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수락산에 서식하는 계곡산개구리(Rana huanrensis Fei, Ye & Huang, 1991) 유생의 서식지 면적에 따른 생장률 연구

        나수미(Sumi Na),엄예원(Yewon Um),김현정(Hyun-jung Kim),안치경(Chi-Kyung An),이훈복(Hoonbok Yi) 응용생태공학회 2017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Vol.4 No.2

        본서식지의 면적이 계곡산개구리 (Rana huarenensis)에게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서울시 노원구 상계동에 위치한 수락산 일대 계곡에서 연구를 실시하였다. 조사지역은 계곡을 계곡산개구리 서식지의 면적의 크기에 따라 가장 좁은 면적의 S1(3.91m²), 중간 면적의 S2(4.42m²), 가장 넓은 면적의 S3(38.37m²), 3곳으로 나눈 후 각 조사지역에서 3월부터 6월까지 주 2회 15개체의 계곡산개구리 유생을 무작위로 포획하여 개체의 길이를 측정하였으며, 계곡의 습도, 기온, 수온을 측정하였다. 부화율은 S2지점에서 세 개의 난괴를 채집하여 측정하였다. 실험구별 서식지의 면적을 측정한 결과, 실험기간 중 강우량이 적었기때문에 모든 실험구의 서식지 면적이 감소하였으며, S2지점은 눈에 띄게 줄어 들지 않았으나, S1은 원래 서식지의 4분의 1이 줄어들었으며 S3지점은 2분의 1이 감소하였다. 실험구별 평균대기습도와, 실험구별 평균기온, 실험구별 평균수온은 F-test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부화율을 분석한 결과, 평균 부화율은 76.84 ± 18.23%으로 확인되었다. 실험구별 유생 개체의 길이를 측정 한 결과, 통계적으로 차이가 있었으며, 서식지의 면적이 넓어짐에 따라 개체의 길이가 증가하였다 (F-test p< 0.05). 발생기간을 측정한 결과, 서식지의 면적이 넓을수록 개체의 발생속도가 빨라짐을 확인하였다. 실험구별 아성체 개체의 평균길이를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차이가 있었으며, 개체의 길이는 S1, S3, S2순서로 증가하였다. 서식지 면적 변화가 없었던 S2의 개체의 크기가 가장 큰 것으로 보아 본 연구를 통해 계곡산개구리의 서식지 면적의 민감성을 알 수 있었다 (F-test p<0.05). 추후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고도의 차이가 계곡산개구리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험을 진행한다면 계곡산개구리 개체군의 서식환경을 이해하는데 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was executed to know the effect of the habitat size on huanren brown frog (Rana huanrensis) larvae’s growth. We’ve conducted the study on Mt. Surak in Sanggye-dong, Nowon-gu, Seoul. Our study site was discriminated the huanren brown frog larvae’s habitat into the three different areas, such as small area (S1, 3.91 m²), middle area (S2, 4.42 m²), and large area (S3, 38.37m²) in the same water channel. We measured two times per a week the 15 huanren brown frog larvae’s body length, and developmental stages (foreleg, hind leg, tail length) including the environmental factors (humidity, air temperature and water temperature) of the study site from March 30 to June 28 in 2016. The only hatching rate was measured for the three egg sacs at the S2 study site. We found that the average hatching rate was 76.84 ± 18.23 (%) at S2. Generally, because of less precipitation during our study periods, all habitat areas for our study site were gradually decreased. The middle area, S2, was not reduced, the small area, S1, was reduced more than a fourth, and the largest area, S3, was drastically reduced more than half from initial area. There was no statistically difference among the three study sites for the three environmental factors (average humidity, average air temperature, and average water temperature) by F-test, bu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three site for the larvae’s body length (F-test p< 0.05). Therefore, the larger of habitat areas, the larger of the larvae length as well as the faster of the larvae’s developmental stages. When we measured the body lengths of immature huanren brown frogs, the immature frog of S1 was smallest, the immature frog of S3 was middle lenght, and the immature frog of S2 was largest. There were statistically different among the three study sites for the immature huanren brown frogs (F-test, p< 0.05). Because the S2 study site was relatively stable without rarely changing the study area, it meant that huanren brown frog was sensitive to habitat area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f we study on the effect of the altitude on the growth rate of huanren brown frog, it must be helpful in understanding the habitat environment of the population of huanren brown frog.

      • KCI등재

        세종특별자치시 전역과 구도심 및 신도심에 따른 모기 밀도 비교 연구

        나수미,도지선,양영철,유성민,이훈복,Na, Sumi,Doh, Jiseon,Yang, Young Cheol,Ryu, Sungmin,Yi, Hoonbok 한국환경생물학회 2021 환경생물 : 환경생물학회지 Vol.39 No.3

        본 연구는 모기 매개체 감염병 예방을 위한 방역사업의 계획수립을 위하여 세종시의 모기 밀도 및 서식환경을 분석하여 방역 가이드라인 기초자료를 확립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세종시 전반적인 모기분포 현황 조사를 위해 2019년 8월~10월까지 MOSHOLE과 유문등을 사용하여 일주일에 1회 1박2일 간의 모기 개체수를 조사하였으며, 구도심(조치원읍)과 신도심(보람동)의 밀도차 분석을 위해 2020년 4월~10월까지 DMS를 활용하여 매일의 모기 개체수를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금남면에서 가장 많은 모기가 포집되었으며 서식하는 우점 모기 종은 큰검정들모기, 빨간집모기인 것으로 나타났다. 모기 개체수에 영향을 미치는 토지피복 유형은 산림지역과 초지지역으로 나타났다. 질병 매개 가능성이 있는 모기 종 분석 결과 연서면과 금남면에서 다수 발견되었으며, 흰줄숲모기, 얼룩날개모기류, 작은빨간집모기 순서로 확인되었다. 각각 CO<sub>2</sub>와 빛을 유인제로 사용하는 MOSHOLE과 유문등의 채집효율을 비교 분석한 결과, CO<sub>2</sub>의 유인률이 높아 모기 포집 효율성과 생태계 안정성 보존을 위해 CO<sub>2</sub>를 유인제로 사용하는 것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세종시의 모기 개체수는 구도심이 신도심보다 약 2배 정도 개체수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세종시는 구도심과 신도심으로 나누어져 있기 때문에 획일적인 방식으로는 눈에 띄는 방역 효과를 보기가 어려우며 효과적인 방역을 위해서는 방역의 차별성을 두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세종시의 통합적인 모기 방제 가이드라인의 기초작업으로 이루어졌으며, 본 연구의 결과로 모기를 매개로 하는 질병 확산을 제어하고, 모기로부터의 피해를 줄이는 데 일조하기를 바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ablish mosquito distribution density and habitat in Sejong city for the prevention of mosquito-borne infectious diseases. The overall distribution of mosquitoes in the Sejong City was investigated, and the population density of mosquitoes in the old and new city was analyzed. Mosquito populations were determined using MOSHOLE and Blacklight traps once a week overnight. We also compared the mosquito population density of the old city and the new city, and the daily mosquito population was calculated using the data from the smart mosquito trap(DMS). Of all the study sites, Geumnam-myeon had the highest number of mosquitoes captured, and the dominant species were Armigeres subalbatus and Culex pipienspallens. Mosquito species with the potential for transmitting diseases were mainly found in Yeonseo-myeon (106 individual), and Geumnam-myeon (101). Mosquito collection rates by MOSHOLE trap and Blacklight trap were 58.49% and 41.51%, respectively. We concluded that using CO<sub>2</sub> would be the most suitable approach for collecting mosquitoes. The mosquito population density in the old city (92.05±7.04) was approximately twice that of the new city(51.50±4.05). Since Sejong City is divided into old city and new city, it is difficult to spot remarkable effects in a standardized way. For effective quarantine, differentiation of quarantine must be established. This study results provide a basis for Sejong City's integrated mosquito control guidelines, and therefore effective control of which we believe will help control the spread of mosquito-borne diseases and reduce damage from mosquitoes.

      • KCI등재

        남한의 세지역(서울·논산·부산)에서 기후변화 민감종인 맹꽁이(Kaloula borealis, 멸종위기 야생동물 II급)의 체장길이 및 몸무게 차이 비교 연구

        안치경(Chi-Kyung An),홍성구(Sung-Gu Hong),나수미(Sumi Na),도지선(Jiseon Doh),오기철(Ki Cheol Oh),이훈복(Hoonbok Yi) 한국습지학회 2020 한국습지학회지 Vol.22 No.1

        본 연구는 기후변화 민감종의 하나인 멸종위기야생동물Ⅱ급, 맹꽁이(Kaloula borealis)의 생체량이 위도가 다른 세 지역(서울, 논산, 부산)에서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 지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맹꽁이 포획을 위해서 함정트랩(pitfall traps)과유도트랩(inducement traps)을 이용하였으며, 각 서식지별 환경조건(온도, 강수량, 습도)을 파악하여 지역별로 비교하였다. 조사결과, 맹꽁이 수컷의 경우, 부산지역 개체의 크기가 41.6±0.39㎜, 생체량이 11.3±0.17g으로 가장 크고 무거운 것으로확인되었으며, 서울과 논산의 경우 크기가 각각 36.6±2.03㎜, 36.6±1.76㎜, 생체량은 각각 8.1±0.55g, 8.2±0.91g으로 통계적으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맹꽁이 암컷의 경우, 부산 개체의 크기는 44.7±0.35㎜, 생체량이 13.1±0.18g으로 긴것으로 조사되었으나, 중량은 지역별 차이가 크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부산에 서식하는 맹꽁이의 암·수 모두 다른 지역의개체들의 크기와 생체량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은 현재 기후상태의 기준이 되어 종복원에 대한 연구 수행 시중요한 자료로 이용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며, 장기적으로 조사가 진행된다면, 기후변화에 따른 양서류 무미목의 생체량변화를 파악할 수 있는 기반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ompare the Snout-vent length (SVL) and the biomass for the endangered species II, narrow-mouthed toad (Kaloula borealis), at the three different latitude sites (Seoul, Nonsan, Busan) in Korea. For the narrow-mouthed toad study, pitfall traps and inducement traps were used to catch the species, and environmental factors (temperature, precipitation, humidity) were compared by region. As a result of this study, each of the male narrow-mouthed toads’ SVL and biomass in Busan was 41.6±0.39㎜, and 11.3±0.17g, which showed that it was the biggest and heaviest among the three regions. For Seoul and Nonsan, each of the SVL of the female narrow-mouthed toad was 36.6±2.03㎜, 36.6±1.76㎜, and the biomass was 8.1±0.55g, 8.2±0.91g, which show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eoul and Nonsan. Each of the female narrow-mouthed frogs’ SVL and biomass in Busan was 44.7±0.35㎜, 13.1±0.18g, which was also biggest but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biomass by region. Concluding, this showed that the female narrow-mouthed toad in Busan is larger and heavier than those of other regions. We hope this study will be a standard for the future amphibian research with comparing the SVL and biomass for the endangered species II, narrow-mouthed toad . It is expected that if this kind of study keeps for long, it will be a basis for understanding changes in biomass of amphibian species due to climate chan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