung ),이용환 ( Lee Yonghwan ) 현대사진영상학회 2020 현대사진영상학회논문집 Vol.23 No.3

        This study is a comparative study on camera color reproduction according to mobile phone model. I want to analyze color reproduction of mobile phone camera through color difference, color expression and chroma. With the performance of mobile phone cameras advancing in many ways, the most representative competing brands are Samsung and Apple. The two brands, competing for the top spot in sales and market share in the smartphone market, are fiercely competing, drawing public attention whenever new models are released. In this study, Galaxy Note 10 and iPhone 11 Pro, which were released at a similar time (August, September, 2019) and have the same image sensor size, the number of pixel, and pixel size for wide-angle (basic) cameras and use a total of three lenses (wide-angle, telescope, and ultra-wide-angle). The reason why I experiment with 2019 models in 2020 is made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m with the same conditions as possible. X-Rite ColorChecker Classic Charts were taken with Galaxy Note 10 and iPhone 11 Pro under the same conditions and analyzed using Imatest. The two cameras’ telescopes, wide angles (basic), and ultra-wide angles are grouped and analyzed respectively. As a result of the study, I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iPhone 11 Pro reproduces in a color closer to the accuracy than Galaxy Note 10. Second, in Galaxy Note 10, it shows yellow in red, green colors and grayscale colors. In iPhone 11 Pro, gray-scale colors are not mixed, reproducing a color that is close to the accuracy(정색?). Also, Magenta color has been showed in the blue lines, which makes no significant visible difference with the naked eye. Third, the colors of the red and green lines of Galaxy Note 10 are expressed in a relatively high chroma. Through this experiment, we studied about the color reproduction of mobile phone camera according to Galaxy Note 10 and iPhone 11 Pro. The accuracy of the average value is limited because the experiment has not been carried out several times. The results of this experiment cannot be universally applied, as they have been experimented with color reproduction using extremely limited mobile phone cameras at this time of rapid development and release of many mobile phones. In the future, increasing the universality and accuracy of mobile phone cameras will be an opportunity to give consumers a better understanding of mobile phone camera color reproduction and to present the criteria for choosing mobile phone camera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