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네 가지 다른 온도가 흰줄숲모기(Aedes albopictus) 유충 생장에 미치는 영향

        나수미,장혜지,박소정,이은영,도지선,홍승비,이훈복 한국습지학회 2018 한국습지학회지 Vol.20 No.2

        본 연구는 기후변화로 모기 매개 질병이 확산되고 있는 범지구적 차원에서 주요 질병을 매개하는 흰줄숲모기(Aedes albopictus) 유충의 생장이 여러 가지 온도 조건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흰줄숲모기 유충 120개체를 채집하여 120개의 20㎖ 유리용기(vial)에 한 개체씩 넣어 12개의 수조(17×24×18 ㎤)에 유리용기를 10개씩 분리하고, 3반복수의 수조를 4가지 온도(17℃, 21℃, 24℃, 28℃)로 조절된 배양기에 배치시켰다. 각 수조는 1령 3개체, 2령 3개체, 3령 2개체, 4령 2개체로 구성하여 흰줄숲모기 유충의 온도에 따른 우화율 및 생장 단계 별 평균 사망률, 온도에 따른 생장 단계별 최저 사망률, 온도에 따른 평균 수중 생존기간에 대한 연구를 27일 동안 진행하였다. 그 결과, 온도에 따른 평균 우화율은 21℃에서 20.00 ± 5.77%, 17℃, 24℃, 28℃에서 3.33 ± 3.33%로 나타났다. 생장 단계별 평균 사망률은 1령이 19.24 ± 3.65%, 2령이 16.48 ± 3.25%, 3령이 23.54 ± 5.06%, 4령이 40.74 ± 7.08%로 나타났다. 온도에 따른 생장 단계별 최저 사망률은 1령이 17℃에서 13.33 ± 6.67%, 2령이 21℃에서 7.41 ± 7.41%, 3령이 24℃에서 10.74 ± 6.43%, 4령이 28℃에서 20.37 ± 5.46%로 나타났다. 온도에 따른 평균 수중 생존기간은 17℃는 26.33 ± 0.67일, 21℃는 23.33 ± 1.33일, 24℃는 20.00 ± 2.52일, 28℃는 11.67 ± 1.20일로 나타났다. 전체적인 결과를 통해, 흰줄숲모기 유충의 생장은 21℃가 가장 적절한 온도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생장 단계 중 4령에서 가장 많은 개체가 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접적인 온도 설정을 이용한 흰줄숲모기 유충에 대한 연구 결과는 향후 모기 방제방법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We investigated to know the growth patterns of Aedes albopictus larva at the four different temperature conditions. Each of 120 individuals was placed into a 20㎖ vial and 12 sets (a set of 10 vials) were separated into 12 water tanks (17×24×18 ㎤). Each water tank was composed of 3 the 1st instar, 3 the 2nd instar, 2 the 3rd instar, and 2 the 4th instar. Three sets of water tanks were placed under the four different incubator temperatures (17℃, 21℃, 24℃, 28℃). We found that the eclosion rates were 20.00 ± 5.77% at 21℃ and 3.33 ± 3.33% at other temperatures. For the mosquito larva mortality rate, 1st instar was 19.24 ± 3.65%, 2nd instar was 16.48 ± 3.25%, 3rd instar was 23.54 ± 5.06%, and 4th instar was 40.74 ± 7.08%. The lowest mortality rate in growth stages according to temperature was 13.33±6.67% at 17℃ in 1st instar larva, 7.41±7.41% at 21℃ at 2nd instar larva, 10.74±6.43% at 24℃ in 3rd instar larva, and 20.37±5.46% at 28℃ in 4th instar larva. The survival period of mosquitoes in underwater were 26.33 ± 0.67 days at 17℃, 23.33 ± 1.33 days at 21℃, 20.00 ± 2.52 days at 24℃, and 11.67 ± 1.20 days at 28℃. From our results the most effective temperature to the normal growth of mosquito larva was 21℃, and the highest mortality rate was shown at the 4th instar stage of larva growth. Our results would provide the basic data for the mosquito larva’s growth pattern.

      • KCI등재

        세종특별자치시 전역과 구도심 및 신도심에 따른 모기 밀도 비교 연구

        나수미,도지선,양영철,유성민,이훈복,Na, Sumi,Doh, Jiseon,Yang, Young Cheol,Ryu, Sungmin,Yi, Hoonbok 한국환경생물학회 2021 환경생물 : 환경생물학회지 Vol.39 No.3

        본 연구는 모기 매개체 감염병 예방을 위한 방역사업의 계획수립을 위하여 세종시의 모기 밀도 및 서식환경을 분석하여 방역 가이드라인 기초자료를 확립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세종시 전반적인 모기분포 현황 조사를 위해 2019년 8월~10월까지 MOSHOLE과 유문등을 사용하여 일주일에 1회 1박2일 간의 모기 개체수를 조사하였으며, 구도심(조치원읍)과 신도심(보람동)의 밀도차 분석을 위해 2020년 4월~10월까지 DMS를 활용하여 매일의 모기 개체수를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금남면에서 가장 많은 모기가 포집되었으며 서식하는 우점 모기 종은 큰검정들모기, 빨간집모기인 것으로 나타났다. 모기 개체수에 영향을 미치는 토지피복 유형은 산림지역과 초지지역으로 나타났다. 질병 매개 가능성이 있는 모기 종 분석 결과 연서면과 금남면에서 다수 발견되었으며, 흰줄숲모기, 얼룩날개모기류, 작은빨간집모기 순서로 확인되었다. 각각 CO<sub>2</sub>와 빛을 유인제로 사용하는 MOSHOLE과 유문등의 채집효율을 비교 분석한 결과, CO<sub>2</sub>의 유인률이 높아 모기 포집 효율성과 생태계 안정성 보존을 위해 CO<sub>2</sub>를 유인제로 사용하는 것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세종시의 모기 개체수는 구도심이 신도심보다 약 2배 정도 개체수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세종시는 구도심과 신도심으로 나누어져 있기 때문에 획일적인 방식으로는 눈에 띄는 방역 효과를 보기가 어려우며 효과적인 방역을 위해서는 방역의 차별성을 두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세종시의 통합적인 모기 방제 가이드라인의 기초작업으로 이루어졌으며, 본 연구의 결과로 모기를 매개로 하는 질병 확산을 제어하고, 모기로부터의 피해를 줄이는 데 일조하기를 바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ablish mosquito distribution density and habitat in Sejong city for the prevention of mosquito-borne infectious diseases. The overall distribution of mosquitoes in the Sejong City was investigated, and the population density of mosquitoes in the old and new city was analyzed. Mosquito populations were determined using MOSHOLE and Blacklight traps once a week overnight. We also compared the mosquito population density of the old city and the new city, and the daily mosquito population was calculated using the data from the smart mosquito trap(DMS). Of all the study sites, Geumnam-myeon had the highest number of mosquitoes captured, and the dominant species were Armigeres subalbatus and Culex pipienspallens. Mosquito species with the potential for transmitting diseases were mainly found in Yeonseo-myeon (106 individual), and Geumnam-myeon (101). Mosquito collection rates by MOSHOLE trap and Blacklight trap were 58.49% and 41.51%, respectively. We concluded that using CO<sub>2</sub> would be the most suitable approach for collecting mosquitoes. The mosquito population density in the old city (92.05±7.04) was approximately twice that of the new city(51.50±4.05). Since Sejong City is divided into old city and new city, it is difficult to spot remarkable effects in a standardized way. For effective quarantine, differentiation of quarantine must be established. This study results provide a basis for Sejong City's integrated mosquito control guidelines, and therefore effective control of which we believe will help control the spread of mosquito-borne diseases and reduce damage from mosquitoes.

      • KCI등재

        인위적으로 조성한 세 가지 수온이 계곡산개구리(Rana huanrensis) 알의 부화율, 부화기간 및 유생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 연구

        나수미,심정은,김현정,안치경,이훈복 한국습지학회 2015 한국습지학회지 Vol.17 No.3

        본 연구는 지구 온난화로 인해 상승하고 있는 수온이 계곡산개구리에게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진행되었다. 이 를 위해 서울에 위치한 수락산 일대(37°40'55.86"N, 127°05'19.99"E)에서 계곡산개구리 난괴를 채집하였다. 총 9개 의 난괴를 채집하였으며 3개의 그룹으로 나누어 각각의 인큐베이터에 LT (5 ± 2℃), MT (10 ± 2℃), HT (13 ± 2℃)로 온도를 달리하여 사육하였다. 각각의 실험군 LT (5 ± 2℃), MT (10 ± 2℃), HT (13 ± 2℃)은 모든 유생이 부화 할 때까지 실험이 진행되었으며 각각의 난괴에서 부화한 개체의 부화율과 부화일수, 개체의 크기를 측정하였고 통계분석을 통해 온도가 유생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하였다. 유생의 부화율은 MT (10 ± 2℃)일 때 95.6%로 가장 높았고 HT (13 ± 2℃)일 때 82.6%, LT (5 ± 2℃)일 때 82.2%로 비슷한 수치가 나왔다. 유생의 부화일수는 HT (13 ± 2℃)그룹이 10일로 가장 짧았으며, MT (10 ± 2℃)그룹은 14일, LT (5 ± 2℃) 그룹은 23일이었다. 실험 결과, 부화 개체의 크기는 MT (10 ± 2℃)일 때 7.62 ± 0.11㎜, HT (13 ± 2℃)일 때 7.19 ± 0.15㎜, LT (5 ± 2℃)일 때 6.82 ± 0.10㎜ 순으로 작아졌다(ANOVA, p-value =0.00000). 본 연구를 통해 개구리의 성장과 부화에는 최적온도가 존재할 것이라 예상되었고, 지구온난화로 인한 온도의 변화는 계곡산 개구리에 부화와 성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한 결과를 바탕으로 더 나아가 온도 구배 상황에서 계곡산개구리 성체까지 의 변태율과 크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험을 진행한다면 기후 변화에 적응하는 개체군에 대한 이해뿐만이 아니라 추후 멸종위기종 보존대책 등에 대한 연구에 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was executed to know the effect of three differently controlled temperature conditions on Huanren brown frog (Rana huanrensis )’s growth in 2013. We've collected nine Huanren brown frog egg's sacs on Mt. Surak (37°40'55.86"N, 127°05'19.99"E) in Seoul. We put those nine egg sacs in the controlled growth chambers under low temperature (LT, 5 ± 2℃), medium temperature (MT, 10 ± 2℃), and high temperature (HT, 13 ± 2℃) conditions with three egg sacs, respectively. We measured the eggs' hatching rate, their hatching periods, and the size of the hatched individuals. The hatching rate was higher in MT (95.6%) and the rates of the other treatments were relatively lower but very similar such as LT (82.2%) and HT (82.6%). The three hatching periods were 10 days at HT, 14 days at MT and 23 days at LT. The body sizes of the hatched individuals were biggest at MT (7.62 ± 0.11㎜), smallest at LT (6.82 ± 0.10㎜) and medium at HT (7.19 ± 0.15㎜) (P-value ≤0.0001). From our results, we found that the various water temperatures could be very effective to Huanren brown frog eggs’ hatch and growth including their body sizes. We suggest if we study more about the growth of Huanren brown adult frogs under similar temperature conditions for a long term period, it must be very helpful for conservation study about metamorphosis rate and size of adult frog as well as we could understand about the amphibians who are adapting to the climate chan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