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전에 인공수정체 공막고정술 시행 후 발생한 인공수정체탈구에서 공막고정술 재수술의 결과

        나승관(Seung Kwan Nah),김종우(Jong Woo Kim),김철구(Chul Gu Kim),김재휘(Jae Hui Kim) 대한안과학회 2021 대한안과학회지 Vol.62 No.9

        목적: 일차 인공수정체 공막고정술 시행 이후 재탈구된 인공수정체에 대한 이차 인공수정체 공막고정술의 임상 결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이전에 인공수정체 공막고정술을 시행 받은 환자들 중 인공수정체탈구가 발생하여 유리체절제술 및 이차 인공수정체공막고정술을 시행한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의무기록을 분석하였다. 이전의 일차 수술 후 1개월에 측정된 시력을 이차 수술 후 1개월에 측정한 시력과 구면렌즈대응치를 서로 비교하였으며, 이차 수술 후 합병증 발생 여부를 확인하였다. 결과: 전체 21안을 대상으로 연구를 시행하였다. 13안(61.9%)의 경우 인공수정체의 완전한 탈구가 발생하여 기존의 인공수정체교환술을 시행하였으며, 8안(38.1%)의 경우 탈구가 발생한 한 쪽 지지부만 고정하였다. 최대교정시력(logMAR)은 일차 수술 후 평균 0.17 ± 0.25였으며, 이차 수술 후 평균 0.11 ± 0.23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73). 구면렌즈대응치는 일차 수술 후 평균 -0.94 ± 1.69 diopters (D)였으며, 이차 수술 후 평균 -0.58 ± 1.46 D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76). 8안(38.1%)에서 일시적인 안압상승, 봉합사노출과 같은 합병증이 발생하였으나 수술적 처치를 요하는 경우는 없었다. 결론: 인공수정체 공막고정술을 한 후 발생한 인공수정체탈구에 대한 이차 인공수정체 공막고정술을 통해 일차 수술과 비슷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 심각한 합병증은 없었다. Purpose: To investigate the outcomes of re-fixation after the first intraocular lens (IOL) scleral fixation.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charts of patients who underwent second IOL scleral fixation and vitrectomy for dislocation of IOL after the first IOL scleral fixation. We compared the best-corrected visual acuity (BCVA) and spherical equivalent (SE) after 1 month of the first and second surgery, and noted the complications. Results: We included 21 eyes that underwent second IOL scleral fixation: 13 eyes (61.9%) with IOL exchange and eight (38.1%) with one-haptic fixation. Mean BCVAs (LogMAR) were 0.17 ± 0.25 and 0.11 ± 0.23 after the first and second surgery, respectively (p = 0.073); mean SEs were -0.94 ± 1.69 and -0.58 ± 1.46 diopters after the first and second surgery, respectively (p = 0.076). Postoperative complications occurred in eight eyes (38.1%), including temporarily increased intraocular pressure and suture knots exposure. However, none of the complications required re-operation. Conclusions: The outcomes of primary and secondary IOL fixation were similar, and there were no serious complications of the second surgery.

      • KCI등재

        근시의 정도에 따른 안압, 뇌척수압 및 사상판경유압력차의 관계

        나승관(Seung Kwan Nah),온영훈(Young Hoon Ohn),김찬윤(Chan Yun Kim),이시형(Si Hyung Lee) 대한안과학회 2018 대한안과학회지 Vol.59 No.6

        목적: 한국인에서 근시와 안압, 뇌척수압, 사상판경유압력차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본 연구는 2008년부터 2012년까지 시행한 국민건강영양조사자료를 바탕으로 19세 이상의 성인 6,933안을 대상으로 젊은 연령군(19-49세, Group 1)과 고령군(≥50세, Group 2)으로 분류하였다. 추정뇌척수압은 ‘cerebrospinal fluid pressure(mmHg)=0.44×신체비만지수(kg/m2)+0.16×이완기혈압(mmHg)-0.18×나이(years)-1.91’ 공식을 사용하였다. 사상판경유압력차는 안압에서 추정뇌척수압수치를 제하여 구하였다. 결과: 전체 환자군에서, 평균추정뇌척수압은 13.7 ± 0.1 mmHg (Group 1: 14.2 ± 0.1 mmHg, Group 2: 11.5 ± 0.1, p<0.01)였고 평균 안압은 14.0 ± 0.1 mmHg (Group 1: 14.0 ± 0.1 mmHg, Group 2: 14.1 ± 0.1, p=0.724)였으며, 평균사상판경유압력차는 0.7 ± 0.1mmHg (Group 1: 0.3 ± 0.1 mmHg, Group 2: 3.0 ± 0.2, p<0.001)였다. 혼란변수를 보정한 후 시행한 다중선형회귀분석에서 근시의 정도와 추정뇌척수압 간의 양의 상관관계를 가졌으며(p<0.001; β: 0.12, spherical equivalent [SE]: 0.03), 이는 안압에서도 마찬가지였다(p<0.001; β: 0.29, SE: 0.05). 결과적으로 근시가 심할수록 높은 사상판경유압력차와 연관이 있었다(p=0.002; β: 0.18, SE: 0.06). Group 1과 Group 2로 나눠 시행한 분석에서 Group 1은 비슷한 연관성을 보였으나(추정뇌척수압: p<0.001; β: 0.12, SE: 0.03; 안압: p<0.001; β: 0.28, SE: 0.05; 사상판경유압력차: p=0.005; β: 0.17, SE: 0.06), Group 2에서는 사상판경유압력차와 근시의 정도와의 관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p=0.274; β: 0.18, SE: 0.16). 결론: 한국인에서 공식으로 계산한 사상판경유압력차는 근시의 정도와 연관이 있으며, 이는 근시가 녹내장의 발병과 진행에 영향을 미치는 병리기전에 사상판경유압력차 증가가 기여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Purpose: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myopia and the three parameters of intraocular pressure (IOP), estimated cerebrospinal fluid pressure (CSFP), and the trans-lamina cribrosa pressure difference (TLCPD). Methods: A total of 6,933 adults (≥19 years of age) who participated in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8–2012). Thes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young age group (19–49 years of age) and old age group (≥50 years of age). The estimated CSFP was calculated as CSFP (mmHg) = 0.44 body mass index (kg/m2) + 0.16 diastolic blood pressure (mmHg) - 0.18 age (years) - 1.91. The TLCPD was calculated by subtracting the CSFP from the IOP. Results: The mean estimated CSFP in the total population was 13.7 ± 0.1 mmHg (young, 14.2 ± 0.1 mmHg; old, 11.5 ± 0.1; p <0.01), the mean IOP in the total population was 14.0 ± 0.1 mmHg (young, 14.0 ± 0.1 mmHg; old, 14.1 ± 0.1; p = 0.724), and the mean TLCPD in the total population was 0.7 ± 0.1 mmHg (young, 0.3 ± 0.1 mmHg; old, 3.0 ± 0.2; p < 0.001). After adjusting for confounding factors, multivariate linear regression analyses revealed significant positive associations between the degree of myopia and the estimated CSFP (p < 0.001; β, 0.12; spherical equivalent [SE], 0.03), as well as IOP (p < 0.001; β, 0.29; SE, 0.05). As a result, a higher TLCPD also showed a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more myopic refractive error (p=0.002; β, 0.18; SE, 0.06). In subgroup analyses, a similar association was shown only in the young age group (estimated CSFP, p < 0.001; β, 0.12; SE, 0.03; IOP, p < 0.001; β, 0.28; SE, 0.05; TLCPD, p = 0.005; β, 0.17; SE: 0.06), while the old age group did not show a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TLCPD and the degree of myopia (p = 0.274; β, 0.18; SE, 0.16). Conclusions: The calculated TLCPD showed an association with high myopia. It was consistent with the potential role of high myopia in the pathogenesis of open-angle glaucom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