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부산 하야리아 부대의 시대적 변화와 건축적 현황에 대한 고찰

        김기수 ( Ki Soo Kim ),안재철 ( Jae Cheol Ahn ),나춘선 ( Chun Sun Na ),송종목 ( Jong Mok Song ),홍순연 ( Soon Yeon Hong ) 東亞大學校附設 石堂傳統文化硏究院 2011 石堂論叢 Vol.0 No.49

        부산 범전동, 연지동 지역에 2005년까지 미군이 주둔하고 있던 하야리아 부대는 부산지역의 중요한 역사적 장소이다. 역사적 측면에서 살펴보면 고대 청동기 시대를 문무토기를 비롯하여 생활유적까지 다양한 유물과 유적이 발굴되었으며 일제 강점기시대에는 1930년대 후반을 기점으로 서면경마장 즉 하야리아 부지에서 정식경마장으로써 활용되었다. 또한 중일전쟁 및 태평양전쟁의 발발과 함께 제72병참 경비대, 부산 서면 임시군속교육대, 외국인 포로 임시수용소 등으로 사용되었다. 해방이후에는 한시적으로 경마장으로 사용되다 1945년 9월미군주둔 부산기지 사령부로 사용되었고 이후 미군 부대로 폐쇄되기 까지 약 60년간 점유되는 등 지역의 역사와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건축물의 현황을 살펴보면 각 시기별로 다양한 건축물이 보존 되어있다. 특히 경마트랙을 중심으로 경마장시기의 마권발매소와 일본군주둔시기 일본군 관사가 보존되어 있다. 그리고 미군주둔시기에는 각종시설물에 업무공간, 지원공간, 생활공간 등 각 ZONE별로 총341개의 건축물이 보존되어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기별, 건축적 현황을 통해 하야리아 부대의 변천과정을 통하여 단계별 현황을 분석하여 토지이용 관계를 확인 할 수 있었다. 향후 본 연구를 바탕으로 건축물의 변형과정과 가치평가를 통해 현재 조성중인 하야리아 시민공원화 사업에 적극 반영되기를 기대한다. The Camp Hialeah in Beomjeon-dong and Yeonji-dong of Busan, where the U.S. Army troops were stationed until 2005, was an important area in the local history of Busan. From the historical point of view, various artifacts and ancient monuments from the literary and martial arts earthenware to domestic relics from the ancient Bronze Age were excavated. Starting in the late 1930`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occupation period, the Camp Hialeah was used as a formal racetrack called the Seomyeon Racetrack. Also, with the outbreak of the Sino-Japanese War and the Pacific War, it was used as a location for the camp for the 72nd Quartermaster Corps, the temporary training camp for civilians from Seomyeon, Busan, and the temporary camp for prisoners of war. Upon gaining independence from Japan, it was temporarily used as a racetrack. However, in September 1945, it was reverted to and was used as the headquarters of the U.S. Army stationed in Busan, and was occupied by the U.S. Army for the next 60 years. These facts demonstrates that this area has a close tie with the local history. In addition, there are 341 buildings that remain in this area including the racetracks that represent each period, the pari-mutuel ticket office, the office residence of the Japanese Army when the Japanese Army was stationed in this area, and various facilities of the U.S. Army. Based on this, we came to a conculsion that there were a total of four steps in the transition process of the Camp Hialeah. We hope that the information from this study is reflected in the Hialeah Public Park Project that is currently being organized in terms of valuation and understanding the transformation process of the building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