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내러티브(Narrative) 도덕교육의 성격과 실제

        김회용 ( Hoy Yong Kim ) 한국교육철학회 2004 교육철학 Vol.25 No.-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haracter and practice of the narrative approach to moral education. Narrative approach to moral education meets post-modernism and feminism trends which emphasize small narratives of human life and women`s voices instead of meta narrative and men`s Voices. And one`s narrative expresses and represents the functioning of one`s psyche, which has been mediated and shaped by language. Narrative approach to moral education had started at the point that narrative has a role in human life and experience. And so, teachers and educators using a narral1ve approach to moral education should provide opportunities for students to tell then own moral stories, to speak in their own voices, and hence to authorize their own moral perspectives and experiences. Such an opportunity allows students to express and enhance their authority and responsibility through the process of `authoring` stories about their lived moral experiences. By representing the cognitive, affective and active dimensions of their moral experience through narrative, students will therefore be encouraged to reflect on their experience from the standpoint of their own moral perspective. This will lead not only to an increased sense of authority and authorization on behalf of that perspective, but also an increased sense of responsibility for action And narrative approach to moral education includes three major elements of moral education, moral cognition. emotion, action. And so it is regarded as an integrated approach to it.

      • KCI등재

        공정성 개념 분석과 대학입학사정관 전형의 공정성 확보 방안

        김회용(Kim, Hoy-Yong)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11 敎育思想硏究 Vol.25 No.1

        학생의 잠재 능력을 평가하겠다는 입학사정관 전형을 실시하는 대학과 선발 인원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지만, 이를 바라보는 우려의 시선도 많다. 무엇보다 입학사정관 전형의 공정성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공정성이란 무엇인가? 공정성을 어떻게 확보할 것인가? 이 글은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목적으로 하였다. 사전적 의미, 아리스토텔레스의 개념 정의, 학계의 연구 동향 등을 분석·검토하여 본 연구는 공정성을 분배의 공정성을 의미하는 ‘치우침 없음’과 절차의 공정성을 의미하는 ‘절차에 따름’으로 정의하였다. 이러한 공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입학사정관의 전문성 확보와 입학전형 규정의 형식적 및 실체적 공정성의 강화가 요구되었다. 입학사정관의 전문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우수한 전임 입학사정관의 채용과 충분한 교육, 특히 보정교육과 모의평가 교육 등이 충실히 이루어져야 한다. 실체적 공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학교 교육을 충실히 받은 학생이 합격할 수 있도록 학생 선발 과정과 선발 기준이 확립되어야 하고, 유사한 모집단위별로 대학간 공통적인 전형자료와 평가기준을 만들 필요가 있으며, 다양한 지역 및 계층의 목소리가 반영되도록 규정을 제정해야 한다. 그리고 형식적 공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제정된 입시전형의 내용이 일관되게 해석되고 적용되어야 하며, 전형 규정이 사전에 충분히 고지되어 투명성이 확보되어야 한다. Since 2007 to advance their freshman selection processes several universities have introduced admission officer system in which professional admission staff review admission applications. In this year, it is expected that the number of freshman selected by the admission officers in many universities will be increased greatly. Recently, however, many people have raised certain problems such as distinctive feature of each universities’ admission officer system, insufficient institutional supports, and lack of understanding about the system among parties immediately interested. Particularly, the major issue regarding the system is fairness, the consistency of selection by admission offic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arch for the ways to ensure the fairness of admission officer system. To do this, to analyse the concept of fairness was to be done in advance. The concept of fairness in admission officer system includes equity(distribute justice) and consistency(procedural justice). To make admission officer system much more fairness and for the authority to select the best candidate, it is required to recruit good admission officials, educate them properly. And it is often thought that there is a kind of minimal fairness that involves interpreting and applying rues consistently- i.e., applying the same rules impartially and equally to each candidate. It is formal fairness. We usually think of formal fairness as a good thing, but it is hardly the only good thing. We should think of substantial fairness as sensitivity to all applicable moral reasons. To do this, we have to make rules for students who have studied their subjects for themselves without private consulting to pass the entrance exam, and the same procedure and process in applying for similar majors of universities. And in making rules for selecting the best candidates, the university must consider all the different requirements from the different areas and classes.

      • KCI등재

        키렌 이건의 상상력 활용 교육이론과 실천

        김회용(Kim, Hoy-Yong)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13 敎育思想硏究 Vol.27 No.3

        본 연구는 상상력 활용을 주창한 키렌 이건(Kieran Egan)의 교육이론과 교육실천을 논의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최근 교육학계에서 Egan이 주목받는 이유는 어린이들의 내재된 상상력을 활용할 수 있는 교수ㆍ학습법을 제안할 뿐만 아니라 직접 실천하고 있기 때문이다. Egan은 현대의 교육이 위기에 처한 이유를 '구체적인 것에서 추상적인 것으로'라는 일반화할 수 없는, 임시방편의 원리에 기초하여 교수 학습 활동이 진행되고 있다는 점과 사회화, 이데아 및 발달이론이라는 서로 양립할 수 없는 관점의 조합이 교육을 지배하기 때문으로 보았다. Egan은 현대 교육이 직면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으로 '교육을 이해의 연속'으로 묘사하는 새로운 이론을 제안하였다. 세계를 이해하기 위한 방법으로 Egan은 역사적으로 발달되어온 인지도구인 신체적, 신화적, 낭만적, 철학적, 반어적 이해를 제안하고, 이러한 지적 도구를 획득하여 문화와 세상을 이해하는 능력을 계발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이러한 능력을 계발하기 위해 Egan은 인류의 축적된 중요한 문화적 도구를 학생의 인지도구로 최대한 전환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면서, 주요 인지도구의 습득에 초점을 맞춘 교수 학습을 강조하였다. 또한 학습자에게 참된 공부의 기쁨을 제공하기 위해 작은 단위의 주제를 깊이 있게 학습(LiD)하도록 하는 학습법을 제안하였다. Kieran Egan is an educational philosopher whose emphasis on imagination, storytelling, and other tools of understanding offers new and provocative insights into what it means to be educated. Egan suggests that not enough attention is given to the role imagination plays in education or in our vision of what it means to be educated. Instead of imagination, the modern world has embraced a set of ad hoc principles which continue to "have a pervasive and profound influence on teaching practice and curriculum design. "According to these principles, education proceeds "from the concrete to the abstract, from the simple to the complex, from the known to the unknown, from active manipulation to symbolic conceptualization." Egan offers numerous counter-examples, not to debunk these ad hoc principles, but to suggest that they are not always the most effective way to educate and that they do not encompass the totality of education. To balance the widely accepted dictum that "children learn best from concrete, hand-on experiences," Egan explains that much of the literature for young children depends upon the child's prior understanding of various underlying, but abstract, concepts. Using the story Cinderella to illustrate his point, Egan notes that five-year-old children have no trouble understanding and enjoying his story, though such understanding is dependent on their ability to grasp such abstract and conflicting concepts as fear/hope, kindness/cruelty, and good/evil. Egan offers us a new theory that "describes education in terms of a sequence of kinds of understanding." Suggesting that human beings developed multiple tools for understanding their world, Egan characterizes several distinctive ways of understanding as the Somatic, Mythic, Romantic, Philosophic and Ironic ways of knowing. According to Egan, to be educated means to acquire "these kinds of understanding as fully as possible in the sequence in which each developed historically. In short, Egan proposes a new kind of recapitulation theory which, when combined with insights from Vygotsky, leads to a new educational idea. Learning in Depth program (LiD) is designed as an additional contribution schools can make to students' education. Though relatively simple, it has the potential to make a major impact. The aim is to build knowledge, understanding, skills, and practices fundamental to effective learning. That sounds like a very weighty thing, but LiD is both easy to implement and does not cost much to do so, and yet it delivers a very considerable educational benefit to students, especially for developing students' imagination.

      • KCI등재

        형이상학적 지식관과 극복과정의 철학사적 고찰

        김회용(Kim, Hoy-Yong)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09 敎育思想硏究 Vol.23 No.3

        본 연구는 현 정부 교육정책의 핵심인 ‘경쟁’이 절대불변의 지식을 전제하는 형이상학적 지식관에 입각하고 있다는 전제하에 형이상학적 사고의 한계와 극복의 과정을 철학사(史)적으로 고찰하였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저술 명에서 유래한 형이상학은 현실 세계 너머의 보편타당한 원리를 의미한다.형이상학은 고대에는 이데아의 세계로,중세에는 목적론적 세계관으로 지배 집단의 권력 활용을 정당화하는 근거로 활용되었다.또한 형이상학은 독재자의 논리로,폭력의 정당화 논리로 활용되었다. 형이상학적 사고의 극복을 시도한 근대의 기계론적 세계관,합리론,자유지상주의(초기 자유주의)는 여전히 형이상학적 사고의 틀 속에 머물러 있었다.경험론과 회의론을 토대로 전개된 자유주의의 인간관인 ‘자유의지론’(자유론)도 전통적 인간관인 형이상학적 전제를 공유하고 있었다.자유주의는 형이상학적 존재론․인식론을 극복하기 위해 약자의 보호와 상 호간의 소통을 강조하는 복지적 민주주의를 지향했다. This study inquires into the limitation and overcoming process of the view of metaphysical knowledge with presupposition that the government’s policies focusing on the capitalistic principles are based on metaphysical thoughts. Metaphysics originated from the Aristotle's prestigious writing has a meaning of universal principle beyond the reality. Metaphysics was often used as a justification tools of the established exemplified as in the“Idea world”in ancient times and the teleological view of the world in medievaltimes.Inaddition,it was also propagandized for worshipping dictator ship and violence. Even though new ideasin modern times such as mechanism,rationalism,and liberalism emerged to over throw the metaphysical thinking,they failed to advance beyond the old paradigm of thoughts. Theories of free will based on background of empiricism and skepticism also shared the metaphysical premises.Liberalism was to overcome the metaphysical ontology and epistemology and further aim to welfare democracy which emphasize the protection of have-nots and mutual communication.

      • KCI등재

        대안학교의 제도화 과정과 법제화 방향에 관한 논의

        김회용(Kim, Hoy-Yong)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06 敎育思想硏究 Vol.19 No.-

        본 연구는 법제화를 앞둔 한국 대안학교의 제도적 정착과정 반성과 법제화 방향 모색에 목적을 두었다. 비인가 형태로 운영되던 한국의 대안교육은 1998년 특성화학교 법과 자율학교 법의 시행으로 다소의 자율성을 보장받으면서 정규 교육으로 편입이 가능하게 되었다. 두 법안의 통과로 인해 대두된 교육과정 편성과 운영의 어려움, 교사발령으로 인한 교사분리, 대안초등학교 문제 등의 해결을 위해 2005년 대안학교 법이 통과되고, 2006년 3월 시행을 목표로 시행령을 준비하게 되었다. 그러나 법제화 팀이 마련한 ‘대안학교 설립․운영 규정(안)’의 시행 시기는 여전히 미지수로 보인다. 법제화 필요성과 학력인정 여부, 시설시준․교사자격․교육과정 편성과 운영 등의 인가기준, 재정지원 범위 등과 같은 핵심 문제 해결이 쉽지 않기 때문이다. 이해관계에 따라 ‘규정(안)’의 일부 수정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이지만, 법안 마련의 본질적 취지가 대안교육 지원에 있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대안학교 설립인가 규정의 엄격한 적용, 교사자격 관련 조항의 탄력적 운영, 교육과정 조항의 실질적 이행을 위한 제도적 보완책 등이 법안에 반드시 반영되어야 할 것이다. In this paper, I discussed on the institutionalization and legal direction of the alternative schools in Korea. The alternative schools in Korea are increased because of the unsatisfactory results of public education and the provisions for alternative schools in 'elementary, secondary educational law', such as specialized school and regulation-free school. And the Presidental Decree for alternative schools is preparing presently. But there is in a controversy with the proposals by scholars, centering around the criteria for permitting to found alternative schools, the extent of the financial support for alternative schools and the necessity of legalization of the alternative schools. The suggestions to legalize alternative schools are as follows. First, the provisions related with founding alternative schools are to be applied strictly to prevent founding a pseudo-alternative school for person profits. Second, the provisions related with qualifying for teaching are to be applied flexibly to recruit competent teachers suitable for the object of an alternative school. Third, the provisions related with the curriculum of an alternative school are to be complemented institutionally to qualify management of curriculum in an alternative school.

      • KCI등재

        한국 어린이 철학교육의 발전 방안 모색

        김회용(Kim, Hoy-Yong)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08 敎育思想硏究 Vol.22 No.3

        본 연구는 한국사회에서 진행되어 온 어린이 철학교육을 반성하고 비판적으로 검토하여 발전방안을 모색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한국 어린이 철학교육의 모델이 되고 있는 것은 Lipman의 ‘어린이를 위한 철학교육’이며, Lipman의 어린이 철학교육은 최근 전세계적으로 보편화되고 있는 어린이 철학교육의 상징으로 성장하였다. Lipman의 어린이 철학교육과 달리 한국 어린이 철학교육의 성장은 크게 뚜렷하지 못하다. 개념이나 논리 중심의 IAPC 교재를 번역하여 소개하는 수준에 머물렀고, 어린이들의 적극적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방법론 개발에 실패했기 때문으로 파악된다. 한국 어린이 철학교육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교재가 개념 중심에서 문제 중심으로, 논리 중심에서 맥락 중심으로 그리고 어린이들의 삶과 관련된 내용으로 변화되어야 한다. 또한 PBL이나 Action Learning 등 어린이들의 적극적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방법적 보완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flect, examine critically and facilitate philosophy for children in Korea. The philosophy for children in Korea is affilitated with the IAPC(Institute for the Advancement of Philosophy for Children) which has been largely responsible for the proliferation of philosophy for children programs in schools and other settings around the world. Although the program in Korea often collaborates with the IAPC, we couldn't find any substantial evidence that it will succeed. The curriculum and teaching method of the IAPC doesn't quite fit students in Korea, not because of the lack of interest on the part of the students but because of the translations which reflect foreign cultural values and so don't arouse the students' interests. To facilitate philosophy for children in Korea, the curriculum was focussed on problems which students faced instead of philosophical concepts. It should deal with children's stories, interests and lives, too. New methods such as PBL(problem based learning) or Action Learning are to be added for children to actively participate in a philosophy program. The studies of philosophy for children are to be done much more systematically, and a research society should be founded for researchers who are mainly interested in philosophy for children in Korea.

      • KCI등재

        철학적 탐구공동체 활동에 기반한 영재리더십 프로그램 효과 연구

        김회용(Kim, Hoy-Yong),박수홍(Park, Su-Hong),홍광표(Hong, Kwang-Pyo),박운형(Park, Un-Hyung)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09 敎育思想硏究 Vol.23 No.2

        본 연구는 최근 영재리더십 분야에서 강조되고 있는 ‘함께하는 리더십’을 철학적 탐구공동체 활동을 통해 신장시키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철학적 탐구공동체 활동에 PBL과 Action Learning 기법을 활용한 영재리더십 프로그램을 한국과학영재학교 신입생을 대상으로 적용하였다. 영재리더십 프로그램의 목표인 자기관리, 타인배려, 협력적 문제해결 능력 달성 여부에 대해 학생들과 프로그램을 진행한 강사들은 자신을 성찰하고 리더의 개념을 재정립하는 좋은 기회가 되었으며, 타인에 대한 배려와 공동체의 중요성을 인지하는 등 프로그램의 주요 목표 달성에 효과적이었음을 밝혔다. 또한 쓰기와 발표 능력 신장과 문제 해결 능력 향상에도 도움이 되었다고 했다. 그러나 영재를 대상으로 한 리더십 프로그램으로 정착되기 위해서는 프로그램의 전문화 및 특성화가 강화되어야 하며, 강사의 역량 강화를 위한 체계적인 교육의 보완이 시급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학생들의 생활을 토대로 한 문제 상황에 철학적 접근이 보다 강화되어야 하며,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교육방법의 보완이 필요하였다. This study is aimed at improving “team leadership”, which is an emerging concept in the field of gifted children’s leadership, through the use of “community of philosophical inquiry.” Previous efforts using community of philosophical inquiry that were criticized from the perspective of content and methods were subsequently modified with the assistance of “PBL” and “Action Learning” techniques. As such,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in order to develop a gifted children's leadership program based on the principles of community of philosophical inquiry. Through implementation of the program, the intended goals of self-management, consideration for others and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proved to be met. The teacher and students in the interview perceived the program as being effective for developing self-reflection, re-establishing the concept of leadership, taking care of others and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community. They also stated that the program was helpful in improving their writing and speech abilities. However, for the program to be definitively used in the future as a “leadership program for gifted children”, it needs to be further specialized. Whereas teachers and students who experienced the program first-hand reported that they emphasized with the intended goals of the program, they also pointed out that there were some weaknesses to be addressed, such as the training of instructors, lack of philosophical approaches for problematic situations and lastly lack of an effective methodology for motivating students.

      • KCI등재

        대안 초등학교에 관한 논의

        김회용(Kim, Hoy-Yong),박창언(Park, Chang-Un)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06 敎育思想硏究 Vol.18 No.-

        이 글은 법령 개정으로 정규 학교로 인가 받을 것으로 예상되는 전일제 대안 초등학교를 둘러싼 쟁점들을 논의하였다. 2001년에 등장한 이래 2005년 현재 18개로 확대된 대안 초등학교는 대안교육의 저변 확대와 법령 개정 등으로 인해 그 수가 보다 확대될 전망이다. 초등학생에게 전일제 대안학교가 필요한 본질적 이유는 공교육의 획일성과 특정 이념 주입에 따른 사상 및 지적인 자유의 제한 가능성 때문이다. 현행 법 체제에서 대안 초등학교가 위반하고 있는 법령은 헌법과 교육기본법에 규정된 ‘의무교육’ 조항이 아니라 초․중등 교육법에 규정된 ‘의무취학’ 조항이다. ‘의무교육’의 제정 취지는 수학 연한의 준수 보다는 교육의 질적 수준 보장에 있다고 보기 때문에, 대안 초등학교 진학을 법률 위반으로 간주하는 ‘의무취학’ 조항은 헌법의 취지에 부합한다고 볼 수 없다. 그리고 개인의 자유를 존중하는 대안학교의 특성을 고려할 때, 대안 초등학교 교육의 질적 수준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자유의 개념을 엄격히 적용하여 무학습의 자유와 같은 문제를 사전에 방지할 필요가 있다. In this paper, I discussed on the necessities, disputes over a compulsory education law, and freedom not to learn of the alternative elementary schools. Early libertarians believed public educational systems would eventually limit freedom of thought and create uniformity of ideas that are necessary to the progress of society. These warning were the main reasons for founding alternative elementary schools. There have been disputes whether alternative elementary schools violate a compulsory education law or not since they were founded. Strictly speaking, the schools were not violate the compulsory education law in the constitutional law but the compulsory schooling law in the educational law for the primary & secondary schools. Because the latter run counter to the spirit of establishing the former, I came to the conclusion the students in the alternative elementary schools didn't violate laws over compulsory education. The alternative schools will be plagued by the problem that the word "free" was primarily being associated with the freedom for children to learn or not to learn. Therefore the word "free" should be limited to the strict meaning for providing the better education than that of public schools.

      • KCI등재

        A New Interpretation of Rousseau’s Naturalistic Education Ideas

        김회용(Kim, Hoy-Yong)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20 교육혁신연구 Vol.30 No.4

        연구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좋은 인간과 좋은 시민의 화해라는 관점에서 루소의 자연주의 교육이념의 의미와 실천적 비전을 재해석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첫째, 루소의 자연주의 교육이념이 형성된 이유를 밝히기 위해 그의 자연상태 이론을 고찰하였다. 둘째, 좋은 인간과 좋은 시민사이의 내적 관련성 관점에서 루소의 자연주의 교육이념의 세 가지 기본 단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루소의 자연상태 이론을 재해석 하는 목적은 인간의 본성과 그 자연권을 이해하는 데 있다. ‘인간의 본성은 선하다’는 루소의 개념은 어떤 사람이 자연에 부합하는가와 좋은 시민을 양성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인가라는 물음에 이론적 근거를 제공할 수 있다. 인간의 자연 상태에 대한 탐구는 자연에 맞는 정치 질서를 인식하는 첫걸음일 뿐만 아니라 인간에게 가장 적합한 교육 방식을 모색하는 가장 근본적인 길이다. ‘자연인 교육’은 자연이 인간에게 부여하는 여러 가지 자연적 덕성들을 온전하게 발전시키는 것, 즉 고상한 사람을 양성하는 것이다. ‘사회인 교육’은 좋은 인간이 좋은 시민으로 변해가는 과정으로 모든 사회적 요소를 이용해 인간의 덕성을 함양하고, ‘자연적인’ 사회에서 타인, 사회 또는 정치와 소통할 수 있는 사회인을 육성하는 데 기여한다. ‘정치인 교육’의 핵심은 사회인을 공적 미덕을 갖춘 시민으로 만드는데 있다. 개인이 좋은 시민인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기준은 그가 정치사회에서 자연적 덕성을 최대한 유지하고 실천할 수 있는 가이다. 논의 및 결론: 이글은 근본적으로 좋은 인간과 좋은 시민과의 화해 가능성에 초점을 맞추고, 루소 자연주의 교육이념의 학교 교육에서의 실천적 비전과 교육학적 함의를 탐구하였다. 루소의 자연주의 교육이념은 다양한 환경 속에서 자연 개체와 그 시민적 신분이 융합될 가능성을 모색한 것으로 볼 수 있다. 학교 교육을 루소가 설정한 자연상태로 돌아가게 할 수는 없지만, 교육은 인간이 타인과 공적 생활을 마주하고 공공의 환경과 그 사물들과 조화롭게 공존하는 법을 배우도록 해야 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e-analyze the meaning and practical vision of Rousseau s naturalistic education idea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reconciliation between the good man and the good citizen. Method: First, I explained the reason for the formation of Rousseau s naturalistic education ideas by reviewing his theory of the state of nature. Second, I analyzed the three basic stages of Rousseau s naturalistic education idea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internal connection between the good man and the good citizen. Results: First, the aim of reexamining Rousseau s state of nature was to understand human nature and its natural rights. Rousseau s concept of ‘the goodness of human nature’ provided a theoretical basis for us to understand what kind of person is a good man in accordance with nature and how to cultivate good citizens in a civilized society. The exploration of a man s natural state was not only the first step towards the better understanding of the politcal order in accordance with nature, but also the fundamental way to formulate the educational model in accordance with a man s nature. Second, the object of the education of the natural man was the perfect development of the natural virtues which nature has given to him, that is, the cultivation of a good and noble man. The education of the social man was a special intermediate link in the process of the transformation from a good man to a good citizen. Its function was to make use of all social factors to further improve human nature and strive to cultivate social men who could interact with others, society or politics in a natural society. The focus of the education of the political man was how to transform a social man into a good citizen with civic virtue. The criterion to judge whether a man is a good citizen lies in whether he could maintain and practice his natural virtues to the maximum extent in a political society. Conclusion: This paper, fundamentally, focused on the possibility of reconciliation between the good man and the good citizen and explored the practical vision and its pedagogical significance of Rousseau s naturalistic education ideas in schooling. Rousseau s concept of naturalistic education wa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the integration of natural individuals and their citizenship in different environments. In schooling, we could not return to the natural state set by Rousseau. but had to face others and public life, and learned to live in harmony with the public environment and its things.

      • KCI등재

        탐구공동체 수업에서 교사와 학생이 경험하는 어려움 및 변화․발전에 대한 사례 연구

        김회용(Kim, Hoy-Yong)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05 敎育思想硏究 Vol.17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lasses using the community of inquiry in an elementary school. This case study examined an elementary teacher's attitude to the classes during her preparation for community of inquiry. This study also described the teacher's and students' difficulties as well as the developmental process appeared in their strenuous efforts in the classes. For the qualitative data collection, the 5th grade classroom participated in the philosophy program was observed for 34 weeks, and the teacher and students were interviewed to check effects of it. Analysis of the data showed that the teacher emphasized it would help students to develop skills to converse with others and higher-order thinking ability, to concern about others, to improve sense of community and an ability to judge uprightly. But in the beginning of the classes, both teacher and students showed difficulties in managing and developing the abstract talks. As the classes were moved on, however, both teacher and students were able to make significant progress on their philosophical discussion and discourses through their strenuous efforts to use on-going abstract talks. Finally, the students showed not only the ability to deeply think about and discuss the philosophical topics, but also the overall improvement of communicating, sharing, and discussing of their abstract ideas based on philosophical evidence and reasoning.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more opportunities were given to students to learn the program continuously and systematically. Though there were many difficulties in proceeding this study for students who had never participated in the class based on philosophical background, the classes of this type should be encouraged and spread to more students. 이 글은 초등학교 5학년의 탐구공동체 수업 사례를 통하여, 탐구공동체 수업에서 교사와 학생이 경험하는 어려움, 변화 및 발전 과정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탐구공동체 수업에 대한 교사의 높은 기대 및 철저한 준비에도 불구하고 초기 수업은 난해한 교재내용, 교사의 추상적 질문, 근거를 요구하는 발표 등으로 인해 주제선정, 토론규칙 위반, 발표 편중 등의 문제를 노출시켰다. 수업 초기의 이러한 어려움은 후반부 수업에는 상당 부분 개선되었다. 학생들의 주제선정과 근거를 수반한 발표 능력이 향상되었고, 발표 편중 현상도 완화되었으며, 추상적이었던 교사의 질문도 보다 구체화되었다. 그러나 발표 내용보다 개인적 친분에 따른 학생들의 차별적 공감 문제가 여전하였고, 시간이 흐를수록 학생들 사이의 발표 내용의 질적 차이가 보다 심화되는 문제도 발생했다. 1년간의 탐구공동체 수업으로 인한 가장 큰 변화는 난해한 교재 내용을 함께 읽고, 주제를 선정하고, 토론하며, 공동으로 정한 규칙을 준수하는 등 교실이 사고하는 공동체로 변화되고 있다는 것이었다. 탐구공동체 수업의 성공적 정착을 위해서는 학생들을 탐구 및 토론의 장으로 인도할 교사의 능력 신장을 위한 교사 교육과 학생들의 독해력 향상을 위한 노력들이 동반되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