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경주용 차량의 선회주행 시 주행안전성 확보를 위한 가변형 후방 에어스포일러의 효과에 관한 수치해석 연구(1)

        남상구(Sang-Gu Nam),이서근(Seo-Keun Lee),하양(Heyang),김철호(chul-Ho Kim) 한국자동차공학회 2021 한국자동차공학회 부문종합 학술대회 Vol.2021 No.6

        1887년 프랑스 파리에서 모터스포츠가 시작된 이후로 현재까지도 자동차 경주대회에서 우승을 위한 기록(랩타임)단축은 최고의 목표이다. 경주 중 직선 도로구간에서는 차량이 주행할 수 있는 최고의 속도를 유지하나 곡선 선회구간에 접어들게 되면 운전자는 차량의 속도를 차체의 주행안전 보장을 위해 선회안정 속도까지 감속하게 되며 주행기록에 손실이 발생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차량이 곡선 선회구간을 운행할 때 차체에 발생하는 공기역학 및 동역학적 현상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회전구간에서 코너링 주행 시 차량이 안정적으로 주행할 수 있는 최고 속도 유지를 위한 가변형 후방 에어스포일러의 차체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CFD해석기법을 이용하여 알아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 모터스포츠 차량의 선회 시 선회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최적의 스포일러 형상을 도출한다. 모델 차량에서 후방 에어스포일러의 공기역학적 영향에 관한 정량적 분석을 위해 주행조건의 변화에 따른 차체에 발생하는 저항계수(C<sub>D</sub>), 양력계수(C<sub>L</sub>) 그리고 차량의 전복과 차선이탈에 영향을 주는 요잉모멘트, 롤링모멘트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의 분석을 통해 선회 주행 시 차량이 안정정적으로 주행할 수 있는 최고 속도유지를 위한 후방 에어스포일러의 형상과 받음각이 관계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모터스포츠의 주행 기록향상을 위한 차량 개발뿐만 아니라 향후 상용차량에 적용하여 고속주행 차량의 주행안전성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아베 정권의 역사인식과 한일관계

        남상구(Nam Sang Gu) 한일관계사학회 2013 한일관계사연구 Vol.46 No.-

        본고의 목적은 1965년 한일 국교정상화 이후 일본 정부와 각료의 역사인식 변화라는 틀 속에서 아베 정권의 역사인식 문제를 검토하는 것이다. 검토에 있어서는 한일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정치가의 역사인식 자체가 아니라 언론을 통해 공개되는 정치가의 발언이나 행위라는 점에 주목했다. 식민지 지배와 침략전쟁으로 인해 다대한 손해와 고통을 끼친 것에 대해 사죄와 반성을 표명한 무라야마 담화(1995)는 일본 정부의 공식적인 역사인식이라 할 수 있는데, 동 담화는 무라야마 총리 개인의 역사인식을 반영한 것이라기보다는 1965년 이후 축적된 일본 정부 역사인식의 ‘총결산’ 이었다고 할 수 있다. 나아가 무라야마 담화가 피해 국가들과의 관계를 통해 만들어 졌다는 점에서 동아시아 공동의 자산이기도 하다. 아베 정권의 역사인식도 공식적으로는 무라야마 담화의 틀을 벗어나지 않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아베 총리와 일부 각료가 무라야마 담화와 고노 담화를 부정하는 ‘확신범’이라는 것은 부정하기 어려운 사실이나, 정치가 개인이 아닌 각료로서의 발언이나 행위는 외교관계 등을 고려해 전략적으로 관리되고 있는 것 또한 객관적인 사실이다. 외교관계를 통해 아베 정권의 역사인식이 무라야마 담화의 틀을 벗어나지 못하도록 적극적으로 관리해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또 역사문제로 인한 갈등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공동 조사?연구?해결방안 모색을 위한 틀을 만들 필요가 있다고 여겨진다. This paper will review the recognition of history the government of Japan under Prime Minister Abe Shinz?’s in the context that recognition of history by the Japanese government and cabinet members has changed since the Korea-Japan normalization treaty in 1965. It notes that what influences Korea-Japan relations is not the politician’s historical recognition in and of itself but the politician’s comment or action reported via the media. The Murayama Statement of 1995 is regarded as an official historical recognition of the Japanese government expressing apology and reflection on causing tremendous damage and pain through colonial rule and the war of aggression. The statement reflects “the summary” of the Japanese government’s historical recognition accumulated since 1965 and not the personal historical recognition of then-Prime Minister Murayama Tomiichi. Moreover, the Murayama Statement can be regarded as a common asset of East Asia since it is the result of relations between Japan and affected countries. The historical recognition of the Abe government is in the same context as the Murayama Statement. It is difficult to deny that Prime Minister Abe and some cabinet members are “prisoners of conscience” negating the Murayama Statement and the K?no Statement. But it is still an objective truth that a comment or an action made not as an individual but as a politician or as a cabinet member is strategically handled and given consideration in the context of diplomatic relations. It is important to ensure that the historical recognition of Prime Minister Abe’s government remains within the context of the Murayama Statement. A framework should be established to conduct joint studies and research and to find solutions for easing conflicts that derive from historical issues.

      • KCI등재

        2011년 일본 중학교 교과서 문제 검토

        남상구(Sang-gu Nam) 한일관계사학회 2011 한일관계사연구 Vol.40 No.-

        2011년 일본 중학교 교과서 검정결과를 보면, ‘새역모’ 계열의 역사교과서가 1종에서 2종으로 늘어났고 채택률도 2001년 0.039%에서 3.8%로 증가했으나, 2001년 ‘새역모’ 교과서가 처음 등장했을 때에 비해 한국사회의 관심은 오히려 낮아졌다. 본고는 일본 교과서문제의 역사적 경위, 개정 교육기본법 및 학습지도 요령과 구체적인 교과서 기술의 관계, ‘새역모’ 계열 교과서의 채택률 증가가 갖는 의미에 중점을 두고 2011년 일본 중학교 교과서 문제를 검토했다. 본고에서는 먼저, ‘새역모’ 계열 교과서 2종과 독도 기술을 전면에 내세워 일본 교과서 왜곡 문제를 논할 경우, 침략전쟁에 대한 기술 확대 등 일본 내부에서의 교과서 개선 노력 등을 고려한 종합적이고 전략전인 평가와 대응방안을 수립하기 어렵다는 점을 들어 ‘새역모’ 계열 교과서와 다른 출판사 교과서, 역사 교과서 문제와 독도 기술 문제를 분리하여 검토할 필요가 있음을 지적했다. 둘째, 교육기본법과 학습지도요령은 ‘애국심’에 대한 강조와 더불어 국제주의를 중시하고 있으며, 구체적인 교파서 기술에 영향을 미치는 데는 한계가 있다는 시각에서 교과서 기술과의 상관관계를 구체적으로 검토했다. 셋째, 이쿠호샤 역사ㆍ공민 교과서 채택률 증가와 오키나와현(沖?縣) 야에야마(八重山) 지구의 이쿠호샤 공민교과서 채택을 둘러싼 갈등에 대해 교과서 문제 해결을 위한 돌파구라는 차원에서 검토했다. 일본 교육현장에서 ‘새역모’ 계열 교과서가 일으키는 ‘애국주의’ 바람은 아직은 미풍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바람이 미풍에 그칠지 강풍이 될 지는 앞으로 이 문제에 어떻게 대응해 나가느냐에 달렸다. ‘애국주의’ 바람이 강풍이 되어 타인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는 힘을 잃어버릴 때 일본의 미래뿐만 아니라 동아시아의 미래도 어둡다는 것은 상상하기 어렵지 않다. 일본 교과서 문제는 일본 국내의 문제이자 동아시아의 미래를 가늠하는 잣대라는 차원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다. Since the authorization of Japanese Middle School Textbook in 2011 is announced, a number of the History Textbooks written by “Japanese Society for History Textbook Reform” is increased from 1 to 2, and 0.039% to 3.8% in being selected by schools, while Korea shows less concerns than hack in 200l. This paper will focus on timeline, contents of the new textbooks, and evaluate the Education ministry’s new guidelines and significance of rising number of endorsing the textbook in Japanese schools. To begin with, my point is made to importance of analyzing the description of history and Dokdo respectively, coordinated in the textbooks by “Japanese Society for History Textbook Reform” and other publishers. Secondly, since the guideline highlights on “Patriotism” and “Internationalism”, the review on the relationship of the textbooks and description is included. Thirdly, I exam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ignificance of increasing number of endorsing Ikyhosha History and Citizen Textbooks, and conflicts in endorsing Tkyhosha citizen textbooks in Okinaya and Yaeyanagu regions as a potential solution to the issue. This patriotism sense stirred by “japanese Society for History Textbook Reform” has not touched the peak point yet. However, the future of East Asia can he blurred when Japanese become less sensitive to neighbor countries rather than emphasizing on patriotism and public sense. The issues of Japanese Textbook can be a standard to prospect the future of East Asian as well as Japanese’.

      • KCI등재

        한국증권시장에서 실효 스프레드의 구성

        남상구(Sang Koo Nam),박종호(Jong Ho Park) 한국재무관리학회 2001 財務管理硏究 Vol.18 No.2

        한국 증권시장은 뉴욕증권거래소와 시장구조가 다르다. 미국 시장에서 많은 연구들은 스페셜리스트의 고시 스프레드의 결정 요인과 성분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한국 증권 시장에서는 스페셜리스트가 없어서 고시 스프레드는 존재하지 않으며, 그 대신 많은 투자자들이 낸 지정가 주문이 시장 스프레드를 구성한다. 본 연구에서는 투자자들이 거래하면서 비용으로 부담하는 실효 스프레드를 거래 전 스프레드와, 접속매매에서만 나타나는 접속매매시 역선택 정보비용으로 구분하였으며, 다시 거래 전 스프레드를 주문처리 비용 및 역선택 비용으로 구분하였다. 두 성분의 역선택 비용은 투자자들간의 경쟁이 커지면 작아질 것으로 기대되었다. 동시호가와 접속매매 등 거래 방법에 따라 스프레드의 크기 및 구성이 달라질 것으로 예상하여 동시호가로만 거래가 체결된 시가와 오후 시가, 종가, 그리고 접속매매로만 거래가 이루어진 오전 종가, 오후 접속매매 종가로 구분하여 일별 수익률을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검증 결과 거래 전 스프레드에서 역선택 비용과 접속매매시 역선택 정보비용은 경쟁이 커질수록 작아진다고 할 수 있었다.

      • KCI등재후보

        戰後 日本 政府의 「戰歿者」 遺骨 政策

        南相九(Nam, Sang-Gu) 한일민족문제학회 2005 한일민족문제연구 Vol.9 No.-

        This paper is written about the response of japanese government on Korean funeral ashes after World War II, to put it concretely, repatriation policy of the war dead at the battlefield abroad and sending policy of Korean fallen soldiers back to their homeland. In short, this paper is written to make the problem of korean funeral ashes of the war dead clear. It insists on two main points. The first, Japanese government excluded the korean families of the war dead from the list of reparation on the ground of deprivation koreans of japanese nationality according to Treaty of Peace with Japan in 1951. Nevertheless, japanese government sent unknown korean ashes to japan as japanese ones without any agreement with korea government for th reason why those ashes are unidentified. This is in contradiction to the application of nationality clause in Treaty of Peace with Japan. The ashes came to be buried at Chidori-ga-huchi-boin(National cemetery for unknown japanese soldiers), but three is no reference to korean soldiers on the brochure about it. The second, Japanese government sent 'korean' funeral ashes to south korea from time to time after world War II. Its aim was 'sending back' itself. It was irrelevant to thoughtful consideration for the families of the deceased. To the contrary, it was done under the political surroundings around japan. In short, japanese government just sent the ashes themselves through the korea government with no explanation and notice of the cause of death to the family. But japanese government tried its best for 'their nations' on the problem of notice of death and delivery of ashes. We may call the policy typical dual standard. The funeral ashes of the war dead from the old colony, from the standpoint of japanese government, brought a new bothersome anguish to japan after world War II. It was about the evaluation of japanese empire deconstructed by defeat, and the successive responsibility from the empire era. The right wings like 'the group for the new historical textbook(abbreviated Chukurukai)', insist that the old japanese empire is estimated with unjust manner. But if we take a look into the response of japanese government to the problem of korean war dead and ashes, we can understand japanese government itself recognizes that the old "Japanese Empire" was not 'a normal and modern nation-state'.

      • KCI등재

        韓國戰爭 戰死者 追悼.記念施設 考察

        南相九(Nam, Sang-Gu) 한일민족문제학회 2009 한일민족문제연구 Vol.17 No.-

        本稿の目的は国家保勳処ホームページの<顕忠施設情報サービス>と国防軍事史研究所の戦跡記念物便覧集(1994年)を基に, 韓国戦争に対する記憶がどのように形成·変容されてきたのかを検討するものである. 具体的には第一に, 1948年8月15日大韓民国政府の樹立から2007年までの追悼・記念施設の建設現況を地域別の戦争経験の差に重点を置いて検討した. 第二に, 植民地期における日本軍の戦没者のための追悼施設の建設経験が韓国戦争戦没者の追悼施設の建設にどのような影響を与えたのかについて検討した. 第三に, 韓国戦争と独立運動関連の追悼・記念施設を比較検討した.韓国戦争の戦没者追悼施設と戦争記念施設は, 戦没者に対する追悼と顕彰, 戦争の正当化, 愛国心の高揚のために建設されたもので, 地域では国立墓地の機能を遂行している. 左右の対立による民間人の被害者が多い地域であればあるほど地域社会の葛藤を抑えるための手段として, 戦没者を追悼・顕彰し,戦争を正当化する追悼施設が活発に建立された. 地域社会のレベルで建設された追悼・記念施設は韓国戦争に対する認識を固定化し, これに反する記憶が噴出することを封じ込む機能を果たした.韓国戦争戦没者の追悼施設が終戦直後から速かに建設された原因の一つとして, 植民地期における日本軍の戦没者のための追悼施設の建設経験と延長 線上にあったということがあげられる. そして韓国戦争と独立運動による犠牲者は「国家のために尊い命を捧げた人たち」という同じ評価を受けているにもかかわらず,地域社会においては一つの空間で追悼·顕彰されなかった. This study examines the formation and transformation of Korean War memories based on data from the Memorial Facilities Information Services of the Ministry of Patriots and Veterans Affairs, and from the Institute of National Defense and Military Affairs. It consists of three parts: The first focuses on war memorials constructed during the period August 15, 1948 through 2007, with respect to regional differences of war experience. The second part examines the effects of colonial-period war memorials for Japanese war dead on the construction of Korean War memorials. The third part compares memorials of the Korean War with memorials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Korean War memorials were constructed for memory and mourning of war dead, justification of the war, and patriotism. In smaller communities they also assumed the role of a national cemetery. Larger numbers of war memorials were constructed to repair ideological divisions in communities that had suffered many civilian casualties. The construction of community war memorials created a lasting perception of the Korean War, and it blocked memories against it. Following the Korean War, construction of war memorials increased, having been influenced by colonial-era memorials for Japanese war dead. Although Korean War dead and independence-movement dead were both recognized as sacrificing their lives for the nation, they were not memorialized together.

      • KCI등재후보

        페로니켈슬래그 미분말 및 혼화재의 복합사용이 VR 하수관 강도발현에 미치는 영향분석

        남상구(Sang-Koo Nam),정태준(Tae-Jun Chung),조설아(Seol-Ah Jo),유정환(Jeong-Hwan Yoo),박상순(Sang-Soon Park)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 2018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 논문집 Vol.6 No.3

        본 논문에서는 페로니켈슬래그 미분말 및 혼화재의 복합사용이 VR 하수관 강도발현에 미치는 영향분석에 관한연구를 실시하였다. 치환율을 변수로 시험을 실시하였으며, 휨강도 및 압축강도의 결과분석과 SEM 분석을 통한 강도발현 성능연구를 실시하였다. 휨강도 및 압축강도, SEM을 통한 미시적 분석을 통해, 각 경우 별 상관관계를 도출 할 수 있었다. 치환율은 OPC 질량대비 20%, 30%를 구분하여 페로니켈 슬래그 미분말 및 혼화재를 일정 비율로 치환하여 실시하였다. 치환율 20%일 경우 강도발현성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휨 강도와 압축강도는 페로니켈 슬래그 미분말, 생석회, 석고, 염화칼슘을 혼화재로 복합사용 하였을 때 강도발현 성능이 가장 우수하였으며, 조밀한 미세구조 형태를 나타냈고, 재령 28일 이후에도 점진적 강도발현가능성이 보인다. In this paper, the effects of ferronickel slag powder and admixture on the strength of VR sewer pipe were analyzed. the substitution rate was tested as a variable, and the strength development was studied through the flexural strength, compressive strength and using SEM microscopic analysis. bending strength, compressive strength results and micro analysis using SEM showed the correlation in each case. the substitution rates were 20% and 30% relative to the mass of the OPC respectively, and were substituted according to a constant ratio of ferronickel slag fine powder and mixture. when the substitution ratio was 20%, the strength development was excellent. also, bending strength and compressive strength were the best when the ferronickel slag fine powder, quicklime, gypsum and calcium chloride were used as the admixture, dense microstructural patterns appeared. the possibility of progressive strength development is shown after 28 days.

      • KCI등재

        한국·한국인과 야스쿠니 신사 문제

        남상구(Nam, Sang-Gu) 한일관계사학회 2010 한일관계사연구 Vol.35 No.-

        본고의 목적은 첫째, 야스쿠니 신사와 일본정부에 의한 한국인 합사 문제를 중심으로 야스쿠니 신사와 한국?한국인이 어떤 관계를 맺고 있는지에 대해 검토하는 것이다. 둘째, 한국 언론, 정부, 국회가 야스쿠니 신사 문제에 어떻게 대응해 왔는지를 살펴봄으로써 한국 사회의 동 문제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검토하는 것이다. 자국의 전몰자를 국가를 위한 희생으로 현창하고 추도하는 것을 통해 국민을 전쟁에 동원하고 국민의 자발적인 충성을 유도하는 것은 비단 일본만의 문제가 아니 라 한국을 포함한 근대 국민국가 일반의 문제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야스쿠니 신사 문제를 국민국가 일반의 문제로만 볼 수 없는 측면도 있다. 바로 식민지 출신자인 한국인 합사문제로, 야스쿠니 신사는 일본에 의해 강제로 전쟁에 동원되었다가 사망한 한국인을 당시 일본인으로서 ‘국가<일본)를 위해 희생했다’는 논리를 내세워 창씨개명정책에 의해 강요된 일본식 성과 이름으로 합사했다. 이는 식민지 지배를 정당화하는 것으로 야스쿠니 신사에 합사된 한국인 문제는 식민지 지배의 청산이라는 차원에서 접근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일본정부는 전후 한국인의 국적이 일본에서 한국으로 바뀌었다는 것을 근거로 한국인을 ‘보상’에서는 배제했음에도 불구하고 이들의 신상 자료를 야스쿠니 신사에 제공함으로써 한국인이 야스쿠니 신사에 합사될 수 있도록 했다. 그러나 일본정부와 사법부는 아직까지 한국인 야스쿠니 신사 합사에 대한 책임을 인정하고 있지 않다. 야스쿠니 신사의 한국인 합사가 이러한 문제를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한국정부와 국회, 언론은 이 문제를 도외시해 왔다. 이것은 한국사회가 야스쿠니 신사 문제를 일본 정치가의 역사인식을 가늠하는 잣대로서만 인식해 온 결과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rst,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Koreans and the Yasukuni Shrine issue, with a special focus on the enshrinement of Koreans at Yasukuni. Second, the study looks at changes in the Korean society’s perception of the issue over time by analyzing the responses of the Korean media, government, and the National Assembly. Mobilizing citizens for war and inducing loyalty to the state by gloritying and memorializing the war dead as patriotic martyrs is not an issue confined to Japan; it is an issue shared by all modern nation-states, including Korea. Nevertheless, there is an aspect of the Yasukuni Shrine issue that is unique and particular. Koreans who are enshrined at Yasukuni were Japanese colonial subjects who had been mobilized for war against their will. Moreover, they were enshrined under the Japanese family and given names they had been forced to adopt as per Japan’s colonial policy. Finally, they were enshrined as Japanese citizens who had “sacrificed themselves for the country (Japan).’, Therefore, the enshrinement of Koreans at Yasukuni legitimizes Japan’s colonial rule over Korea. Accordingly, the Yasukuni Shrine issue must be approached as a matter pertaining to the resolution of Japan’s colonial occupation of Korea. The Japanese government denied Koreans postwar compensation on the grounds that their citizenship had changed from Japanese to Korean. Nevertheless, the Japanese government provided Yasukuni Shrine with th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Korean soldiers, thereby making their enshrinement possible. Nonetheless, the Japanese government and the judiciary have yet to acknowledge their accountability in the matter. Be that as it may, the Korean government, National Assembly, and the media have not paid much heed to the Yasukuni Shrine issue. This is because the Korean society has only regarded the issue as a standard for gauging the historical understanding of Japanese politicians.

      • KCI등재

        야스쿠니신사 문제의 현황과 연구 동향

        남상구(Nam Sanggu) 동북아역사재단 2015 東北亞歷史論叢 Vol.- No.50

        야스쿠니신사 문제는 1985년 나카소네 총리의 공식참배 이후 한일, 중일 간 외교현안이 되고 있다는 점에서 현실적인 외교 과제다. 그리고 한국인 강제동원 피해자 약 21,000명이 무단으로 합사되었고 유족이 ‘2차 피해’를 당하고 있다는 점에서 식민지 청산이라는 차원에서 접근해야 하는 문제이기도 하다. 이 글에서는 야스쿠니신사와 관련하여 현재 논란이 되고 있는 것은 한국인 무단합사, 총리 참배, 새로운 국립 추도시설, 역사인식을 둘러싼 문제의 역사적 경위와 현황, 쟁점, 연구 성과를 검토하고 과제를 제시하였다. 이 글에서는 논리 전개의 편의를 위해 야스쿠니신사 문제를 4가지로 나누어 검토했으나 이 문제들은 서로 분리하여 생각할 수 있는 문제는 아니고 서로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가장 핵심이 되는 것은 야스쿠니신사와 일본 정부가 침략전쟁의 역사를 어떻게 기억하고 있는가에 관한 문제라고 할 수 있다. 한국인 무단합사가 가능했던 것도 피해자가 아닌 침략전쟁을 정당화하는 일본 국가의 논리를 앞세웠기 때문에 가능했던 것이다. 야스쿠니신사의 역사인식 문제를 비판하기 위해서는 식민지 지배와 침략전쟁의 실태를 밝히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고 야스쿠니신사 문제는 ‘제2의 가해’라는 시각에서 바라볼 필요가 있다. 야스쿠니신사 문제는 근대국가가 앉고 있는 공적인 전사자 추도라는 보편적인 문제이기도 하지만 지금도 계속되고 있는 식민지와 침략전쟁 피해라는 일본만의 특수한 문제이기도 하다. 식민지 청산과 유족의 인권이라는 관점에서 문제를 검토하는 것이 필요하다. The Yasukuni Shrine issue has significance in two aspects. First, the issue is a diplomatic challenge for Korea. The Yasukuni Shrine issue has been a pending issue among Korea, China, and Japan since Nakasone Yasuhiro, the former prime minister of Japan, officially visited the shrine in 1985. Second, it is also a historical challenge to solve the remaining problems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More than 21,000 Korean people, who were forcibly mobilized by Japan, were enshrined in Yasukuni Shrine together with Japanese war criminals without any notice. The bereaved families of the mobilized Koreans insist upon receiving their ashes, but their requests have been ignored. The families are still suffering from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n this paper, I focus on controversial issues related to Yasukuni Shrine: 1) the enshrining of Koreans in Yasukuni Shrine; 2) the prime minister’s visit to the shrine; 3) the new national memorial facilities; and 4) the Japanese view of history. I present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each issue, controversies regarding each issue, results of earlier studies related to each issue, and tasks to be solved. Even though I dealt with the four issues separately in this paper for logical convenience, they are, in fact, closely related. The most important factor is how Yasukuni Shrine and the Japanese government view the history of the Japanese colonial era and the war of invasion. Enshrinement of Koreans in Yasukuni Shrine reflects Japan’s recognition of a history that justifies its war of invasion. Before criticizing Japan’s view of history, analysis of the history of the Japanese colonial era and the war of invasion should proceed further. The Yasukuni Shrine issue can be seen from two perspectives: honoring the fallen soldiers, and disregard for damages from the Japanese colonial era and the war of invasion. We should focus on the second view from the perspectives of the elimination of Japanese colonial rule and the human rights of the bereaved.

      • KCI등재

        야스쿠니신사가 전쟁을 기억하는 방식

        남상구 ( Nam¸ Sang Gu ) 한림대학교 일본학연구소 2020 翰林日本學 Vol.0 No.37

        일본 총리 야스쿠니신사 참배를 비판하는 논리 중 하나는 동 신사가 침략전쟁을 아시아 해방을 위한 정의의 전쟁으로 미화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런데 야스쿠니신사가 일본의 침략을 어떤 방식으로 기억하는지는 관심을 끌지 못했다. 본고는 야스쿠니신사 부속 전시관인 유슈칸 전시와 동 신사가 1960년부터 전사자의 유서나 편지 등을 소개한 사두게시(社頭揭示)를 소재로 하여, 야스쿠니신사의 전쟁기억 방식을 구체적으로 검토했다. 야스쿠니신사는 한 가족의 아버지이자 아들이, 사랑하는 가족과 위기에 처한 조국의 독립을 지키기 위해 자신을 희생했다는 논리로 일본의 침략전쟁을 정당화하고 있다. 침략전쟁을 인정하는 것은 이들의 희생을 부정하는 것이 된다. 이러한 전쟁기억을 극대화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이용된 것이 자살특공대인 특별공격대였다. 그런데 특별공격대를 강조하면 할수록 일본이 아시아 해방을 위한 정의의 전쟁을 했다는 주장이 들어설 틈은 사라진다. 일본의 전쟁을 자위자존을 위한 전쟁으로 정당화하는 것과 아시아 해방을 위한 정의전쟁으로 미화하는 것은 야스쿠니신사 전시에서는 양립하기 어려운 구조라 할 수 있다. One of the reasons for criticizing the Japanese Prime Minister’s visit to Yasukuni Shrine is the fact that the shrine glorifies the war of aggression as a war of justice for the liberation of Asia. However, the way the Yasukuni Shrine remembered the Japanese aggression has received little attention. This study examined how the Yasukuni Shrine remembers the war with a focus on Yūshūkan, a Japanese military and war museum located within Yasukuni Shrine and Sadugesi, a bulletin board where the shrine has posted fallen soldiers’ wills and letters since 1960. Yasukuni Shrine justifies Japan’s war of aggression with a logic that the father and son of many families sacrificed themselves to protect their loved ones and the independence of their country. Yet, to recognize such aggressive war is to deny their sacrifice. Meanwhile, the Special Attack Units or suicide units were actively utilized to maximize this war memory. However, the more emphasis placed on the Special Attack Units would inevitably lead to weaker grounds for claiming that Japan fought a war of justice for the liberation of Asia. Justification of the war as one for self-defense and self-esteem and glorification of the war as a war of justice for the liberation of Asia cannot be compatible in the exhibition of Yasukuni Shrin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